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병 보건교육 -요통/허리디스크 (A+받음!!)
본 내용은
"
직업병 보건교육 -요통/허리디스크 (A+받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문서 내 토픽
-
1. 디스크의 정의와 원인디스크는 추간판의 손상 및 탈출로 인해 염증이 생긴 신경근에 기계적 압박이 추가되어 경추, 흉추 또는 요추부 축성 통증 및 신경근 자극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디스크의 원인으로는 목이나 허리가 굴곡된 자세 혹은 동작을 장기간 취할 경우, 퇴행성 변화, 유전성 등이 있습니다.
-
2. 디스크에 부담을 주는 자세디스크에 부담을 주는 자세로는 하루에 총 2시간 이상 목, 어깨, 팔꿈치, 손목 또는 손을 사용하여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작업, 하루에 10회 이상 25kg 이상의 물체를 보조 기구 없이 물건 운반, 구부린 자세로 장기간 작업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
3. 디스크 예방 교육디스크 예방을 위한 교육으로는 걷기운동을 하고(1시간 30분 정도), 물건을 들거나 내릴 때 허리를 굽히거나 비틀지 않으며, 물건 운반 시 전용 운반기구를 사용하고, 운반 거리를 짧아지도록 작업 동선을 변경하며, 작업 높이를 팔꿈치 높이로 맞추고, 정기적으로 충분한 휴식시간을 갖고, 스트레칭을 생활화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
4. 디스크 예방 스트레칭디스크 예방을 위한 스트레칭으로는 바로 누워서 다리를 구부려 들어올려 양손으로 무릎을 잡는 동작, 엎드려서 고양이 등처럼 허리를 둥글게 굽혔다 편 동작, 엎드린 후 팔꿈치를 펴서 상체를 세우는 동작 등을 5회씩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1. 디스크의 정의와 원인디스크는 척추 사이에 있는 연골 조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는 노화, 부상, 과도한 무리, 잘못된 자세 등이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디스크가 퇴화되거나 외상으로 인해 디스크가 손상되면 디스크 탈출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장시간 앉아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등의 잘못된 자세와 동작도 디스크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와 동작, 그리고 정기적인 운동이 중요합니다.
-
2. 디스크에 부담을 주는 자세디스크에 부담을 주는 자세로는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 구부정한 자세,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자세 등이 있습니다.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는 척추에 압박을 가해 디스크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구부정한 자세는 척추의 정렬을 흐트러뜨려 디스크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자세 역시 척추에 과도한 압박을 가해 디스크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때는 무릎을 구부리는 등 올바른 동작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디스크 예방 교육디스크 예방을 위한 교육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 문제의 원인과 예방법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디스크 예방 교육에서는 바른 자세와 동작,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칭 등의 내용을 다룰 수 있습니다. 또한 디스크 문제의 위험 요인과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사회적으로도 디스크 문제로 인한 의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크 예방 교육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 디스크 예방 스트레칭디스크 예방을 위한 스트레칭은 매우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스트레칭은 척추와 주변 근육을 유연하게 유지하여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 목, 어깨 등 디스크가 위치한 부위의 스트레칭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스트레칭을 통해 디스크의 탈출이나 파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칭은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디스크 회복을 돕고, 근육 긴장을 완화시켜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으로 디스크 예방 스트레칭을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문가의 지도 아래 올바른 스트레칭 방법을 익히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디스크 관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지역사회 간호학 실습 케이스, 방문건강사업, 보건소 실습, 방문건강관리 사례 case study 14페이지
REPORT지역사회간호학 CASE REPORT- 방문건강관리 사례 -COLLEGE OF NURSING방문사례 #3.김?? F/74 중졸.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젊어서부터 아팠다고 하심.“몰라,, 젊어서부터 그랬는데, 그때는 그게 류마티스인지도 몰랐지. 그냥 아프면 참고,,, 진단은 20년전에 받았는데 관절 아픈거는 한 3-40년 됐나봐. 손가락 마디마디 발가락 마디마디 안 아픈데가 없어. 내 손가락 아픈게 일기예보보다 더 잘 맞아.”당뇨약 5년째 드시는 중(식후 2시간 혈당 210mg/dL, 처방된 당뇨약 불규칙적으로 복용 중)아침 안...2020.10.06· 14페이지 -
지역사회 간호학 사례보고서(XX근로자건강센터, 부적절한 자세와 관련된 높은 근골격계 질환 유병률) 14페이지
2016-2지역사회간호학Ⅱ실습직업건강 간호과정- -실습조실습기간실습장소지도교수임상실습지도연구원임상현장지도자학번 및 이름제출일1. 간호사정1) 산업장의 특성, 조직 및 인력구성사업장명목동 OO아파트 관리사무소부서현황사무직(3)/영선(4)/전기·기계(12)/독서실 관리(2)근로자수(계 : 21)22명에서 1명 퇴사함.사무직사무직 외교대제남여남여유무21180O근무형태전기 및 기계-2조 2교대 형태(1조에 2명)-주 3회 격일로 24시간 근무-하루 24시간 1주일 평균 84시간영선반-09:00~17:40 하루 8시간 1주 평균 43시간사무...2020.04.04· 14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 11페이지
Ⅰ.소음성 난청 (NIHL: Noise induced hearing loss)1)정의- 하루 8시간 이상의 소음 폭로 수준인 90dB이상의 소음에 반복해서 노출이 10년정도 지속되는 경우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감각 신경의 말단이 손상을 입어 피로해지고 퇴화하여 생기는 질환이다.소음성 난청은 내이성 질환으로서 감음기인 와우신경에서 청각중추에 이르는 사이에 장애가 있는 경우를 감음계 난청이라고 하는데 소음에 의한 청력저하는 와우 기저회전에서 나선기의 변성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음성 난청은 폭로소음의 음압레벨, 주파수분포(소...2009.12.11·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