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 조류학 중간고사 서술형 & 약술형 정리
본 내용은
"
[충남대] 조류학 중간고사 서술형 & 약술형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문서 내 토픽
  • 1. 조류의 체형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할 수 있는 Microalgae는 단세포 형태의 Unicell, 공 모양의 Coccoid, 군체를 이루는 Colony, 사상체의 Filament로 나눌 수 있다. 군체를 이루는 Microalgae 중 Coenobia(정수군체)의 형태를 보이는 조류도 존재한다. Filament는 세포 배열 개수에 따라 Uniseriate(단열), Biseriate(2열), Pluriseriate(다열) 등으로 나뉘고, 분지 여부에 따라 Branched(분지), Unbranched(비분지)로도 구분된다.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Macroalgae는 siphonous body(관상체), Parenchymatous body(유조직체), Pseudoparenchmatous body(위유조직체)로 나눌 수 있다.
  • 2. 조류의 생식유형
    조류의 생식유형은 크게 Asexual reproduction(무성생식)과 Sexual reproduction(유성생식)으로 나눌 수 있다. 무성생식에는 Cellular bisection, Zoospore and Aplanospore formation, Autospore or Monospore production, Autocolony formation, Fragmentation, Akinete 등이 있다. 유성생식에는 동형접합성 생식(Isogamy), 이형접합성 생식(Anisogamy), 난접합성 생식(Oogamy)이 있다. 조류의 생활사는 접합자 감수분열(Zygotic meiosis), 배우자 감수분열(Gametic meiosis), 포자 감수분열(Sporic meiosis)로 구분할 수 있다.
  • 3. 조류의 광합성 문제와 적응 방법
    수중 서식지의 조류는 빛 획득 문제, 광 보호 문제, 탄소 고정 문제에 직면한다. 이에 대한 적응 방법으로 편모조류는 광수용분자를 이용하여 Phototaxis(주광성)을 갖게 되었고, 많은 조류는 보조색소를 발달시켰으며, Mixotrophs의 형태로 진화하기도 했다. 과다한 빛에 대해서는 카로티노이드 색소들의 photoprotection 체계를 진화시켰다. 탄소 고정을 위해 Rubisco 효소를 발달시켰다.
  • 4. 유기탄소 감축 방법
    조류와 식물의 유기화합물 생산 능력과 탄산염 광물 퇴적층을 만드는 능력으로 인해 오늘날의 안정된 대기 산소가 축적되었다. 생산된 유기화합물은 이산화탄소 기체로 산화되지 않고 퇴적물이 되어 파묻히며, 탄산염 광물 퇴적층을 만드는 것을 탄소 감축이라 한다.
  • 5. 초식동물로부터의 방어 기작
    조류는 구조적 방어, 생물발광, 화학적 방해물질 생산 등의 방법으로 초식동물로부터 방어한다. 구조적 방어에는 큰 세포 또는 다세포 몸체, 젤라틴 피복, 뿔, 침상돌기, 단단한 세포벽 등이 있다. 생물발광은 직접적인 놀람효과와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화학적 방해물질로는 fatty acid, DMDP, terpenoids, acetogenins, polyphenols, neurotoxin, hepatotoxin, cytotoxin 등이 있다.
  • 6. 남세균
    남세균은 Domain Bacteria의 1개의 phylum으로 분류되며, 단세포에서 더 복잡한 형태까지 다양한 체형을 가진다. 점액질, 세포벽, 세포질 구조로 구성되며, 광합성 색소로 엽록소, 카로티노이드, 피코빌린을 갖는다. 생식은 오직 무성생식만 일어나며, 아키네트와 이질세포를 만들 수 있다. 남세균은 극한 서식지에서도 살아갈 수 있으며, 화석 증거로 보아 23억~24.5억 년 전부터 존재했다.
  • 7. 세포내공생
    진핵조류 세포는 미토콘드리아, 핵, 골지체, 편모, 엽록체 등을 갖는데, 이는 세균이나 고세균에서 유래한 유전자들이 포함되어 있어 세포내 공생에 의해 탄생했다고 본다. 1차, 2차, 3차 세포내 공생이 조류 색소체의 진화적 기원에 중요하다. 2차 세포내 공생의 증거로 은편모조류와 클로라라크니오조류의 핵소체가 있다.
  • 8. 유글레나류
    유글레나류는 대부분 광합성을 하며, 섭식영양, 광영양, 삼투영양의 3가지 영양 방법을 가진다. 세포 구조로는 박막, 엽록체, Paramylon 등이 있다. 편모는 2개이며, 입 구조는 퇴화되어 섭식장치의 흔적만 남아있다. 유글레나류는 종종 적조현상을 일으키며, Euglenophycin 등의 독성물질을 분비한다. 유글레나류의 분류에는 형태적 한계가 있어 분자 형질 분석이 필요하다.
  • 9. 조류학 약술
    Coenobia, epibiont, kleptoplastid, Unialgae culture, Mixotroph, Heterocyte, Cryptic species, Chromatic adaptation, Diazotroph, necridia, Pellicle, Metaboly 등의 용어에 대해 설명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류의 체형
    조류의 체형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해왔다. 날개와 깃털은 비행에 필수적이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부리는 먹이 섭취에 유리하다. 또한 가벼운 골격과 공기주머니는 비행에 도움을 준다. 이처럼 조류의 체형은 생존과 번식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이는 조류가 지구상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 2. 조류의 생식유형
    조류의 생식유형은 다양하다. 대부분의 조류는 알을 낳아 번식하지만, 일부 종은 태생아를 낳기도 한다. 또한 일부 조류는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일부일부제 등 다양한 사회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식유형의 다양성은 조류가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는 조류가 지구상에서 성공적으로 번성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3. 조류의 광합성 문제와 적응 방법
    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지만, 때로는 광합성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한 햇빛이나 고염분 환경에 노출되면 광합성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조류는 다양한 적응 방법을 발전시켜왔다. 예를 들어 색소체 구조 변화, 광보호 물질 합성, 광합성 효소 활성 조절 등을 통해 광합성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적응 능력은 조류가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게 해주었다.
  • 4. 유기탄소 감축 방법
    유기탄소 감축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필요한데, 대표적으로 화석연료 사용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삼림 보호 및 복원, 농업 및 축산업 개선, 폐기물 관리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인간 활동에 의한 유기탄소 배출을 줄이고, 자연 생태계의 탄소 흡수 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 5. 초식동물로부터의 방어 기작
    초식동물은 다양한 방어 기작을 발전시켜왔다. 예를 들어 독성 화합물 생산, 가시나 가시털 발달, 위장 색상 등을 통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또한 군집 생활, 경계 행동, 도주 등의 행동 전략을 통해서도 위협에 대응한다. 이러한 방어 기작은 초식동물이 오랜 진화 과정에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선별해왔기 때문에 발전할 수 있었다. 이는 초식동물이 지구상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6. 남세균
    남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 중 하나로, 약 35억 년 전부터 존재해왔다. 이들은 최초의 광합성 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지구 대기 중 산소 농도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다양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담수 생태계에서 질소 고정, 해양 생태계에서 일차 생산자 역할 등을 수행한다. 이처럼 남세균은 지구 생명체 진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 7. 세포내공생
    세포내공생은 진핵세포 진화의 핵심 과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에서 원핵세포가 진핵세포 내부로 들어가 공생관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진핵세포 내에 발달하게 되었다. 이러한 세포내공생은 진핵세포가 더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갖출 수 있게 해주었으며, 이는 생물 다양성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세포내공생은 생명체 진화의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8. 유글레나류
    유글레나류는 단세포 생물로, 동물과 식물의 중간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광합성을 할 수 있지만 종종 이종영양 영양 방식을 취하기도 한다. 또한 편모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이 뛰어나다. 유글레나류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유글레나류는 생물학적 연구에 자주 활용되고 있다.
  • 9. 조류학 약술
    조류학은 새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조류의 분류, 생태, 행동, 생리, 진화 등을 다루며, 이를 통해 새의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자 한다. 조류학은 생물학, 생태학, 진화생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새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활동은 자연 보전과 환경 교육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조류학은 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연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