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of ICP 최종본
본 내용은
"
management of ICP 최종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문서 내 토픽
  • 1. CSF (Cerebrospinal Fluid)
    CSF는 뇌실의 맥락총(Choroid plexus)에서 생산되며, 뇌와 척수를 순환하는 무색 투명한 액체입니다. CSF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고, 호르몬, 이온물질 및 노폐물을 운반하며, 면역기능에 관여합니다. 또한 혈류 자동조절에도 관여합니다.
  • 2. CSF 생산
    대부분의 CSF는 뇌실의 맥락총(Choroid plexus)에서 생산됩니다. 맥락총의 뇌실막세포(Ependymal cells)에서 sodium을 활발하게 분비하여 뇌실 속 삼투압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수분이 끌려들어가면서 CSF가 생성됩니다. 하루 CSF 생산량은 500mL~600mL이며, 동시에 순환하는 CSF 양은 100~160mL입니다.
  • 3. CSF 순환
    CSF는 뇌실간공(Interventricular foramina)을 통해 제3뇌실로 이동하고, 중뇌수도(Cerebral aqueduct)를 따라 제4뇌실로 이동합니다. 제4뇌실의 3개의 구멍(median aperture, 2개의 lateral aperture)을 통해 지주막하강으로 진입하고, 거미막과립(Arachnoid granulation)을 통해 정맥동(Venous sinuses)으로 흡수됩니다.
  • 4. ICP (Intracranial Pressure)
    ICP는 두개내 3가지 성분(뇌, 혈액, CSF)의 총 용적에 의해 생기는 압력입니다. ICP 정상범위는 5~15mmHg이며, 20mmHg 이상은 IICP(Increased ICP), 40mmHg 이상은 의료 응급상황입니다. ICP 상승 시 CSF와 혈액량 감소 등의 보상기전이 일어나지만, 이를 넘어서면 뇌탈출과 뇌간 압박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5. CBF (Cerebral Blood Flow)
    뇌로 가는 혈류를 보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인 CPP(Cerebral Perfusion Pressure)는 정상범위 70~100mmHg입니다. CPP가 50mmHg 이하로 떨어지면 뇌혈류 자동조절 능력이 상실되어 CBF이 40% 이상 감소하면 허혈, 저산소증, 산증, 신경세포 사멸이 초래됩니다.
  • 6. ICP 상승 요인
    뇌종양, 뇌부종, 뇌출혈, 수두증, 뇌척수액 생산 증가 및 순환장애, 복압 상승, 흉부압력 상승, 고이산화탄소혈증, 발열, 염증, 통증 등이 ICP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7. ICP 상승 징후
    의식수준 저하, 동공변화, 운동/감각 기능 편측 상실, 두통, 발열, 구토, 경련, 유두부종, Cushing 궤양 등이 ICP 상승의 징후입니다. 또한 Cushing triad(혈압 상승, 서맥, 불규칙한 호흡)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 8. IICP 치료와 중재
    과환기 유지, 삼투성 이뇨제 투여, 두부 거상, 목 위치 조절, 외과적 수술(종양 제거, 혈종 제거 등), EVD(외부 뇌실 배액), Lumbar drainage, VP shunt 시행 등의 방법으로 IICP를 치료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SF (Cerebrospinal Fluid)
    CSF는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투명한 액체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SF는 뇌실 내에서 생산되어 척수강을 통해 순환하며,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거미막하강 내에 존재합니다. CSF는 뇌와 척수를 물리적으로 부유시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뇌압을 조절하며, 노폐물 제거와 영양분 공급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SF의 생산, 순환, 흡수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CSF 생산
    CSF는 주로 뇌실 내에 위치한 맥락총(choroid plexus)에서 생산됩니다. 맥락총은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혈액에서 선택적으로 물과 용질을 여과하여 CSF를 생산합니다. 이 과정에는 능동 수송 기전과 삼투압 기전이 관여합니다. 또한 뇌실 벽의 상피세포와 뇌실 주변 조직에서도 일부 CSF가 생산됩니다. CSF 생산량은 성인 기준 약 500-600 ml/day 정도이며, 연령, 체온, 호르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CSF 생산 장애는 수두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3. CSF 순환
    생산된 CSF는 뇌실계를 통해 순환하게 됩니다. CSF는 뇌실 내에서 생산되어 제4뇌실을 거쳐 거미막하강으로 흘러들어갑니다. 거미막하강 내에서 CSF는 뇌와 척수를 둘러싸며 순환하다가 최종적으로 정맥동(venous sinus)으로 흡수됩니다. 이 과정에서 CSF는 노폐물 제거, 뇌압 조절, 뇌 대사 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CSF 순환 장애는 수두증, 뇌압 상승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4. ICP (Intracranial Pressure)
    ICP(Intracranial Pressure)는 두개강 내 압력을 의미하며, 정상 범위는 5-15 mmHg입니다. ICP는 뇌, 뇌척수액(CSF), 뇌혈관 등 두개강 내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ICP 상승은 두개강 내 용적 증가로 인한 것으로, 뇌종양, 뇌출혈, 뇌부종, 수두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ICP 상승은 뇌혈류 감소, 뇌허혈, 신경학적 증상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5. CBF (Cerebral Blood Flow)
    CBF(Cerebral Blood Flow)는 뇌로 공급되는 혈액량을 의미하며, 정상 범위는 50-60 ml/100g/min입니다. CBF는 뇌의 대사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뇌 활동이 증가하면 CBF도 증가하게 됩니다. CBF는 동맥혈압, 혈액 가스 농도, 뇌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CBF 감소는 뇌허혈, 뇌경색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CBF 유지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ICP 상승, 뇌부종 등의 상황에서는 CBF 유지를 위한 치료적 중재가 필요합니다.
  • 6. ICP 상승 요인
    ICP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뇌종양, 뇌출혈, 뇌경색, 외상성 뇌손상, 수두증, 뇌부종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병리적 상태에서 두개강 내 용적이 증가하면 ICP가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CSF 순환 장애, 정맥 환류 장애, 뇌혈관 확장 등도 ICP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저산소증, 고탄산혈증, 발열, 통증, 스트레스 등의 생리적 요인들도 ICP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CP 상승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 7. ICP 상승 징후
    ICP 상승의 주요 징후로는 두통, 구토, 의식 저하, 동공 이상, 뇌신경 마비, 경부 강직 등이 있습니다. 두통은 ICP 상승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기저부 두통, 아침 기상 시 악화되는 두통 등의 특징을 보입니다. 구토는 뇌압 상승에 의한 뇌간 압박으로 발생하며, 의식 저하는 뇌실질 압박으로 인한 것입니다. 동공 이상, 뇌신경 마비, 경부 강직 등은 뇌압 상승에 따른 뇌간 압박의 결과입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하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지연될 경우 뇌 손상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 8. IICP 치료와 중재
    ICP 상승에 대한 치료와 중재는 ICP 상승의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약물 치료로는 삼투압 이뇨제, 스테로이드, 진통제 등이 사용되며, 수술적 치료로는 종양 제거, 혈종 제거, 뇌실-복강 단락술 등이 있습니다. 또한 환기 조절, 체온 조절, 혈압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도 중요합니다. 이와 함께 ICP 모니터링, 뇌관류압 유지, 뇌 보호 전략 등의 집중 치료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ICP 상승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뇌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