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식도위십이지장 내시경(EGD/EsophagoGastroDuodenoscopy) 보고
본 내용은
"
A+ 식도위십이지장 내시경(EGD/EsophagoGastroDuodenoscopy) 보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9
문서 내 토픽
  • 1.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
    식도, 위, 십이지장 내시경 검사는 기다란 신축성 있는 내시경 튜브를 입을 통해 식도로 삽입하여 위, 십이지장까지 관찰하며, 이상이 있는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위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염 등의 위와 십이지장에 발생하는 질환이 많아 내시경 검사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내시경 기계의 발달로 수mm크기의 조기 위암이나 식도암의 조기 진단도 가능합니다.
  • 2.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
    내시경 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원인이 불명확한 구토증, 만성적인 상복부 통증, 야간취침 중에 또는 새벽에 나타나는 복통, 약물 복용으로 발생한 복통, 방사선 검사상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동전, 반지 등의 이물질을 삼킨 경우, 기타 뚜렷한 원인이 없는 상복부 불쾌감, 식욕부진, 체중감소, 구역질, 원인 불명의 철 결핍성 빈혈, 위, 십이지장 궤양을 앓았거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위암으로 수술을 받았거나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등입니다.
  • 3. 내시경 검사의 금기사항
    내시경 검사의 금기사항은 환자의 협조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중증의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 식도게실 환자, 고령이나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직후, 부정맥, 심부전, 호흡곤란 등이 있는 경우, 최근에 위장관계 수술을 받은 경우 등입니다.
  • 4. 내시경 검사의 목적
    내시경 검사의 목적은 식도, 위, 십이지장의 병변이나 비정상적인 소견의 존재 여부 파악, 식도 내 이물질 제거, 위벽의 운동성과 점도 사정, 종양, 정맥류, 점막의 염증, 폴립, 림프종, 궤양 및 폐색 확인, 용종 제거, 식도 확장, 지혈 등 치료적 행위 등입니다.
  • 5. 내시경 검사 전 준비사항 및 주의사항
    내시경 검사 전 준비사항 및 주의사항은 검사 전날 저녁 소화되기 쉬운 음식을 가볍게 먹고, 밤 12시부터 금식, 술과 물 섭취 및 흡연 금지, 아스피린, 혈전용해제, 항응고제 등을 복용하는 경우 내시경 검사 전 담당 주치의와 상의, 당뇨병이 있는 경우 검사 당일 아침에 저혈당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인슐린 주사와 당뇨약 복용 중지, 고령자의 경우 보호자 동반, 치아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 검사 전 치과 치료,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의료진에게 알리기, 의치 제거, 젤네일 제거 등입니다.
  • 6. 내시경 검사 과정 및 간호
    내시경 검사 과정 및 간호에는 검사 전 검사 목적 및 과정 설명, 위장 내 기포제거제 투여, Buscopan 근육주사, 국소마취제 분무, 진정/마취제 투여, 검사 중 체위 유지, 혈압/맥박/산소포화도 측정, 치아 보호용 덮개 및 교합방지장치 사용, 조직 생검, 검사 후 회복실 안정, 금식 등이 포함됩니다.
  • 7. 내시경 검사 결과
    내시경 검사 결과는 정상소견과 비정상소견으로 구분됩니다. 정상소견은 식도, 위 및 십이지장 점막이 부드럽고 매끈하며 옅은 붉은색의 염증, 궤양, 협착 또는 다른 비정상 소견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이며, 비정상소견에는 염증, 기형, 악성종양, 양성종양, 궤양, 협착, 외상, 출혈, 정맥류 등이 포함됩니다.
  • 8. 내시경 검사의 합병증
    내시경 검사의 합병증에는 약물에 의한 과민반응, 부정맥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 계통의 합병증, 저산소증이나 폐렴과 같은 호흡기 계통의 합병증, 발열이나 패혈증과 같은 감염증, 출혈, 천공(식도, 위 또는 장에 구멍), 복통 등이 있습니다. 내시경실에는 이런 합병증에 대비한 여러 장비가 비치되어 있으며, 긴급한 사태 발생 시 입원 치료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
    내시경 검사는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의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의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병변이나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환자의 협조와 이해가 필요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 2. 주제4: 내시경 검사의 목적
    내시경 검사의 주요 목적은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의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의 상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병변이나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는 위암, 식도암,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또한 출혈, 협착, 폐쇄 등의 합병증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시경 검사의 목적을 설정해야 합니다.
  • 3. 주제6: 내시경 검사 과정 및 간호
    내시경 검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환자는 검사실에 입실하여 검사 전 준비를 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의서를 받습니다. 그 후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목 부위를 마취하고, 내시경을 천천히 삽입합니다. 내시경을 통해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을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가 끝나면 내시경을 제거하고 환자를 관찰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간호를 제공합니다. 의사와 간호사는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하여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 4. 주제8: 내시경 검사의 합병증
    내시경 검사는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 천공, 감염 등입니다. 출혈은 조직 검사 시 발생할 수 있으며, 천공은 내시경 삽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은 내시경 기구 소독 미흡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호흡 곤란, 심혈관 합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와 검사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여 합병증을 예방하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해야 합니다. 환자 또한 검사 후 이상 증상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