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CU 실습 Nursing Narratives
본 내용은
"
ICU실습 Nursing Narrative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8
문서 내 토픽
-
1. 중환자실 구조와 물품 및 기구실습 첫날에 먼저 중환자실에 적응하기 위해 전반적인 구성과 환자 현황 등을 관찰하였다. 중환자실은 환자 수가 대략 10명 정도로 대부분 접촉주의 환자들이 있었고 격리실 룸 1개, 나머지 베드 14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듀티당 3명의 간호사 선생님이 차팅 담당, 차팅과 액팅 담당, 액팅 담당으로 나누어서 팀 간호제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모든 침상에 활력징후 모니터(EKG)가 있어 환자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환자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손소독제가 달려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곳곳에 놓인 카트 위에는 AP 가운, 비닐장갑, 라텍스장갑, Surgical Masks, 소독와입스 물티슈, electrode, 손소독제 등이 놓여있다. 바닥에는 의료폐기물과 격리의료폐기물 전용용기가 여러 개 놓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2. 중환자분류체계ICU 실습 중 만난 최**(M/76) 님은 cancer Dx 받은 환자로 항암 5차 중 중단 후 supportive care 위해 외래 입원하였다. 2021년 5월 3일 집중치료 및 간호를 위해 Stretcher cart에 실려 소화기내과에서 중환자실로 전동하여 ICU 환자분류표 총 점 75점으로 4군으로 분류되는 대상자이다.
-
3. VRE 환자 관리대상자는 Enterococcus VRE 감시배양 검사에서 VRE균 동정되어 접촉주의에 준수하여 코호트격리를 적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나는 환자 침상 주위를 관찰해보면서 환자 손목에서 파란색 감염팔찌(name tag)가 부착된 것과 침상 내 감염위험인식표(접촉주의표시)가 부착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격리준비물품(혈압계, 청진기, 체온계, 토니켓, 알코올젤, 기저귀, 장갑, 소변기 통, 격리의료폐기물용기 등)을 사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4. 억제대 관리대상자는 낙상 고위험군으로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었고, 양 손목에 신체보호대가 적용되어 간호사가 2시간마다 피부 및 순환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대상자가 힘을 이용하여 억제대를 풀려 하였고 간호사는 억제대를 다시 묶고 나는 옆에서 이를 보조하였다.
-
5. feeding 간호오전 7시경 주치의 처방을 통해 대상자 NPO 유지 중으로 간호사가 대상자의 우측 팔 말초삽입형 중심정맥 카테터를 통해 카비벤페리 1440ml+RI 19unit mix 60cc/hr을 주입하여 영양을 공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6. 신체사정나는 시진을 통해 대상자가 황달 증상으로 인해 전신이 노란색인 것과 대상자의 운동력(손 꽉 쥐기, 다리 들기)을 사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Limb movement가 Rt arm 5/ leg 4, Lt arm 5/ leg 4 측정되었다. 또한 촉진을 통해 양 하지에 압력을 제거했을 때 압력의 흔적이 남아 있는 Pitting edema(+)으로 부종 상태를 확인하였고, 다리를 붕대로 감고 베개를 이용하여 거상을 유지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
7. 의식 및 동공상태 관찰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drowsy상태였으며, 대상자에게 성함과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여기가 어딘지 물어보면서 지남력이 부분적으로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CS 측정 결과: E 4/ V 4/ M 5 이며 pupil reflex: Rt 2++/ Lt 2++ checked를 관찰하였다.
-
8. 욕창예방 간호나는 간호사를 도와 Position change를 도와드렸다. 나는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시행한 후 AP 가운과 비닐장갑을 착용하고 간호사가 대상자의 기저귀를 벗기고 피부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옆으로 돌 수 있도록 지지하였다. 대상자는 Braden scale 12점으로, 간호사는 욕창예방을 위해 대상자의 등을 타진하였고, 꼬리뼈 부위 발적 관찰되어 써지폼을 부착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욕창예방을 위해 Air mettres가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
9. 활력징후 모니터나는 간호사를 도와 vital sign과 SpO2를 측정하였다. 나는 손소독을 한 후 AP 가운과 비닐장갑을 착용하고 EKG start을 눌러 v/s 측정결과 100/60mmHg ? 36.3°C ? 99회/min ? 20회/min 임을 확인하였다. EKG alarm에서 SpO2가 뜨지 않아 나는 대상자의 이마에 SpO2 센서를 다시 붙여주었다.
-
10. O2 inhalation-nasal cannula또한 나는 산소 3/L가 비강 캐뉼라를 통해 흡입 중인 것을 관찰하였고 SpO2 98% 임을 측정하였다.
-
11. 투약간호오후 2시경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였고,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가서 통증 양상과 빈도를 사정하는 것을 보았다.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전신이 칼로 벤 것처럼 아프다고 말하였고 NRS 8점으로 측정되었다. 간호사는 이를 바로 noti하고 주치의 처방에 의한 아티반 0.5@을 IV를 통해서 주입구를 알콜솜으로 닦고 3-way를 돌려서 연결한 후 regurgitation 하여 line 개방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주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12. 통증관리 분류 및 관리이 후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된 모습 보이며 NRS 2점으로 측정되었다.
-
13. intake&output 간호오후 2시 40분경 foley catheter 대상자들의 urine bag을 비워주면서 최** 님의 Foley가 16Fr 2-way로서 keep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foley의 개방성 유무, 소변의 색과 양을 관찰하였다. 또한 배액관이 꼬이지 않고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바닥에 닿지 않도록 잘 유지시켰다. output 300cc, Billirubinuria, 탁한 소변 관찰되어 간호사에게 보고하였다.
-
14. 각종 카테터 관리오후 2시 40분경 foley catheter 대상자들의 urine bag을 비워주면서 최** 님의 Foley가 16Fr 2-way로서 keep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foley의 개방성 유무, 소변의 색과 양을 관찰하였다. 또한 배액관이 꼬이지 않고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바닥에 닿지 않도록 잘 유지시켰다.
-
1. 주제2: 중환자분류체계중환자분류체계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중증도를 평가하고 적절한 간호 인력을 배치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집중 치료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분류체계는 환자의 생리적 지표, 의식 수준, 활동 능력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중증도를 판단합니다. 이러한 체계는 의료진의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돕고 효율적인 자원 배분을 가능하게 합니다. 중환자실 운영에 있어 중환자분류체계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억제대 관리중환자실에서 억제대 사용은 환자의 안전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부적절한 사용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억제대 사용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최소한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사용 시에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억제대 사용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환자 중심의 안전한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3. 주제6: 신체사정중환자실 환자의 신체사정은 환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의식 수준, 호흡 양상, 피부 상태, 배설 양상 등 다양한 신체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결과와 생리적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문제를 신속히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성과 세심한 관찰력이 신체사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욕창예방 간호중환자실 환자는 장기 침상 안정, 영양 불량, 의식 저하 등의 요인으로 욕창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체계적인 욕창 예방 간호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피부 사정, 체위 변경, 압력 재분산 지지면 사용, 영양 관리 등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욕창 발생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욕창 예방과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주제10: O2 inhalation-nasal cannula중환자실 환자에게 산소 공급은 매우 중요한 치료 중재입니다. 특히 nasal cannula를 통한 산소 흡입은 비침습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산소 농도와 유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nasal cannula 사용 시 환자의 호흡 상태, 산소 포화도, 피부 색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산소 공급이 적절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nasal cannula 착용 시 피부 자극이나 압박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중재도 필요합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적인 산소 요법 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6. 주제12: 통증관리 분류 및 관리중환자실 환자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심각한 통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통증은 환자의 회복과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통증 관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통증 사정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통증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진통제 투여, 비약물적 중재 등 다각도의 접근으로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치료 계획을 수정해야 합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적인 통증 관리 역량은 환자의 안위와 치료 성과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성인간호학실습] 임상포토폴리오 11페이지
1. Nursing Narratives 작성(Checklist 내용포함)ICU 실습 중 만난 황**(F/83)님은 ICU 환자분류표 총점 94점으로 5군에 속하는 대상자로서(중환자간호: 중환자 분류체계) 2021년 03월 09일 오후 2시 25분경 8병동에서 ICU로 전동소식을 듣고 간호사의 지시 하에 침상을 닦고 이전 물품을 정리하였다. 오후 3시 40분경 bed making, BST, regulator, 에어 매트릭스, Foam dressing (환자안전간호: 욕창예방간호)등을 준비하는 것을 도왔고 오후 4시20분경 urine에...2022.05.06· 11페이지 -
임상포트폴리오 작성 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ⅢClinical Portfolio과목담당 교수님반 / 학번이름1. Nursing Narratives 작성ICU 실습 중 만난 박**(F/86)은 2021년 5월 6일에 화장실에서 slip down 후 생긴 상기 증상으로 2021년 5월 9일 오후 3시경 119 구급차를 타고 Stretcher cart에 실려 응급실을 통해 중환자실로 입원하였다. 진단명은 대뇌반구 피질의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ge)로 주증상은 Lt. arm pain, both leg pain 및 허리와 팔 동통이며 과거력으로 ...2021.06.04· 8페이지 -
성인 포트폴리오 8페이지
포트폴리오(1) Nursing Narratives중환자실에서 실습 중 만난 조**(M/91)는 21년 1월 27일경 2층계단 내려오다가 낙상 이후 해운대 백병원 응급실 내원, 영상 검사상 multiple fx.로 ICU입원 중 aspiration pneumonia 소견보여 Ventilator & Tracheostomy 시행 후 치료 하다가 fever 있어 CT 촬영상 cholecystits 소견으로 2월 15일 PTGBD 시행 후 본원에서 치료 원하여 EMS 통해 보호자(며느리, 손녀)와 함께 3월 15일에 응급실 내원하였다. 타병...2021.05.31· 8페이지 -
노인간호학 실습 폐렴 문헌고찰/ Nursing Narratives 임상포트폴리오 3페이지
노인간호학 임상실습임상포트폴리오((Clinical Portfolio))pneumonia2. 문헌고찰 (해부생리 및 질환)폐렴 (Pneumonia) :폐실질에 일어나는 급성 염증상태. 폐조직의 부종과 폐포의 수분이동을 야기하는 염증성 과정으로 저산소증을 유발-병태생리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염증 발생-발병과정 :병원체가 기도점막 침입, 폐포에서 번식 → 세균번식 부위 수분과 삼출물 고이고 다른 감염 증상 나타남 →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 적혈구와 섬유소 폐포 내로 유입 → 액체가 폐포 채우면 식균작용어려움, 액체가 세균을 ...2021.02.13· 3페이지 -
응급실 및 중환자실 nursing narrative (Drug Intoxication) 6페이지
1. Nursing Narratives 작성ICU 실습 중 만난 박**(F/28)님은 24.03.08. 새벽 2시경 불안한 마음 들어 소주 1병과 평소 복용 중인 약물 30봉지 한꺼번에 복용 후 여동생의 119 신고로 발견되어 새벽 4시경 ER 통해 내원하였다. 진단명은 Drug Intoxication(약물중독), Aspiration Pneumonia(흡인성 폐렴)으로 주증상은 Drug Intoxication(약물중독)이며, 과거력으로 [2017년] 자궁근종, [2021년] 편도선염, [2021년] 우울장애, [2024년] 협심증이...2024.05.21·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