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실험12-14주차(MAP포장)
본 내용은
"
식품공학실험12-14주차(MAP포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9
문서 내 토픽
  • 1.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이번 실험에서는 방울토마토를 이용해서 PP필름과 PE필름 중 어떤 필름이 MA포장이 더 적합한지 알아보았다. 지표로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분압, 당도, 색소, 질량감소율을 측정해서 비교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소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는 증가했으며 색도는 낮아졌다. PP필름의 산소 분압이 더 낮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더 높아 MA포장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당도와 중량 감소는 PE필름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단기 저장에는 PP필름, 장기 저장에는 PE필름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 2. 호흡률 계산
    MAP의 핵심은 담길 식품의 호흡률이다. 농산식품의 호흡률을 계산하는 식은 R=Vm*po2/{Km+(1+pco2/ki)}*po2이다. 여기에서 R은 식품 호흡에 의한 기체의 CO2방출 또는 O2소모 속도이고 Vm은 최대호흡속도, Km은 Michaelis-Menten상수, Ki는 실험 data base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상수이다. 이를 통해 각 농산물의 호흡률을 예측할 수 있고 그 계산 값을 바탕으로 최적의 기체조성을 예측할 수 있다.
  • 3. 필름 투과도
    MAP에서 또 가장 중요한 것은 필름 투과도이다. 이것에 대한 식은 P=P0exp[Ea/R*(1/T0-1/T)]이다. 여기서 P: 필름의 기체 투과도, R: 기체상수(0.008314kJ/mol*K), Ea: 활성화에너지이다. 필름의 기체 투과도는 온도에 큰 영향을 받으며, 필름의 두께, 면적, 분자 구조, 필름의 종류, 기체 농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 4. 포장재 종류
    MAP에 주로 사용되는 필름에는 PE, PP, PVDC, PET 등이 있다. PE필름은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로서, 독성도 없고 열 접착이 잘 되어 가장 많이 이용된다. PP는 고압 PE와 비슷하며 투명도도 유사하다. PVDC는 염화비닐리덴과 염화비닐을 배합해서 만든 필름으로 방습성, 내수성, 내열성이 좋고 가스의 투과성이 낮다. PET는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의 축합 중합물로 질기고 단단하며 무색 투명하다.
  • 5. 실험 결과 분석
    실험 결과, PP필름이 PE필름보다 산소 분압이 더 낮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더 높아 MA포장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당도와 중량 감소는 PE필름이 더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단기 저장에는 PP필름, 장기 저장에는 PE필름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 결과가 불규칙하여 큰 변화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온도와 필름 두께 등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가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은 식품 포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식품의 신선도와 유통기한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식품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MAP는 식품 내부의 가스 조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식품의 산화를 방지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MAP는 식품의 외관과 질감을 유지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MAP는 식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호흡률 계산
    호흡률 계산은 식품의 신선도와 유통기한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식품의 호흡률은 식품 내부의 가스 조성 변화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호흡률 계산을 위해서는 식품의 특성,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호흡률 계산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계산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호흡률 계산은 식품의 유통기한 설정, 포장재 선택, 저장 조건 설정 등에 활용될 수 있어 식품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필름 투과도
    필름 투과도는 식품 포장재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필름 투과도는 포장재를 통해 가스, 수분, 열 등이 얼마나 잘 통과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식품의 신선도와 유통기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포장재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필름 투과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식품의 품질 저하, 변질, 부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품의 특성과 저장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필름 투과도를 가진 포장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신선도와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4. 포장재 종류
    식품 포장재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각 포장재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의 특성과 저장 조건에 따라 적절한 포장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유리, 종이 등의 포장재는 각각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식품의 보존성, 안전성, 편의성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포장재의 가스 투과도, 수분 투과도, 내열성 등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따라서 식품 제조업체는 식품의 특성과 유통 환경을 면밀히 분석하여 최적의 포장재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5. 실험 결과 분석
    실험 결과 분석은 식품 포장 기술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면 식품의 품질 변화, 포장재의 특성, 저장 조건의 영향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 품질 향상,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한 최적의 포장 기술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분석 시에는 통계적 분석 기법, 데이터 시각화, 모델링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포장재 선택, 저장 조건 설정, 유통 프로세스 개선 등 실제 적용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