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혈의 종류와 전후처치
본 내용은
"
수혈의 종류과 전후처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1
문서 내 토픽
-
1. 수혈의 목적수혈의 목적은 출혈로 인한 혈액 부족 시 순환 혈액량 보충, 혈액 응고 요소와 혈소판 수의 감소로 인한 기능장애 시 부족한 요소 공급,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혈구수 증가와 헤모글로빈 수준 유지, 혈액의 결핍 성분 보충 등이다.
-
2. 수혈의 종류수혈의 종류에는 Whole Blood(전혈), Pack cell(농축적혈구), Platelet(혈소판), Fresh Frozen Plasma(신선동결혈장) 등이 있다. 각각의 성분을 분리하여 수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3. 수혈 전 검사수혈 전 ABO&Rh type(T&S), Cross matching(CM), antibody screening test(AST) 등의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수혈 처방이 나면 72시간 이내 검체 채취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4. 수혈 전 과정수혈 전 과정에는 수혈 동의서 작성, 수혈 처방 확인, 18G~20G IV route 확보, 3 way 연결, 수액세트 준비 등이 포함된다.
-
5. 수혈 중 모니터링수혈 중에는 수혈 전, 시작 시, 15분 후, 30분 간격, 종료 시, 종료 30분 후 등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해야 한다.
-
6. 수혈 후 관리수혈 후에는 수혈 세트를 제거하고 카테터의 개방성을 확보하며, 수혈 기록지에 기록한다.
-
7. 수혈 부작용 대처수혈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환자 상태를 확인하며, 의사에게 알리고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
1. 수혈의 목적수혈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혈액 성분을 보충하거나 교체하여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수혈은 출혈, 빈혈,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의학적 상황에서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혈을 통해 환자의 혈액 성분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고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여 장기 기능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혈은 수술이나 외상 치료 시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암 환자의 항암 치료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반적으로 수혈은 생명을 구하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필수적인 의료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수혈의 종류수혈에는 크게 동종 수혈과 자가 수혈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동종 수혈은 타인의 혈액을 받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수혈 방식입니다. 자가 수혈은 환자 자신의 혈액을 미리 채취하여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투여하는 것입니다. 자가 수혈은 수혈 부작용 위험이 낮고 감염 가능성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혈액 보관이 필요하고 수술 전에 미리 채혈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동종 수혈에는 전혈 수혈, 성분 수혈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수혈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수혈 전 검사수혈을 받기 전에는 반드시 다양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혈액형 검사와 교차 반응 검사입니다. 혈액형 검사를 통해 환자의 ABO 혈액형과 Rh 인자를 확인하고, 교차 반응 검사로 환자의 혈액과 공여자의 혈액이 서로 적합한지 확인합니다. 이 외에도 감염 질환 검사, 항체 선별 검사, 혈액 성분 검사 등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수혈 부작용 위험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수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혈 전 환자의 건강 상태와 병력을 면밀히 확인하여 적절한 수혈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전 단계에서의 철저한 검사와 준비는 매우 중요합니다.
-
4. 수혈 전 과정수혈을 받기 위해서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다양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먼저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수혈이 필요한지, 어떤 종류의 수혈이 적절한지 판단합니다. 그 다음 수혈 전 검사를 실시하여 안전성을 확인합니다. 이후 수혈에 필요한 혈액 제제를 준비하고, 환자의 정맥에 수혈 라인을 연결합니다. 수혈 시작 전에는 반드시 환자의 동의를 구해야 하며, 수혈 과정 전반에 걸쳐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전 과정은 매우 체계적이고 세심한 절차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혈이 가능합니다.
-
5. 수혈 중 모니터링수혈 중에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혈 시작 직후부터 수혈 완료 후까지 환자의 활력 징후, 체온, 맥박, 호흡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부작용 발생 여부를 주시하고, 부작용이 발생하면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수혈 중에는 환자의 반응을 주기적으로 기록하고, 필요 시 의사에게 보고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중 모니터링은 안전한 수혈을 보장하고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6. 수혈 후 관리수혈이 완료된 후에도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수혈 후 환자의 활력 징후, 체온, 맥박, 호흡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수혈 후 환자의 혈액 성분 변화를 추적 관찰하고, 필요 시 추가 수혈이나 약물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수혈 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점검하여 수혈의 효과를 평가하고, 향후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후 관리는 수혈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7. 수혈 부작용 대처수혈 과정에서는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발열, 오한, 두통, 구토, 혈압 변동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나 용혈성 수혈 반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이 발생하면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필요 시 해열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 투여, 수액 공급, 산소 공급 등의 처치를 신속하게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부작용의 원인을 파악하고 향후 수혈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부작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8. 수혈 부작용 대처수혈 과정에서는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발열, 오한, 두통, 구토, 혈압 변동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나 용혈성 수혈 반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이 발생하면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필요 시 해열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 투여, 수액 공급, 산소 공급 등의 처치를 신속하게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부작용의 원인을 파악하고 향후 수혈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처럼 수혈 부작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신속한 대응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내과] 수혈의 종류, 부작용 및 간호1. 수혈의 종류 수혈에는 전혈, 농축적혈구, 농축혈소판, 신선동결혈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제제의 성분, 적응증, 용량, 주입시간, 기대효과가 다르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제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2. 수혈의 부작용 수혈 시 발열, 알레르기 반응, 용혈반응, 순환과잉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2025.01.03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빈혈 ppt 극찬받았습니다.1. 혈액의 구성 및 기능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와 영양소 운반,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 감염 방어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은 각각 고유한 특성과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빈혈의 종류와 증상 빈혈은 적혈구 수, 혈색소, 적혈구 용적비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재생불량성, 철결핍성, ...2025.05.06 · 의학/약학
-
수혈1. 수혈의 목적 수혈의 목적은 어떤 질환으로 인하여 혈액 및 혈액성분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정맥주입을 통하여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고,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며,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하고, 혈액의 결핍된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다. 2. 수혈의 기본수칙 수혈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는 환자 곁에...2025.05.12 · 의학/약학
-
위수술 사전학습 시뮬레이션1. 통증의 정의, 발생과정, 전달이론, 통증의 종류 통증은 실제 또는 잠재적인 신체손상과 관련된, 불쾌한 감각이나 감정적 경험을 의미합니다. 통증의 발생과정은 통증자극의 도입, 전달, 조정, 지각의 4단계로 진행되며, 통증의 전달이론에는 영향이론, 특이성이론, 형태이론, 관문통제 이론이 있습니다. 통증의 종류는 기간에 따라 급성통증과 만성통증으로, 병태생...2025.05.08 · 의학/약학
-
수술을 위한 마취의 이해1. 수술 전 준비 수술이 결정되면 혈액 검사, 흉부 X-ray, CT, MRI 촬영 등 수술에 필요한 검사를 하며, 수술 전에 환자와 보호자는 의료진에게 합병증이나 마취과정에 필요한 비급여 진료, 장비 사용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마취동의서를 작성합니다. 입원 후에는 수액 주입, 항생제 피부 반응 검사, 금식 등의 준비를 합니다. 2. 수술실 환경 수술실...2025.05.13 · 의학/약학
-
신규 간호사 현장(실습) 교육 평가표_교육 간호사 (간호교육팀)1. 간호단위 구조 및 용도 병실번호, 처치실, 배선실, 음압방, 감염 격리방, monitoring room 등 간호단위의 구조와 각 실의 용도에 대해 설명합니다. 2. 병동 구조 및 시설 사용법 TV, side table 작동법, call bell, 옷장 등 병동 내 시설물의 사용법을 안내하고, 기송관, 컨베이너, 인터폰, 소화기 등 시설 사용법을 교육합...2025.01.18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 의료현장의 환자 안전 및 예방 관리 사례 (긍적적 사례 1개 부정적 사례 1개) 5페이지
간호관리학(2)[의료현장의 환자안전?예방관리]과 목실습일자집담회 담당교수제 출 일제 출 자Ⅰ. 문헌고찰1. 안전관리란?안전관리는 의료의 질 향상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계획된 과정이다. 그 목적은 환자, 직원 및 방문객에게 나타날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2. 목표각 의료기관이 중요하게 관리하는 간호단위의 환경관리로서 단위의 시설이나 환경을 통하여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2021.02.13· 5페이지 -
간호진단NANDA 간호과정에 필요한 자료 (~와 관련된, 간호중재, 간호지식 등)-진짜 좋은 자료보장함 ㅠㅠ 26페이지
1. 간호진단2. 유발요인(원인, ~와 관련된)3. 추가사정내용4. 간호중재5. 간호지식목차1. 비효율적 호흡양상/ 가스교환 장애2. 심박출량감소 (울혈성 심부전)3. 심장조직관류 감소의 위험(협심증, 심근경색)4. 체액과다5. 체액부족(체액부족의 위험성, 전해질불균형 위험성)6. 고체온7. 영양부족, 영양부족의 위험성8. 급성통증/만성통증9. 감염의 위험10. 출혈의 위험11. 불안12. 급성혼돈/만성혼돈13. 활동지속성장애14.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인슐린 부족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당뇨병성 케톤산증)15. 비효과적 위장...2022.01.31· 26페이지 -
수액 요법과 수혈요법 3페이지
수액요법과 간호기록일자수액종류성분적응증간호요점5% D/W1리터에 포도당이50g 들어있다.포도당은 혈청 칼슘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어 이 작용을 이용하여 고칼륨혈증의 일시적인 치료에 사용한다.심부전, 만성심부전, 폐부종등 V/S stable 할 때 체액용적 증가 효과가 Salin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서 volume overload를 주의해야 할 환자에게 사용(단, 당뇨병이 있을 시 제외)5% D/S5% 포도당(50g)과 0.9%의NaCl이 함유되어 있는 수액제(1리터에 포도당 50g과 염화나트륨 포함)탈수시 수분, 전해질의 보급...2020.07.09· 3페이지 -
중환자실 실습 사전과제 -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 안전관리, 장비 및 기계 등 30페이지
1. 중환자실의 종류, 구조와 시설1) 중환자실의 종류ACUAcute Care Unit응급중환자실CCUCoronary Care Unit심장내과중환자실CSICUCardiac Surgical Intensive Care Unit흉부외과중환자실MICUMedicine Intensive Care Unit내과중환자실NICUNeonatal Intensive Care Unit신생아중환자실NRICUNeurological Intensive Care Unit신경내과중환자실NSICUNeuro-surgical Intensive Care Unit신경외과중환자...2023.08.06· 30페이지 -
A+ 수혈간호 보고서 (혈액제제, 부작용 간호, 감염관리, 핵심술기, 간호력과 면담기술 모두 포함) ALL IN ONE 12페이지
수혈 간호 보고서 총정리(혈액제제, 부작용 간호, 감염관리,핵심술기, 간호력과 면담기술)1. 혈액제제 종류(PRBC, PC, FFP 등) 및 목적, 혈액제제별 보관 및 투여방법, 관련 혈액검사수치2. 수혈부작용 사정, 수혈부작용에 따른 치료적 중재방안3. 감염관리4. 핵심술기(수혈간호, 활력징후 측정(TPR, BP), 정맥주사요법)5. 간호력과 면담기술6. 참고문헌수혈은 혈액을 주입해 부족한 혈액 성분이나 전혈을 주입하는 치료 방법이다. 적혈구 등 혈액 성분을 공급하거나 혈액량을 유지하며, 치료 과정이나 외과적 처치 목적으로도 사용...2025.02.15·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