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A형 독감 Case study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A형 독감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22
문서 내 토픽
  • 1. 인플루엔자 A (A형 독감)
    인플루엔자는 현대에 들어 꾸준하게 매년 겨울 유행하는 질환 중에 하나이다.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아울러 젊은 성인에게도 사망률이 있을 만큼 걸리게 되면 위험한 질환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는 철저한 예방법과 치료법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간호로 치유될 수 있는 질병 중이기도 하다. 독감이라고도 불리는 Influenza는 지난 2009년 신종플루라는 이름으로 한국에 상륙하여 많은 사람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으며, 2009년 5월 26일~2009년 6월 1일까지의 통계조사에 의하면 한국의 Influenza 확진 환자는 세계 15위, 21명의 확진 환자가 나왔을 만큼 치명적 질병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신종플루는 한동안 잠잠해졌다가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치료제인 타미플루가 개발되어 이전만큼 위험한 병은 아니나, 꾸준히 관찰되고 있는 중이다.
  • 2. 질병의 병태생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독감)은 주로 겨울철에 일어난다. 미세입자의 에어로솔의 접촉 또는 흡입으로 전파되며, 잠복기는 짧게는 1~2일, 길게는 2주까지이다. 아동의 연간 평균 감염율은 20~50%에 달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일차적으로 상기도 상피를 자극하지만, 신체 전체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만성 심장 또는 폐 질환, 당뇨, 만성신부전, 면역결핍의 아동은 다른 아이들에 비해 인플루엔자 감염에 더 취약하다. 호흡기도의 박테리아성 감염은 흔히 인플루엔자의 합병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폐렴이 그러하며, 중이염이 인플루엔자 케이스의 18~40%에서 나타난다. 덜 흔한 합병증으로는 라이 증후군, 급성 근염이 있다.
  • 3. 질병의 증상 및 징후
    피로감이 동반된 고열이 생기고, 심한 두통과 오한, 근육통을 호소합니다. 전신 증상과 함께 인후통, 기침, 콧물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일반적인 감기보다 증세가 심하지만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들과 감별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환자가 느끼는 증상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감기와 같이 호흡기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전형적인 고열과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침을 많이 흘리고, 잘 먹지 못하며, 심하제 보채고,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 위장관 증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며, 때로는 열성 경련이 나타나기도 한다.
  • 4. 질병의 진단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후에 37.8℃ 이상의 발열과 기침, 인후통 또는 콧물 등 호흡기 증상 중 한 가지가 있는 경우 인플루엔자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호흡기 검체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거나, 바이러스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이 있고, 혈액을 채취하여 항체검사를 해 진단하는 방법이 있다. 바이러스 배양은 인후에서 채액을 채취하거나 비인두 세척 시 또는 가래에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는데, 바이러스 배양에 48-72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검사 결과를 신속히 얻을 수 없다. 반면에 바이러스의 핵 단백이나 뉴라민분해효소(neuraminidase)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신속하게 진단을 내릴 수 있어 항바이러스제 투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 5. 질병의 치료
    인플루엔자의 치료는 항바이러스제 요법과 기타 대중 요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노인, 영유아 및 만성 내과질환 환자에서의 인플루엔자는 폐렴 등 중증 합병증 발생, 병원 입원 및 사망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조기 항바이러스제 투약이 매우 중요하다. 항바이러스 제제는 몇 종류의 인플루엔자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Amantadine(Symmetrel)과 rimantadine(Flumadine)은 인플루엔자 A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Ribavirin(Virazole)은 인플루엔자 B에 사용되어 왔다. 새로운 항바이러스 제제는 흡입할 수 있는 것으로, zanamivir(Relenza)와 알약으로 된 oseltamivir(Tamiflu)가 있다. 이러한 항바이러스 제제는 바이러스가 호흡기세포를 침투하도록 하는 바이러스효소(뉴라미니다아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호흡기에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 6. 질병의 간호
    예방적 간호로는 백신접종이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인플루엔자 백신은 대부분 불활성화 분편 백신으로, 겨울에 유행될 것으로 예측되는 새로운 바이러스주들의 항원이 포함되어 있다. 치료적 간호로는 합병증이 없는 단순 인플루엔자 환자에게 두통, 근육통 및 발열을 해소하기 위해 아세타아미노펜(acetaminophen)을 투여할 수 있다. 기침은 대부분 자연 호전되므로 기침 억제제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나, 기침이 심하여 문제가 될 경우에는 코데인이 포함된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며칠간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수분 섭취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생리식염수 함수는 인후통을 줄여주고, 항히스타민 제제는 콧물을 감소시킨다.
  • 7. 아동의 발달과업
    생물학적 발달 측면에서 평균 체중은 1년에 2~3kg 정도씩 증가하며, 키의 성장은 1년에 6.5~9cm의 증가를 보인다. 대부분의 아동이 배변 훈련이 완료되며, 걷기, 달리기 등 이전에 습득하였던 운동 능력을 강화하고 정교하게 발달시키는 단계이다. 심리사회적 발달 측면에서 아동은 마음껏 놀고, 공부하고, 생활하며 그 안에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끼는 활발한 학습 단계에 있다. 인지 발달 측면에서 아동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는 대신 사회적 인식과 다른 시각도 고려할 수 있는 능력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 8. 간호진단
    1. Virus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2.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 9.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 #1. Virus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정상적인 체온인 37℃ 이하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입원 후 2일 이내에 37.5℃ 이하를 유지한다. 2) 입원 후 3일 이내에 열로 인한 홍조가 사라진다. - 세부 계획: ① 3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② 처방에 따라 항생제, 수액을 투약한다. ③ p.r.n 38℃ 이상일 경우 텍시탑 p.o로 투약한다. ④ 총 1,500m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⑤ 체온이 37.5℃ 이상으로 오를 때 간호사실에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⑥ 옷을 얇게 입히고 방 안 공기를 18℃로 유지한다. ⑦ 조용하고 밝은 빛이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⑧ 37.5℃ 이상일 경우 스폰지를 미온수에 적셔 환아의 몸을 닦을 것을 교육한다. 간호진단 #2.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객담의 양, 색, 점도가 정상 수준으로 완화되어 편안한 표정으로 호흡한다. -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입원 후 3일 이내에 객담 배출이 줄어든다. 2) 대상자의 분비물은 3일 이내에 색, 점도를 정상 수준으로 유지한다. - 세부 계획: ① 아침 회진 시간에 대상자의 병실에서 지속적으로 대상자의 호흡과 객담 양상을 사정한다. ② 효율적인 체위 변경을 통해 객담 배출을 돕는다. ③ 보호자께 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한다. ④ 병실 내 공기가 건조해지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⑤ 수분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⑥ 처방에 따라 아록솔을 IV로 투약한다. ⑦ 기관지 청결을 위한 자가 간호 활동을 교육한다.
  • 10. 참고문헌
    1. 김효신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2. 이은희 외(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3. 신명희 외(2019), 교육심리학, 학지사 4. 박정숙 외(2018), 성인간호학2, 현문사 5. 약학정보원. (2023.01.10.). https://www.health.kr/main.asp 6.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2023.01.11)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32 7. 서울대학교병원. (2023.01.11).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9 8. 서울아산병원. (2023.01.12.).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20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질병의 병태생리
    질병의 병태생리는 질병의 발생 원인과 과정, 그리고 그에 따른 생리적 변화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이는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방에 매우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질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면 질병의 증상과 징후,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병의 진행 과정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어 환자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질병의 병태생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2. 주제4: 질병의 진단
    질병의 정확한 진단은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 과정에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검사 등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증상, 경과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정확히 사정하고 기록하여 의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과정에서 환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협조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진단 결과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이해를 돕고, 향후 치료 계획에 대해 설명하는 등 환자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질병의 간호
    질병의 간호는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질병의 특성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질병의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과 치료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간호 중재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질병 관리가 가능해지며,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 중재를 계획하는 핵심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간호 요구, 자원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간호진단을 내리며, 이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의 정확성은 환자 간호의 질과 직결되므로, 간호사는 간호진단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진단 분류체계에 대한 이해, 사정 기술 향상, 비판적 사고 능력 개발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간호진단 과정에서 환자와 보호자의 참여를 독려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 5. 주제10: 참고문헌
    참고문헌은 연구나 학습 활동에서 활용한 자료들의 목록을 의미합니다. 참고문헌은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고, 독자들이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 분야에서도 참고문헌은 간호 실무와 연구의 근거가 되며,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참고문헌 작성 방법을 숙지하고, 최신 연구 동향과 근거 기반 실무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탐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간호 실무의 질을 높이고, 환자 간호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