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PR 상황 시 실제 임상에서의 대처 방법(역할별 해야 할일) 보고서
본 내용은
"
CPR 상황 시 실제 임상에서의 대처 방법(역할별 해야 할일)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CPR 순서1. 환자 의식 확인(맥박, 호흡, 혈압, 동공반사) a. 최초 발견자가 호흡과 맥박을 15초 이내로 확인 =>무호흡 혹은 10초 이내 무맥박 =>환자의 가슴을 보며 호흡을 확인 b. 환자의 양어깨를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물으며 의식 상태를 확인함 =>주의점: 환자의 몸을 흔들지 않음(목이나 허리에 부상이 있다면 2차적 부상 가능성) 2. DNR 여부 확인 3. call bell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거나 큰 소리로 CPR 상황임을 알림
-
2. CPR 처치 방법a. 최초 발견자 <가슴압박-기도유지-인공호흡> 시행 =>가슴압박 30회 실시 후 환자의 머리를 젖히고 턱을 들어올려 기도를 개방한 상태에서 인공호흡 2회 실시 b. 분당 100~120회, 가슴압박 5cm 깊이, 가슴 두께의 최소 1/3 이상(4-5cm) =>평평한 곳에서 상의를 노출시킨 후 가슴압박 시작 c. 가슴압박 중단은 최소화, 불가피한 중단(손 바꿀 때) 10초 이내로
-
3. CPR 역할 분담4. 역할 분담 간호사 1: Code blue 방송 띄움, 주치의 noti 간호사 2: E-cart, 제세동기를 준비해서 병실로 감 간호사 3: 02 flowmeter, 02 tank, suction, EKG MONITORING 준비 5. E-car에서 air way, ambu bag을 꺼내서 환자 입에 air way를 물리고 고개를 젖힌 후 o2 line이 연결된 ambu bag을 짜 줌 6. 응급약품이 투여 될 수 있도록 iv line 확보(18G) ->가슴압박 상황이기 때문에 숙련된 간호사 필요
-
4. CPR 상황 처리7. 처치실로 이동 후 cpr 상황 처리 8. 상황 정리 후 전산 기록, 사용한 재료대 끊기, 약물 처방 받기 <역할 분담> 담당 간호사: 환자 상태 확인, 주치의에게 상황 설명, 기록 남기기 팀차지(어시스트1): 환자상태 확인, 환자상태 변화 기록, 응급약품 준비, iv line 확보 어시스트2: 기도 확보(O2 flowmeter와 ambu 연결하여 bagging), 가슴압박 어시스트3: intubation 준비, intubation assist, 응급약품 투여 물품조달 인원(1~2명) 신규 간호사: 물품 조달, 물품 채우기, 각종 처치 시행 준비, 병동 환자 관리
-
5. CPR 상황 종료 후 처리CPR 상황 종료 시-담당 간호사는 필요 시 ICU 전동을 준비하며 기록 정리-사용한 물품 처치재료 FEE 끊기-사용한 약물 done 처방 받기-CPR 상황 기록 입력-동료간호사 ICU 전동 시 환자 준비 이송 도움-사용한 의료장비, E-cart 정리-환자 사망 시 사후처치 시행
-
1. CPR 순서CPR(심폐소생술)의 순서는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의식 확인, 119 신고, 가슴압박, 인공호흡 순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의식이 없는 상황에서 신속한 119 신고와 가슴압박은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가슴압박은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깊이 있게 실시해야 하며, 인공호흡은 구조자의 능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CPR 순서를 정확히 숙지하고 실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CPR 처치 방법CPR 처치 방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인 절차는 동일합니다. 먼저 환자의 의식을 확인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그 다음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고,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 가슴압박은 깊이 있게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실시해야 합니다. 인공호흡은 구조자의 능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CPR 처치 시 구조자의 안전과 환자의 상태 확인이 중요하며, 전문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CPR을 실시해야 합니다.
-
3. CPR 역할 분담CPR 상황에서 역할 분담은 매우 중요합니다. 구조자들은 각자의 역할을 명확히 인지하고 협력해야 합니다. 한 명은 119에 신고하고, 다른 한 명은 가슴압박을 실시하며, 필요 시 인공호흡을 담당합니다. 구조자들은 서로 역할을 교대하며 CPR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전문 구조대가 도착하면 상황을 인계하고, 구조대의 지시에 따라 협조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역할 분담을 통해 효과적인 CPR 처치가 가능합니다.
-
4. CPR 상황 처리CPR 상황 처리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입니다. 먼저 환자의 의식을 확인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그 다음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시하며, 구조자들은 역할을 분담하여 CPR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전문 구조대가 도착하면 상황을 인계하고, 구조대의 지시에 따라 협조해야 합니다. 또한 CPR 중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 시 응급처치를 추가로 실시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대응을 통해 CPR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5. CPR 상황 종료 후 처리CPR 상황이 종료된 후에도 적절한 후속 조치가 필요합니다. 먼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전문 구조대에게 상황을 인계합니다. 구조자들은 심리적 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원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CPR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향후 유사한 상황에서 더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입니다. CPR 상황 종료 후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간호 리더의 리더십 유형 분석 보고서 A+ / 리더십 유형 보고서 (실습 중 수간호사 선생님의 리더십 유형 분석!) 8페이지
간호관리학 임상실습간호단위 간호 리더의제출일자2023.과목간호관리학Ⅰ 임상실습실습기관실습기간실습부서담당교수학번이름리더십 유형 분석 보고서《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3원론적 행동유형1) 전제형2) 민주형3) 자유방임형* 3원론적 행동유형 - 부서관리자의 리더십 특징2.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1) 구조화2) 배려*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 - 부서관리자의 리더십 특징3. 피들러의 상황적합성 이론1) 리더십 행동의 분류2) 상황의 분류3) 상황과 지도자의 관계* 피들러의 상황적합성 이론 - 부서관리자의 리더십 특징...2023.10.01· 8페이지 -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환자간호관리 12페이지
REPORT간호단위관리 보고서1. 간호단위관리의 이해2. 환자간호관리목차 TOC \o "1-3" \h \z \u Hyperlink \l "_Toc50041925" 1절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PAGEREF _Toc50041925 \h 3 Hyperlink \l "_Toc50041926" 1. 간호단위관리의 개념 PAGEREF _Toc50041926 \h 3 Hyperlink \l "_Toc50041927" 2. 간호단위관리의 목표 PAGEREF _Toc50041927 \h 3 Hyperlink \l "_Toc50041928" 3. 간호...2020.09.15· 12페이지 -
[성인간호학] 발작(Seizure) Case Study - A+ 받은 자료 입니다! 19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 실습기관 :■ 실습기간 :■ 제출일자 :■ 지도교원 :■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성 명목 차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1. 원인2. 병태생리3. 종류4. 증상 및 징후5. 치료와 간호Ⅲ. 연구기간 및 방법Ⅳ. 간호과정1. 간호사정1) 개인력2) 건강력3) 간호력4) 신체검사5) 진단을 위한 검사6) 치료 및 경과7) 자료 조직 (의미 있는 자료 도출)2. 간호진단3. 간호계획4. 간호중재5. 간호평가Ⅴ. 결론*** 참고문헌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발작(seizure)이란 대뇌피질로...2017.09.27·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