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_배론_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_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본 내용은
"
A+_배론_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_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평가하는 듣기 평가 문항을 문항 분석 관점에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문항 분석
    한국어 능력시험(TOPIK)은 공인된 한국어 능력 검정 시험으로, 이미 수 해 동안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검증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능력시험 문항의 문제점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개선점을 찾는 것이 시험의 변별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과제에서는 오류가 있는 문항 5가지를 찾고 오류 분석 및 개선점을 도출해보고, 이에 더하여 제83회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출제된 듣기 평가 문항 중 5가지를 선택하여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항으로 개선점을 도출해 볼 것이다.
  • 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듣기 평가 문항은 다음과 같은 검토 기준을 갖는다. 듣기 자료의 실제성 여부, 교육 목표와의 연계성, 과제와 지시의 명확성, 유형에 따른 난이도 배열의 문제, 정답과 오답의 명확성, 문항 수의 적절성, 시간 배분의 문제 등이다. 눈에 보이는 글을 반복적으로 읽고 문제를 풀 수 있는 읽기 평가와 달리 듣기 평가는 한 순간에 지나가는 음성을 듣고 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선별하고, 정리하여 문제를 풀어야 하는 난이도 있는 시험 방식이다.
  • 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평가 문항 개선
    본 과제의 목적이 문항을 분석하고, 문제가 있는 문항의 개선방안을 찾으며 추후 한국어 교원으로 활동하게 되었을 때 좋은 문제를 출제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능력을 검증하여 더 효과적인 교육을 시행하기 위함이라고 판단하여, 광범위한 응시대상이 아닌 '학문 목적 한국어'라는 특정적인 목표를 갖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한국어 능력시험의 듣기 평가 문항이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지 제시하고자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문항 분석
    한국어 능력시험(TOPIK)은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시험입니다. 이 시험의 문항 분석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문항 분석을 통해 TOPIK 시험의 문항 구성, 난이도, 평가 영역 등을 면밀히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학습자 지도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TOPIK 문항 분석은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TOPIK 문항 분석 연구는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2.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 분석
    한국어 듣기 평가는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한국어 듣기 평가 문항에 대한 분석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문항의 구성, 난이도, 평가 영역 등을 면밀히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학습자 지도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학습자의 실제 듣기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문항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듣기 평가 문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평가 문항 개선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일반적인 한국어 학습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수학하기 위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로, 일상적인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듣기 평가 문항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학문적 듣기 능력의 구성 요소, 학습자의 요구 분석, 실제 학습 및 평가 상황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듣기 평가 문항을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실제 듣기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