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무작위로 한개의 회사를 선정하여, 2018년 말 기준으로 상대 가치 평가 모형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해 보세요.
본 내용은
"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에서 무작위로 한개의 회사를 선정하여, 2018년 말 기준으로 상대 가치 평가 모형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해 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2
문서 내 토픽
  • 1. 상대가치 평가모형
    상대가치 평가모형은 주식시장에 분석대상 기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업들이 있고 이러한 기업들의 가치가 주식 시장에서 적정한 방식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는 가정을 세운다. 그리고 이에 다라서 분석대상 기업과 비교대상 기업을 비교하고 평가한다. 이러한 상대가치 평가방법은 PER, PBR, PSR, EBITDA 등을 비교해서 가치를 평가한다. 상대적으로 다른 방법에 비해서 적용을 하는 것이 간단하고 두 기업 사이에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 2. 삼성전자 기업가치 평가
    2018년 삼성전자의 주식은 금융시장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 1월 31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주식 액면분할을 결정했기 때문이다. 당시 이러한 결정을 내린 까닭은 삼성전자의 주가가 너무 높은 탓에 매입을 하는 것이 부담이 된다는 의견이 계속해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2018년 12월 말 기준 삼성전자의 순이익율은 18.19%, ROE는 19.63%, 부채비율은 36.97%, 유보율은 27,531.92%였다. 삼성전자의 PER은 6.42, EPS는 6,024원이었다. PBR은 2.11이었다.
  • 3. LG전자 기업가치 평가
    LG전자의 경우 2018년 12월 기준 ROE는 9,03, PER은 9.05, PBR은 0.79, EPS는 6,882원이었다. 유보율은 1,481.36이었으며 순이익율은 2.02%이었다. 이 두 가지 기업의 지표를 비교해보면 삼성전자의 순이익율이 LG전자에 비해서 훨씬 더 높았고, ROE 역시 두 배 이상 높았다. 유보율 역시 훨씬 더 높아 삼성전자가 LG전자에 비해서 훨씬 기업 내 자금을 많이 보유했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상대가치 평가모형
    상대가치 평가모형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모형은 유사한 기업들의 시장가치를 비교하여 해당 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식입니다. 장점으로는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시장 상황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사 기업 선정의 어려움, 회계기준 차이 등의 한계점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상대가치 평가모형을 활용할 때는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다른 평가모형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2. 삼성전자 기업가치 평가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IT 기업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기업가치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습니다. 재무제표 분석, 시장점유율, 기술 경쟁력, 미래 성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스마트폰 부문의 경쟁력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ESG 경영 강화 등 비재무적 요소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수익성과 성장성을 보유한 기업이라고 판단됩니다.
  • 3. LG전자 기업가치 평가
    LG전자는 가전, 모바일, 부품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기업입니다. 기업가치 평가 시 각 사업부문의 경쟁력과 성장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LG전자가 모바일 사업에서 철수하고 전기차 배터리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ESG 경영 강화, 브랜드 가치 제고 등 비재무적 요소도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LG전자는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