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 모델링(미분방정식을 이용)을 통한 생체시계의 원리 분석
본 내용은
"
수학 모델링(미분방정식을 이용)을 통한 생체시계의 원리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9
문서 내 토픽
-
1. 생체시계우리 몸에는 시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뇌하수체에 있는 인체시계는 period라는 유전자(물질)가 증가/감소를 24시간마다 반복하면서 돌아갑니다. 이러한 생화학적 현상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핵 안에서 피리어드(M)물질의 시간당 변화량(dM/dt)은 α1의 속도로 일어나는 화학반응(P,A,Kd의 함수)의 결과물의 양에서 세포안에서 자체적으로 β1의 속도로 사라지는 M의 양을 뺀 값입니다. 핵 밖에서의 Pc의 시간당 변화량(dPc/dt)은 α2의 속도로 핵밖으로 나가는 M의 양에서 자체적으로 β2의 속도로 사라지는 Pc의 양을 뺀 값입니다. 다시 핵안으로 들어온 P의 시간당 변화량(dP/dt)는 α3의 속도로 핵안으로 들어오는 Pc의 양에서 β3의 속도로 사라지는 P의 양을 뺀 값입니다.
-
2. 수리생물학복잡한 생체반응을 단순화한 수학식(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발견한 현상이 맞는지는 반드시 실험적인 검증을 거쳐야 합니다. 약을 이용해서 피리어드 물질의 양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이 쥐를 깜깜한 케이지에 넣고 피리어드 물질을 주입한 후 움직이고(깨어있음) 안 움직이는(자고있음) 주기를 확인하여 P의 양이 A 단백질의 양과 비슷하지 않을 때 쥐의 수면주기가 깨어짐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것이 수리생물학입니다.
-
3. 생체리듬이러한 생체리듬을 잘 활용하면 환자마다 최적의 치료제 투약시간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울, 불안, 알츠하이머 등이 뇌하수체에 있는 생체 시계의 교란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1. 생체시계생체시계는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의 생물체에서 관찰되는 내재적인 생리적 리듬으로, 약 24시간 주기로 반복되는 생리적 변화를 말합니다. 이러한 생체시계는 빛, 온도, 호르몬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조절되며, 수면-각성 주기, 호르몬 분비, 체온 변화 등 생물체의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생체시계의 정상적인 작동은 생물체의 건강과 웰빙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생체시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수리생물학수리생물학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등의 방법론을 생물학 연구에 적용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 현상을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유전체 분석, 신경과학, 생태학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서 수리생물학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리생물학은 생물학 연구의 깊이와 폭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학문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향후 수리생물학 연구의 발전을 통해 생명 현상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와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생체리듬생체리듬은 생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주기적인 생리적 변화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생체리듬은 생물체의 다양한 생리적 과정, 예를 들어 수면-각성 주기, 호르몬 분비, 체온 변화 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체리듬은 빛, 온도,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물체의 생리적 균형을 유지하게 됩니다. 생체리듬의 정상적인 작동은 생물체의 건강과 웰빙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질병 예방과 건강 증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생체리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고등학생 수학 미적분 세특보고서 (주제) 생명과학, 의약학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생체시계의 비밀 해결" 3페이지
수학 미적분 세특보고서주제: 생명과학, 의약학 ? 미분방정식을 이용해 생체시계의 비밀 해결일반적으로 온도가 오르게 되면 다른 생체반응은 빨라지는데, 이와는 대조적으로 생체시계의 반응은 환경이나 온도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리듬을 갖고 있다. 생체시계로 인한 신체 리듬이 어떻게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생체시계 원리를 밝히려 노력했다. 하지만 최근까지 60여 년간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KAIST 수리과학과의 김재경 교수가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생체...2023.03.19· 3페이지 -
동역학과 카오스 이론 5페이지
동역학과 카오스 이론1980년대에 들어서 비선형 동역학과 혼돈이라 불리우는 새로운 종류의 물리학 분야가 등장하였다. 이 분야의 연구범위는 매우 넓어 유체운동, 고체물리학, 플라즈마, 광학현상 등 물리학의 범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화학, 생물학, 전기공학, 기계공학 분야에까지 미치고 있다. 심지어는 사회학 및 경제학과 같은 분야에도 혼돈현상의 연구가 도입되고 있다. 이같이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여러 분야들에 비선형 동역학과 혼돈이론이라는 공통된 접근방법이 존재하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이다. 역학이나 전기...2007.12.26·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