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 환자 간호 PPT
본 내용은
"
무의식 환자 간호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6
문서 내 토픽
  • 1. 기도유지와 환기
    무의식 환자의 기도유지와 환기를 위한 초기 간호 조치로는 즉각적인 기도 청결, 목 주위의 옷을 느슨하게 해주기, spinal injury 가능성으로 인한 목 보호를 위한 collar 사용, 환자를 lateral semiprone position으로 하고 head up 30도 유지, oral airway insert 또는 endotrachial intubation 등이 있다. 무의식이 장기화되면 tracheostomy가 필요할 수 있다.
  • 2. 뇌조직 관류 증진
    무의식 환자에서 두개내압 상승은 중요한 간호문제이므로,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체위(침상 머리 상승, 머리 과굴곡, 둔부굴곡 방지), 변비 예방, 자극 최소화, 삼투성 이뇨제 사용, 과한기(hyperventilation) 유도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3. 피부통합성 유지
    무의식 환자에서 욕창 위험이 높으므로, air mattress 사용, 4시간마다 피부 사정 및 마사지, 손톱 짧게 깍기, 질 세척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 4. 수액과 전해질 균형
    무의식 환자에서 과도한 발한, 다뇨,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을 사정/기록하고, 과수분(overhydration)과 glucose가 포함된 IV fluid는 뇌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이뇨제 투여에 대한 반응을 관찰해야 한다.
  • 5. 영양공급
    무의식 환자의 영양 및 수액 요구는 위관튜브를 통해 공급해야 하며, 의식 회복 시 연하능력 사정 후 구강 섭취를 시작할 수 있다.
  • 6. injury 예방
    무의식 환자에서 seizure 기간 동안 injury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고, oversedation을 피하며, 억제대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 한다. 불안정한 환자는 절대 혼자 남겨두지 않는다.
  • 7. 구강, 비강, 눈 간호
    무의식 환자에서 인공기도, 비위관 삽입으로 인한 구강점막 건조와 점액 고착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 3회 이상 mouth care를 실시하고, 코 분비물 제거, 출혈 및 CSF 배액 관찰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 8. 기도흡인 예방
    무의식 환자에서 기도흡인 예방을 위해 1-2시간마다 호흡음 사정, ABGA와 pulse oximetry 모니터링, 분비물 배액 촉진, 2시간마다 체위변경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 9. 배설장애 관리
    무의식 환자에서 배변완하제 사용, 규칙적인 배변습관 유지, 유치도뇨관 삽입, 방광훈련 프로그램 실시 등으로 배변 및 배뇨 문제를 예방한다.
  • 10. 근육관절 경축 예방
    무의식 환자에서 hand roll, arm splint, foot tennis shoes 사용, trochanter roll로 바른 자세 유지, 1-2시간마다 체위변경, 수동적 관절범위 운동 등으로 근육관절 경축을 예방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도유지와 환기
    기도유지와 환기는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환자의 기도를 개방적으로 유지하고 적절한 환기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도 확보, 기계적 환기 적용, 객담 흡인, 체위 변경 등 다양한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기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2. 뇌조직 관류 증진
    뇌조직 관류 증진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뇌는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혈압, 체온, 혈액가스 등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체위 변경, 진통제 투여, 뇌압 감소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뇌 관류를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뇌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3. 피부통합성 유지
    피부통합성 유지는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장기간 침상 안정으로 인한 욕창 발생은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고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사정, 체위 변경, 압력 감소 지지면 사용, 영양 공급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피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초기 징후를 발견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4. 수액과 전해질 균형
    수액과 전해질 균형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액과 전해질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수분 섭취와 배설, 전해질 수치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수액 및 전해질 보충을 해야 합니다. 또한 수액 주입 속도, 종류, 투여 경로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탈수, 전해질 불균형, 부종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5. 영양공급
    영양공급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환자는 대사 요구량이 증가하고 영양 섭취가 어려워 영양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영양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경장 영양, 정맥 영양 등 적절한 영양 공급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영양 공급량, 속도, 성분 등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조절하여 영양 불균형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회복을 촉진하고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6. injury 예방
    injury 예방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환자는 의식 저하, 근력 저하, 감각 저하 등으로 인해 낙상, 골절, 화상 등의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침상 난간, 보호대 사용, 체위 변경, 안전한 환경 조성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injury 예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인식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7. 구강, 비강, 눈 간호
    구강, 비강, 눈 간호는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환자는 의식 저하, 기관 삽관, 산소 요법 등으로 인해 구강, 비강, 눈 건강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강 간호, 비강 간호, 눈 간호를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구강 내 감염, 비강 출혈, 안구 건조증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8. 기도흡인 예방
    기도흡인 예방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기도흡인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도 흡인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체위 변경, 기침 유발, 객담 흡인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 삽관 환자의 경우 기관 내 흡인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객담 배출을 돕고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이를 통해 폐렴, 무기폐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9. 배설장애 관리
    배설장애 관리는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환자는 의식 저하, 활동 제한, 약물 부작용 등으로 인해 배뇨 장애, 변비, 설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배뇨 및 배변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도뇨관 삽입, 관장, 완화제 투여 등의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피부 통합성 유지, 감염 예방 등의 간호 활동도 병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배설 장애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10. 근육관절 경축 예방
    근육관절 경축 예방은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장기간 침상 안정으로 인한 근육 위축과 관절 구축은 환자의 기능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관절 가동 범위 운동, 체위 변경, 마사지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근육 경직 예방을 위한 약물 투여, 보조기 사용 등의 방법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근육관절 경축을 예방하고 환자의 기능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