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건강한 생활을 위한 인지저하 예방
본 내용은
"
A+ 지역사회간호과정(군산시) CASESTUDY-지역사회 건강문제 사정 재확인,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1개, 보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고령 및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노화, 치매 등과 관련된 판단력 저하
    군산시의 65세 이상 연령별 인구는 2023년 261,385명, 2022년에는 264,878명, 2021년에는 266,878명으로 꾸준히 높은 연령의 인구수가 분포하고 있다. 군산시의 노령화지수는 2022년 167.1, 2022년 152.0, 2021년 139.5, 2020년 129.3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일반건강검진 인지기능장애검사 결과 중 군산시의 65세 이상 인지기능저하의심은 2021년 12,474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성별 만성질병 종류별 유병률 및 현 치료율 중 치매의 경우 유병률은 2020년 2.1%로 증가했고, 치료율은 2020년 93.8%로 감소했다.
  • 2. 고혈압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관리의 부재
    군산시의 2021년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29.5%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군산시의 2021년 혈압수치 인지율은 60.0%로 전라북도인 67.5%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군산시의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21년 29.5%, 2020년 25.9%, 2019년 25.8%로 매년 증가했다. 군산시의 현재흡연율은 2021년 19.0%로 전라북도 현재흡연율인 16.7%보다 높았다. 군산시의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걷기 실천율은 2021년 28.8%, 2020년 26.2%, 2019년 22.1%로 매년 증가했다.
  • 3. 독거노인 증가, 노인돌봄 어려움, 노인돌봄서비스 무지
    군산시의 65세 이상 독거노인현황은 2019년 6,939명, 2018년 6,609명, 2017년 6,553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군산시의 노인돌봄 어려움(개인위생관리)중 매우 자주 경험함은 60세 이상이 2.5%로 연령별 중 가장 높은 수치, 전혀 경험하지 않음은 18.4%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군산시의 노인돌봄 어려움(이동 및 외출)중 매우 자주 경험함은 60세 이상이 4.7%로 연령별 중 가장 높은 수치, 전혀 경험하지 않음은 16.7%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군산시의 2021년도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의향(돌봄비요지원)에 대해 알고 있음은 53.3%, 모름의 비율은 46.7%이었고 이용경험 없음은 90.8%이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고령 및 초고령화 사회 진입 및 노화, 치매 등과 관련된 판단력 저하
    고령화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노화로 인한 판단력 저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과 의사결정 능력이 저하되면서 노인들의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관리와 돌봄 서비스 제공, 그리고 가족 및 지역사회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 건강관리 및 돌봄 정책을 강화하고, 가족과 지역사회가 함께 노인들을 돌볼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노인들의 자립성과 자아실현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2. 고혈압에 기여하는 요인에 대한 관리의 부재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고혈압 환자들의 관리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는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에 대한 관리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스트레스, 비만, 운동 부족, 나쁜 식습관 등이 고혈압 발생에 기여하는 주요 요인들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의료기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고혈압 예방과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개인의 건강관리 의식 제고를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3. 독거노인 증가, 노인돌봄 어려움, 노인돌봄서비스 무지
    최근 독거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노인돌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가족구조의 변화와 사회적 고립으로 인해 독거노인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돌봄 서비스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입니다. 또한 노인돌봄 서비스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필요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차원의 노인돌봄 체계 구축과 더불어 노인돌봄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합니다. 또한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지원하고, 가족과 지역사회가 함께 노인돌봄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