동기부여의 요소
본 내용은
"
동기부여의 요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4
문서 내 토픽
  • 1. 동기부여
    동기부여(motivation)란 '움직이게 하는 것(to move)'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조직행동에서 동기부여는 세 가지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1) 행동이 추구하는 목적을 나타내는 방향성(direction) (2)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행동이 지속적으로 계속되는 지속성(Persistence) (3) 열심 또는 열정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행동의 강도(intensity)로 구성된다.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목적 없이 이랬다가 저랬다가 하면 동기부여 되었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은 목표를 정하고 이를 이루려는 목표지향적인 행동이 아니라 방황하는 행동이고 동기부여 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 2. 동기부여의 지속성
    둘째로 동기부여에는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 어떤 목표를 향해 행동을 시작하더라도 곧 포기해 버리면 목표를 성취할 수 없다. 지속적으로 꾸준히 성실하게 목표달성을 위해 정진할 때 동기부여 되었다 할 수 있겠다.많은 사람들이 야심찬 계획을 세우지만 작심삼일에 끝나는 것은 동기부여에서 지속성이 빠져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 3. 동기부여의 행동 강도
    세 번째로 동기부여에는 행동의 강도가 중요하다. 아무리 일관되게 어떤 일을 지속적으로 한다고 해도 그렇게 정성껏 열심히 하지 않는다면 그냥 시간을 보내는 행동밖에 되지 않는다.어떤 학생이 공부를 한다고 도서관에 가서 자리를 잡고 않아서 하루 종일 시간은 보내지만 책 한 페이지 제대로 읽지 않고 집으로 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동기부여의 방향성과 지속성은 있겠지만 행동의 강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집중적으로 열정을 가지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고 건성으로 시간만 때운다면 목적한 바의 성과를 내기는 힘들고 동기부여 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 4. 조직에서의 동기부여 실패
    조직에서도 구성원의 동기부여에서 이 세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지 못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어, 구성원들이 열심히 무엇인가를 하긴 하는데, 구성원의 노력이 한 목표를 향해 결집되지 않고 중구난방으로 가는 경우에는 적절한 성과가 없다. 목적이 수시로 바뀌거나 맡고 있는 업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이일 저일 마구잡이로 하는 사람도 자주 볼 수 있다.금연과 같은 행동수정이나 변화를 수반하는 동기부여에서는 행동이 결실을 이를 때까지 지속성을 가지지 못하고 중도에서 예전의 습관과 관습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특히, 사무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것은 행동의 강도부분이다. 어떤 사무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않아서 업무를 보고 있는 것 같은데, 자세히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 컴퓨터 화면에 업무와 관련성이 없는 채팅 창이 떠있거나 신문이나 개인 홈페이지 사이트가 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이 경우 업무의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이다.
  • 5. 동기부여 향상을 위한 노력
    이와 같이 조직의 구성원에게 모두가 함께 열심히 추구할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열정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노력을 유도하는 것은 행정가의 몫이고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란 만만치가 않다. 이를 위해 개개의 구성원이 어떤 욕구를 가지곤 있는지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개인의 욕구와 조직의 목표가 일치할 때 구성원은 비로소 그 목표에 동기부여 될 것이기 때문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동기부여
    동기부여는 개인의 행동을 이끌어내고 지속시키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개인의 내적 욕구와 외적 보상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동기부여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동기부여는 단순히 일시적인 행동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지원과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 2. 동기부여의 지속성
    동기부여의 지속성은 개인의 행동 변화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단순한 외적 보상만으로는 지속적인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기 어려우며, 개인의 내적 동기와 가치관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피드백과 지원, 그리고 개인의 성장을 위한 기회 제공 등이 동기부여의 지속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3. 동기부여의 행동 강도
    동기부여의 행동 강도는 개인의 행동 변화 정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됩니다. 강력한 동기부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되지만, 이는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동기부여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행동 변화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피드백과 지원, 그리고 개인의 성장을 위한 기회 제공 등이 동기부여의 행동 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4. 조직에서의 동기부여 실패
    조직에서의 동기부여 실패는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성과 저하, 이직률 증가, 조직 문화 악화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동기부여 실패의 원인으로는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 보상 체계의 불합리성, 리더십의 부재, 조직 문화의 문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동기부여 전략,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 체계, 효과적인 리더십, 그리고 긍정적인 조직 문화 조성 등이 필요합니다.
  • 5. 동기부여 향상을 위한 노력
    동기부여 향상을 위한 노력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개인 차원에서는 자신의 내적 동기와 가치관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동기부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조직 차원에서는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동기부여 전략을 수립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 체계를 마련하며,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고, 긍정적인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과 향상과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