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동 이동 간호
본 내용은
"
병동 이동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4
문서 내 토픽
-
1. 이동 간호 절차이동 전에 대상자와 간호사의 안전을 확신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검토하고, 이동하는 동안 협조가 가능한 대상자의 움직임과 강도를 사정한다. 간호사가 협조해야 하는 지지의 양과 형태를 결정하며, 이동절차에 관해 설명하고 대상자가 해야 할 일을 자세히 설명한다. 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간호사가 서 있는 반대쪽 침상 난간을 올리고, 이동할 때 안전하고 편안한 높이로 침상 높이를 조절한다. 이동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의료기구들을 미리 정리하며, 이동 후 대상자가 바른 선열을 유지하고 압력을 받고 있지 않은지 평가한다.
-
2. 휠체어 이용 이동 방법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는 휠체어를 환자의 건측 침상 머리에 비스듬히 놓고 바퀴를 잠그며, 환자의 양발을 침대 밖으로 늘어뜨리고 간호사의 무릎으로 환자의 마비측 무릎을 지지한다. 환자가 건강한 손으로 휠체어 팔걸이를 잡도록 하고, 간호사가 환자의 허리를 굽혀 몸을 회전시켜 앉힌다.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할 때는 휠체어를 환자의 건측 침상 머리로 비스듬히 위치시키고, 간호사의 무릎으로 환자의 마비측 무릎을 지지하며 환자가 건강한 손으로 침대를 지지한다. 바닥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때는 간호사가 환자의 바닥에 무릎을 대고 건강한 손으로 휠체어를 잡아 들어올린다. 휠체어에서 바닥으로 이동할 때는 환자가 건강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간호사가 환자의 환측에서 지지한다. 문턱 오르내리기, 경사로 이동, 엘리베이터 이용 등의 방법도 설명되어 있다.
-
1. 이동 간호 절차이동 간호 절차는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이동 보조 기구를 선택하여 환자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성과 경험이 필수적이며, 환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동의와 협조를 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이동 간호 절차에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절차를 조정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습니다.
-
2. 휠체어 이용 이동 방법휠체어를 이용한 이동 방법은 환자의 이동성 제한을 해결하고 독립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휠체어 이용 시 환자의 신체적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를 선택하고,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을 위해 올바른 이동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휠체어 이용 시 환경적 요인, 예를 들어 문턱, 경사로, 좁은 통로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 인력을 동원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이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동전과전실환자관리1. 전동/전과/전실 환자관리 환자를 다른 병동으로 보내는 경우 이동할 병실 확인 후 환자 보호자에게 이동을 설명하고, 이동 받는 병동에서 필요한 의료장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연락하며, 간호기록을 정리하고 환자를 인계한다. 이동 시 준비물품으로 투여되던 모든 약, 약카드, 이름표, 검체, 의료소모품 등을 확인하며, 중환자실로 이동할 때는 중환자실 입실동의서...2025.05.08 · 의학/약학
-
낙상 예방 간호 시행을 통한 낙상 위험성 감소1. 낙상 예방 간호 낙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병원 내 안전사고로, 낙상이 발생하면 추가적인 치료 및 건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000병동에서는 최근까지도 낙상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QI를 통하여 낙상 발생률을 감소시켜 환자들의 안전을 향상시키고 치료 비용을 감소하는 등의 효과를 발생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자, 보호자, 간호사...2025.01.17 · 보건
-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의 협력1.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의 협력 이 사례는 일반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의 협력과 조정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소아마비 기왕력이 있는 54세 여환 김OO 님은 거동이 불편하고 지능이 7세 수준으로 24시간 내내 상주 보호자가 필요한 상황이었습니다. 일반병동에서는 보호자 없이 간호사와 간호 보조 인력으로 구성된 팀이 환자 돌봄 서비스...2025.01.03 · 보건
-
소아병동 위험요인과 안전한환경조성 방안에 대하여1. 아동 병동 내 위험요인 아동 병동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위험 요인으로는 진정, 낙상, 투약오류가 있다. 진정은 아동 병동에서 필수적인 처치이지만 아이들이 공포를 느끼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낙상의 경우 아이들이 침대 난간을 넘나들거나 보호자가 자리를 비우는 순간 발생할 수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투약오류는 아동의 체구와 해부학적 특성상 성인에...2025.01.17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신경과(NS)실습 주간보고서, 실습 일지1. 병동 분위기 익히기 병동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익혔다. 차팅 선생님이 3분, 액팅 선생님이 3분 계시며 9월11일 기준 총 54명의 환자가 있었다. 한양대학교 신경외과 병동은 abcde 5팀으로 팀간호를 하며 간호사실에는 약물준비, 처치실 등이 있으며 기둥 쪽에는 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카트가 있다. 스테이션 안에 수술 후 아이스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얼...2025.01.2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소아병동 간호사 다큐멘터리 전문분야 간 협력관계 보고서1. 소아병동 간호사의 역할 소아병동 간호사는 입원한 아동 환자와 보호자와의 라포 형성이 중요하며, 다양한 전문분야 간 협력을 통해 환자 치료 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해야 한다. 입원 시 감염병 예방 조치, 수술 전후 환자 확인 및 이동 지원, 수술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주요 역할이다. 2. 전문분야 간 협력 병원에서는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영양사...2025.01.14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 실습, 간호관리학 병동 개선사항, 간호관리학 병동 문제점, 병동 문제점과 개선사항 2페이지
간호관리학병동의 문제점, 개선방안제출일전공과목분반실습지학번이름▶ 병동의 문제① 간병인의 미숙한 간호1. 개요51병동 16호의 환자분으로 새벽에 소리를 지르고 잠을 자지 않아 NP 약물을 증량시켰는데 낮에도 계속 자고, 낮 10시에 재활가서도 계속 자는 모습을 관찰하였습니다. 이에 NP에 의뢰를 했지만 그대로 약물을 유지하기로 했고, 환자의 생활패턴을 관찰한 결과 간병인이 오후 7시에 환자를 재우고 낮에 계속 자고 있어도 깨우는 등의 노력을 하지 않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또한 환자분 비위관을 계속 제거할려고 해서 억제대 유지중인데,...2024.01.17· 2페이지 -
간호사 병동 업무 프로세스 7페이지
입원 process신환 발생1.전산확인2.인수인계 : SEND TO ER/OPD3.명패 출력3.서식지 출력 : 입원환자 오리엔테이션-입원생활안내문(원무과),낙상예방안내문,비급여동의서) 출력 후(75세이상 보호자 없을시 안전사고동의서도)서명받고 스캔 (지원부서-> EMR스캔)입원 간호1.환자환자확인. 신체검사(V/S,Ht,Bw,측정)-호흡기 : SPO2 M-통증환자 : 통증척도(통합)-와상환자 : 욕창사정-각종 line,cath 확인2.간호정보조사지-간호력 : 입실시간 주의하여 입력입원동기,진단명 주호소,과거력,알러지여부,자가약3.입...2023.04.18· 7페이지 -
간호관리학 병동관리 CASE STUDY (진단 3개) 7페이지
Ⅰ. 사례연구 단계 간호 관리 과정 설명 1단계 전반적 병동 현황 파악 1. 간호단위 물리적 구조 ① 병동 내 구조도 ② 병동 현황 병동은 총 8개의 병실로, 병상 수는 총 46개로, 여자 병실은 3개, 남자 병실은 5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4201호의 경우, 코로나 격리 병동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병실별 순회 점검표를 통해 정기적으로 순회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다. 총 병상 수 : 46병상이었으나 4201호 화장실 공사로 인해 45병상으로 변경되었음 여자 병실 4202호, 4203호, 4208호 남자 병실 4201호(...2024.01.22· 7페이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62페이지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병동목차 1 2 3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개요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운영 ⓒSaebyeol Yu. Saebyeol’s PowerPoint 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업무간호 · 간병통합서비스 개요 Part 1개념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란 병동환경 ( 시설 · 장비 등 ), 적정 제공인력 배치 및 환자 안전관리 등 통합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여건을 갖춘 병동에서 보호자나 간병인이 상주하지 않고 간호사 , 간호조무사 등 전문 간호 인력이 팀을 이루어 제공하는 입원서비스모형 사적 영역으로 제공되던 간병서비...2022.04.27· 62페이지 -
임상실습 병동 간호단위관리 4페이지
임상실습 경험 병동의 간호단위관리1. 간호단위 물리적 구조? OO병원 본관 0층에 있고, 주로 OS 병동? A part- 000호: 중증도가 높지 않은 일반 환자 중심으로 남녀 혼합(1인실, 2인실 중심)- 000호: 중증도가 높은 남자 병실(간호 스테이션 바로 앞 병실)? B part- 000호: 중증도가 높지 않은 여자 병실- 000호: 중증도가 높은 여자 병실(간호 스테이션 바로 앞 병실)1) 환자관리(1) 입원 환자 간호- 대상자 병실 준비: 입원수속을 마쳤다는 연락을 받은 후 병실의 청결상태, 물품 확인- 대상자에게 간호사...2024.03.05·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