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전실1_ADDA컨버터응용전기회로_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응전실1_ADDA컨버터응용전기회로_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5
문서 내 토픽
-
1.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실험 과정에서 7490 카운터소자를 이용하여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계단형으로 파형이 반복적으로 잘 나타났다. 예비보고서에서 실행한 시뮬레이션에서는 계단 파형이 총 16개가 반복되는 모양이었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계단 파형이 총 10개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실험에서 7490 카운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7490 카운터는 10진 카운터를 할 수 있으며, 내부에 2진 카운터와 5진 카운터가 있기 때문에 2진 카운터의 출력을 5진 카운터의 clock에 입력하면 결과적으로 10진 카운터로 작동하게 되어 오실로스코프에 10개의 파형이 나타난 것이다.
-
1.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전압 가산형 D/A 변환기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중요한 회로 중 하나입니다. 이 변환기는 디지털 입력 신호를 가중치가 다른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는 간단한 구조와 높은 정확도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디오, 비디오, 계측 장비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변환기의 성능은 디지털 입력 신호의 비트 수, 출력 전압 범위, 선형성, 해상도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응용 분야에 따라 적절한 사양의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압 가산형 D/A 변환기는 디지털 시스템과 아날로그 시스템을 연결하는 핵심 부품으로서, 앞으로도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