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가의 유형(윌렌스키와 르보, 티트머스, 미쉬라, 존스, 퍼니스와 틸튼의 복지국가유형)
본 내용은
"
복지국가의 유형(윌렌스키와 르보, 티트머스, 미쉬라, 존스, 퍼니스와 틸튼의 복지국가유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9
문서 내 토픽
  • 1. Wilensky와 Lebeaux의 복지국가 유형
    Wilensky와 Lebeaux는 복지국가의 유형을 잔여적(residual) 복지제도와 제도적(institutional) 복지제도로 구분했다. 잔여적 복지제도는 가족, 시장 등 사회의 정상적인 제도가 복지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만 정부가 최소한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제도적 복지제도는 국가의 역할이 확대되어 보편적이고 높은 수준의 복지 급여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 2. Titmuss의 복지국가 유형
    Titmuss는 복지제도의 유형을 '잔여적' 유형, '산업적 성취능력(industrial achievement performance)' 유형, '제도적 재분배(institutional redistributive)' 유형으로 구분했다. 잔여적 유형은 가족과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고, 산업적 성취능력 유형은 사회복지 제공을 시장에서의 업적과 연계시킨다. 제도적 재분배 유형은 국가의 보편적 복지 제공을 강조한다.
  • 3.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
    Mishra는 복지국가를 '다원적 또는 분화된(Plural or differentiated)' 복지국가와 '조합주의적 또는 통합된'(corporate or integrated) 복지국가로 구분했다. 전자는 경제와 구분되고 대립되는 잔여적 복지제도를 가지며, 후자는 사회복지와 경제가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가지는 통합적 복지제도를 가진다.
  • 4. Jones의 복지국가 유형
    Jones는 복지국가를 복지 자본주의(welfare capitalism)와 복지자본주의(welfare capitalism)로 구분했다. 전자는 사회적 또는 국가적 성취와 관련된 사회복지를 강조하고 자본주의 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후자는 시민권을 바탕으로 한 보편적 사회복지 제공과 평등 추구를 목표로 한다.
  • 5. Furniss와 Tilton의 복지국가 유형
    Furniss와 Tilton은 복지국가를 사회보장국가, 사회복지국가, 적극적 국가로 분류했다. 사회보장국가는 최소한의 복지만을 보장하는 국가이고, 사회복지국가는 적극적으로 불평등 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국가이며, 적극적 국가는 경제적 효율성과 시장을 중시하는 국가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Wilensky와 Lebeaux의 복지국가 유형
    Wilensky와 Lebeaux는 복지국가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잔여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장 실패 시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 제공을 의미합니다. 둘째, 산업화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제도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민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가 보편적이고 관대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Wilensky와 Lebeaux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은 복지국가의 발전 과정과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 2. Titmuss의 복지국가 유형
    Titmuss는 복지국가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잔여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장 실패 시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 제공을 의미합니다. 둘째, 산업적 성과 모델로, 이는 경제 성장을 위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제도적 재분배 모델로, 이는 시민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가 보편적이고 관대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itmuss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은 복지국가의 목적과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3.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
    Mishra는 복지국가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자유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장 실패 시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 제공을 의미합니다. 둘째, 보수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전통적인 가족 구조와 직업 중심의 복지 제도를 강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민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가 보편적이고 관대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넷째, 발전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경제 성장을 위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ishra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은 이념과 정치적 성향에 따른 복지국가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 4. Jones의 복지국가 유형
    Jones는 복지국가 유형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자유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장 실패 시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 제공을 의미합니다. 둘째, 보수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전통적인 가족 구조와 직업 중심의 복지 제도를 강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사회민주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민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가 보편적이고 관대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Jones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은 Mishra의 구분과 유사하지만, 각 유형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 5. Furniss와 Tilton의 복지국가 유형
    Furniss와 Tilton은 복지국가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습니다. 첫째, 최소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장 실패 시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최소한의 복지 제공을 의미합니다. 둘째, 산업화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셋째, 제도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시민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해 정부가 보편적이고 관대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넷째, 발전주의적 복지국가 모델로, 이는 경제 성장을 위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Furniss와 Tilton의 복지국가 유형 구분은 Wilensky와 Lebeaux, Titmuss, Mishra 등의 구분을 종합하여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