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혈구 직접 측정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리포트
본 내용은
"
적혈구 직접 측정하는 과정과 결과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8
문서 내 토픽
-
1. 적혈구(RBC)적혈구(RBC, Red BLood CeLL)는 전체 혈구의 45%를 차지하며, 신체의 모든 세포로 산소운반을 하는 가운데가 패인 원반모양의 붉은색 혈액세포입니다. 기능으로 산소운반이 있는데 철이온을 가진 헤모글로빈에 의해 적혈구가 산소를 운반하게 됩니다. 대사 활동 부분에서는 대사 후 산물들로 인해 산도가 낮아져 산소가 떨어져 나가 필요한 곳에서 쓰이게 되고 적혈구는 혈액을 돌아다니면서 이러한 역할을 합니다. 혈액 내 적혈구가 감소하거나 낮으면 혈액이 운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빈혈을 발생합니다.
-
2. 백혈구(WBC)백혈구(WBC, White BLood CeLL)는 전체 혈구에서 1%이하를 차지하며, 혈액에서 감염이나 외부물질에 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입니다.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세포 내로 끌어들여 소화 및 분해하여 무독화시키는 식균작용을 합니다. 식균작용을 위해 백혈구의 생산이 가속화되어 백혈구가 증가하고 10,000/백혈구 증가증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감소한 상태는 백혈구감소증이라 부릅니다.
-
3. RBC, WBC 희석 및 염색혈액을 등장액으로 희석하여 그 희석액을 일정 크기의 용기에 넣고 그 용기 속의 적혈구를 현미경을 이용하여 계수합니다. 이때 적혈구의 희석은 200배, 백혈구의 희석은 20배로 합니다. 그리고 실제 적혈구와 백혈구의 개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각각 10,000배와 200배를 곱합니다. 챔버의 계수된 구획의 면적은 1/400x80 = 5/1이고 계산실의 깊이가 0.1mm이므로 용적은 1/50ul이 됩니다. 그러므로 200배 희석에 의해 50x200= 10,000배를 하면 1ul당 적혈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는 대구획 4개에서의 백혈구 수와 희석배수 및 챔버 깊이를 곱하고 계수면적을 나눠주면 1ul당 백혈구를 구할 수 있습니다.
-
4. 실험 결과 및 고찰실험 결과 김**, 기** 학생이 측정한 적혈구의 값은 각각 570, 651개이고 평균은 610.5개가 나왔고 백혈구는 김** 학생과 기** 학생, 최** 학생이 155, 147, 126개를 측정하였고 평균으로 142.7개가 나왔습니다. 자동혈구분석기 결과 김** 학생의 RBC 수치는 4.65x10^6/ul, 기** 학생은 4.25x10^6/ul, 최** 학생은 4.05x10^6/ul로 정상 범위로 나왔습니다. 이를 통해 수동 측정 시 발생한 오차 원인을 분석하였고, 자동혈구분석기의 오차 원인도 살펴보았습니다.
-
1. 적혈구(RBC)적혈구(RBC)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혈액 성분 중 하나입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폐에서 몸의 각 조직으로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조직에서 폐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약 120일 정도 생존합니다. 적혈구 수치가 낮으면 빈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피로감, 호흡곤란, 창백한 피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혈구 수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백혈구(WBC)백혈구(WBC)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담당하는 중요한 혈액 성분입니다. 백혈구는 감염, 염증, 질병 등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백혈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역할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호중구는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림프구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합니다. 백혈구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으면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백혈구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RBC, WBC 희석 및 염색적혈구(RBC)와 백혈구(WBC)의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혈액 샘플을 희석하고 염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희석 과정에서는 혈액 샘플을 생리식염수나 기타 용액으로 희석하여 세포 수를 세기 쉽게 만듭니다. 염색 과정에서는 세포의 특성을 잘 드러내기 위해 특정 염료를 사용하여 세포를 염색합니다. 이를 통해 현미경 관찰 시 적혈구와 백혈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희석 및 염색 과정은 정확한 혈구 수 측정을 위해 필수적이며, 숙련된 기술이 요구됩니다.
-
4. 실험 결과 및 고찰실험 결과 및 고찰 부분은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실험 목적, 방법,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실험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합니다.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 오차 분석, 결과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등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새로운 발견이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험 결과의 의미를 깊이 있게 해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일반생물학실험 REPORT - 혈액의 관찰, 혈액형 판정 및 혈구 수 측정 13페이지
일반생물학 실험 REPORT혈구 세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 혈구 수 측정혈액을 체취하여 혈액형을 판정함과 동시에 혈구 세포들을 관찰해보고 , 적혈구 수를 계측해 본다.실험 제목 : 혈구 세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혈구 수 측정실험 목적 : 사람의 혈액 속에 들어 있는 혈구를 관찰하여 종류를 판별하며 각각의 구조적 특징과 기능을 알아보고, 혈액형 및 혈액형 판정의 원리를 이해한다.또한, 우리 혈액 속에 존재하는 적혈구 수를 계측해본다.이 론 ( Theory )1. 혈구 관찰가. 혈액 이란?- 혈액은 뼈 속에 있는 골수에서 만들어...2023.06.29· 13페이지 -
아동간호학 A+ 받은 jaundice 황달 간호과정 보고서 13페이지
Daily Case Report- 아동 간호학 -- jaundice 황달 -< 목차 >- 문헌고찰- 대상자 간호력- 간호과정간호사례분석(NICU)주요 건강문제의 확인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정의, 병태생리, 원인, 임상증상, 치료 및 간호)질병 : 황달(jaundice)1. 정의황달은 혈색소와 같이 철분을 포함하고 있는 특수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색의 담즙색소(빌리루빈)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여 눈의 공막이나 피부, 점막 등에 노랗게 착색되는 것을 말한다.2. 병태생리 및 원인빌리루빈은 적혈구의...2023.08.09· 13페이지 -
거대적아구성 빈혈 아동 케이스스터디 11페이지
1. 사례제시2. 사례에서 문제와 관련된 의미 있는 정보 찾기3. 문제로부터 유추한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1) 정의2) 원인3) 병태생리4) 증상5) 진단방법6) 치료방법4. 그 질환의 주요 간호문제와 중재방법5.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 간호문제와 간호중재6. 참고문헌1. 사례제시A 2-year old girl, born at 32 weeks' gestation, comes to your office for an initial visit. Her 1-month stay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2024.11.04· 11페이지 -
아동간호학 수문사 확인학습 23장~26장 정답 12페이지
REPORT 아동간호학Ⅱ교과목아동간호학Ⅱ학번/이름제출일담당교수님Ⅴ. 산소운반의 변화23. 심혈관 장애 2~424. 혈액 장애 5~725. 세포 장애 8~9Ⅵ. 보호기전의 변화26. 면역 장애 10Ⅶ. 참고문헌 p.11Ⅴ. 산소운반의 변화23. 심혈관 장애1. 심박출량을 결정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전부하, 후부하, 수축력을 정의하시오.- 전부하는 이완기 말 그리고 수축기 직전 심실에 있는 혈액의 양으로 심장으로 돌아오는 혈액의 용적을 나타낸다. 전부하는 심근의 이완과 관련되며 일차적으로 혈관 내 용적과 심실의 순응도에 의해 영향을 받...2024.10.05· 12페이지 -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과 용혈성 질환 레포트 4페이지
※ 고빌리루빈혈증과 용혈성 질환과 관련된 병태생리, 임상 증상, 진단, 치료 적 관리, 간호 중재와 관련된 레포트입니다.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용혈성 질환1. 고빌리루빈혈증→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는 것으로 피부와 다른 조직에 황달이 나타난다. 고빌리루빈혈증은 비 포합빌리루빈(간접빌리루빈) 또는 포합빌리루빈(직접빌리루빈)의 증가로 생기며, 신생아에게는 비포합 (간접)형태가 흔하다.1) 병태생리: 정상적으로 체내에서는 적혈구의 파괴와 이로 생긴 부산물 의 재사용과 배설을 균형적으로 유지↓어떠한 문제로 인하여 균형이 ...2020.05.30·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