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전달체계 이론 모형(병행보완모형, 병행보충모형, 협동대리모형, 협동동반모형)
본 내용은
"
사회복지전달체계 이론 모형(병행보완모형, 병행보충모형, 협동대리모형, 협동동반모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병행보완모형병행보완모형(Parallel supplement model)은 공공과 민간이 각각 재원을 조달하고, 급여의 대상을 각각 다르게 함으로써 협력을 이루는 형태입니다. 예로 정부는 공공부조 수급자 대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민간은 여기서 소외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 모형은 유사한 서비스를 대상에 차이를 두어 공공과 민간이 제공한다는 면에서 대상자 특성에 맞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원조달에서부터 급여까지 전 과정을 독자적으로 주도할 수 있는 민간조직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
2. 병행보충모형병행보충모형(parallel complement model)은 공공과 민간이 각기 재원을 조달하고 같은 대상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되 서비스의 내용, 즉 급여의 내용에 차이를 두는 것입니다. 즉, 동일한 수혜자에게 공공은 금전적 급여를 제공한다면 민간조직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공공과 민간의 협력은 급여의 내용을 정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
3. 협동대리모형협동대리모형(collaborative vendor model)은 공공은 재원을 조달하고 민간은 급여의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이 모형에서 정부와 민간의 협력은 재원을 배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데, 공공조직은 재원조달이 안정적이고 민간조직은 급여제공이 더 효과적이라는 가정에 기반합니다. 즉, 공공조직은 세금 등을 통해 재원을 좀 더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민간조직은 관료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욕구에 더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이용한 것입니다.
-
4. 협동동반모형협동동반모형(collaborative partnership model)은 공공이 재원조달의 책임을 지고 민간이 급여를 담당한다는 면에서 협동대리모형과 유사하나 차이점은 프로그램 관리나 정책개발에서 민간이 상당한 재량권을 가져 공공과 민간 간의 관계가 쌍방적이라는 것입니다. 이 모형은 협동대리모형이 정부의 일방적 관계로 민해 민간의 장점을 살리기 어렵고 관료화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1. 병행보완모형병행보완모형은 전통적인 의료 서비스와 보완대체의학(CAM)이 병행하여 제공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는 의사와 CAM 전문가가 협력하여 환자의 치료 과정을 관리하며, 환자는 두 가지 치료법을 병행하여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통합적이고 개인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이 증진되어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이 모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 체계 내에서 CAM에 대한 인정과 제도화가 필요하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
2. 병행보충모형병행보충모형은 전통적인 의료 서비스와 보완대체의학(CAM)이 병행하여 제공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는 환자가 의사의 치료와 더불어 CAM 치료를 선택적으로 받게 됩니다. 즉, 의사의 치료를 기본으로 하되 CAM 치료를 보충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다양한 치료 옵션을 가질 수 있으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상호 보완적인 협력이 가능해집니다. 다만 이 모형에서는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정보 공유와 환자 관리 체계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환자의 선택권이 강조되는 만큼 적절한 의사결정 지원이 필요합니다.
-
3. 협동대리모형협동대리모형은 전통적인 의료 서비스와 보완대체의학(CAM)이 협력하여 제공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는 의사와 CAM 전문가가 환자의 치료 과정을 공동으로 관리하며, 환자는 두 가지 치료법을 병행하여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통합적이고 개인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이 증진됩니다. 또한 환자의 선택권이 보장되면서도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성이 높은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다만 이 모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 체계 내에서 CAM에 대한 인정과 제도화가 필요하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
4. 협동동반모형협동동반모형은 전통적인 의료 서비스와 보완대체의학(CAM)이 협력하여 제공되는 모형입니다. 이 모형에서는 의사와 CAM 전문가가 환자의 치료 과정을 공동으로 관리하며, 환자는 두 가지 치료법을 병행하여 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통합적이고 개인화된 치료를 받을 수 있으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상호 이해와 존중이 증진됩니다. 또한 환자의 선택권이 보장되면서도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성이 높은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다만 이 모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료 체계 내에서 CAM에 대한 인정과 제도화가 필요하며, 의사와 CAM 전문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이 전제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