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실습보고서 실습성찰일지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실습보고서 실습성찰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보호자나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와 간호조무사가 24시간 전문간호간병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간병비 부담을 줄이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는 보호자가 들어올 수 없으며, 의식이 있고 의사소통, 의사표현이 가능한 환자만 입원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모두 각자의 간호간병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EMR에 기록합니다.
  • 2. 외과계 병동 간호사의 역할
    외과계 병동에는 수술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간호사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를 주로 실시합니다. 이번 병동은 거의 모든 환자분들이 수술을 하기 위해 입원하시고 퇴원도 내과에 비해 매우 빨리 하셔서 신기했습니다.
  • 3. 병동 물품 관리
    emergency kit는 약품, 기구들을 모아놓는 의료장비로, 씰로 봉해두며 정해진 기간마다 약물과 물품의 수량, 유효기간을 체크해야 합니다. 씰에는 번호가 적혀 있으며, 기록 할 때 씰의 번호도 기록하도록 합니다.
  • 4. 병동 구조와 시설
    15층은 15A, 15B 15C로 나누어서 각 시간마다 간호사 선생님 1분씩 담당하고 있었습니다. 병동과 병실의 구조와 시설에 대해 파트장님께 설명을 듣고 직접 둘러보았습니다.
  • 5. call bell 응대
    환자가 call bell을 누르면 스테이션 앞 모니터에 병실과 침상 번호가 뜹니다. 즉시 환자분께 가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환자 중심의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모델입니다. 이 병동에서는 간호사와 간병인이 협력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간호와 돌봄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만족도와 치료 효과가 향상되고, 간호사의 업무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이 모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와 간병인 간의 역할 분담, 교육 및 관리 체계 구축, 적절한 인력 배치 등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이해와 협조도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이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외과계 병동 간호사의 역할
    외과계 병동 간호사는 수술 전후 환자의 간호와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술 전 환자의 건강 상태를 사정하고, 수술 준비를 도와 수술이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합니다. 수술 후에는 출혈, 감염, 통증 등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환자의 회복을 위한 간호를 제공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등 전인적인 간호를 실천합니다. 이를 위해 외과계 간호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역량을 갖춘 외과계 간호사는 환자 중심의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병동 물품 관리
    병동 물품 관리는 환자 간호의 질과 안전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 간호에 필요한 물품을 적시에 확보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재고 파악, 효율적인 보관 및 배분, 유효기한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물품 사용 내역을 기록하고 분석하여 수요를 예측하고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물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물품 부족이나 낭비를 방지하고, 환자 안전과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4. 병동 구조와 시설
    병동 구조와 시설은 환자 간호와 직원의 업무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병동은 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위한 공간이므로, 환자의 프라이버시와 안전, 편의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병실은 적절한 크기와 배치로 환자의 휴식과 치료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화장실, 샤워실 등의 편의 시설도 갖추어져야 합니다. 또한 간호사실, 처치실, 약품 보관실 등 간호 업무를 지원하는 공간도 효율적으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기, 조명, 온도 등 물리적 환경도 환자와 직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병동 구조와 시설의 최적화는 양질의 환자 간호와 직원의 업무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 5. call bell 응대
    call bell 응대는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의 핵심 요소입니다. 환자가 call bell을 누르면 신속하고 적절한 응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간호사와 간호보조인력은 call bell 응대에 대한 교육을 받아 신속한 대응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call bell 응대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고, 응대 시간과 내용을 모니터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이와 함께 call bell 시스템의 기능과 배치를 최적화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call bell 응대의 질적 향상은 환자 만족도 제고와 더불어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 향상에도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