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4대 민간전설(양축전설, 맹강녀전설, 우랑직녀전설, 백사전전설)
본 내용은
"
중국 4대 민간전설(양축전설, 맹강녀전설, 우랑직녀전설, 백사전전설) PPT, 내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5
문서 내 토픽
-
1. 양축전설양축(梁祝)이라고도 불리는 이 이야기는 중국에 전래되는 4대 민간 전설 중 하나로, 항주(杭州) 서호(西湖)의 장교(長橋)를 배경으로 한다. 절강(浙江), 강소(江蘇), 산동(山東) 등지에서 양축 전설과 관련된 지명과 유적지가 발견되며, 현재 절강성의 영파(寧波) 일대와 강소성의 의흥(宜興) 지역이 이 전설의 근원지로 알려져 있다. 이 전설은 동진시기에 발생했다고 가정되며, 축영대가 거짓으로 남장을 하고 양산백과 함께 공부하다가 헤어지면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이다.
-
2. 맹강녀전설맹강녀(孟姜女)는 진시황 때의 여인으로, 신혼 초에 남편이 만리장성 공사에 끌려가게 되었다. 맹강녀는 남편이 입을 옷을 지어 만리장성에 도착했지만 남편은 이미 죽었고 시신도 성벽 밑에 묻혀버렸다는 소식을 듣고 대성통곡을 하자 성벽이 무너져 내리며 수많은 유골들이 드러났다. 맹강녀는 각각의 유골에 손가락을 깨물어 핏방울을 떨어뜨려 마침내 남편의 시신을 찾아냈다. 이때 진시황이 맹강녀의 미모를 보고 그녀를 첩으로 삼고자 하자 맹강녀는 진시황이 친황다오에 가서 남편을 위해 상복을 입고 제사를 지내줄 것을 요구했고, 제사를 마치자 맹강녀는 남편의 시신을 받쳐 들고 바다로 뛰어들어 자살했다.
-
3. 우랑직녀전설우랑직녀 전설은 중국 4대 민간전설 중 하나로, 중국, 한국, 일본에 전해지며 우리나라에서는 견우직녀(牽牛織女)로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아주 오랜 옛날 난양(南, 남양)의 성 서쪽 우가(牛家) 마을에 우랑(牛)이라는 고아가 살고 있었는데, 형수의 핍박으로 집을 떠나 산에서 만난 도인의 가르침을 받고 천상의 금우성(金牛星)으로 벌을 받아 인간세계로 내쳐진 늙은 소를 돌보게 된다. 이후 우랑은 선녀들이 목욕하던 장소에서 직녀의 옷을 훔쳐 그녀와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하늘의 규범을 어기게 되어 결국 직녀는 하늘나라로 불려가게 된다. 그러나 까마귀가 이들의 사랑에 감동하여 오작교를 만들어 주어 매년 음력 7월 7일 우랑과 직녀가 상봉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
4. 백사전전설백사전 전설은 장쑤성(江蘇省) 전장시(江市) 및 저장성(浙江省) 항저우시(杭州市)를 배경으로 하는 민간문학 작품으로, 남송 시기에 생겨나 청대에 성행했다. 이 이야기는 수련을 통해 사람이 된 백사(白蛇)와 인간 허선의 애절한 사랑에 관한 것으로, 불교 전설과 봉건시대의 예교의 영향이 많이 나타난다. 백소정은 천년 묵은 백사로, 법해 화상의 선단을 먹고 신통력이 뛰어나게 되어 허선과 결혼하지만, 법해의 방해로 인해 많은 고난을 겪게 된다. 그러나 백소정의 아들이 장원급제를 하고 어머니를 구출해내면서 결국 가족 모두가 행복하게 모일 수 있게 된다.
-
1. 양축전설양축전설은 한국 전통 설화 중 하나로, 두 명의 젊은이가 사랑에 빠지지만 가족들의 반대로 결혼하지 못하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전설은 가족 간의 갈등과 사회적 차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순수한 사랑이 좌절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의 아픔과 고통을 잘 보여줍니다. 이 전설은 한국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의미 있는 교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 맹강녀전설맹강녀전설은 한국 전통 설화 중 하나로, 맹강녀라는 여성이 자신의 아름다움과 재능을 인정받지 못하다가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전설은 당시 사회의 성차별적 분위기와 여성에 대한 편견을 잘 보여주며, 맹강녀의 비극적인 운명을 통해 인간의 삶에 내재된 불공정성과 불평등을 드러냅니다. 이 전설은 현대 사회에서도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을 위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줍니다.
-
3. 우랑직녀전설우랑직녀전설은 한국 전통 설화 중 하나로, 천상의 선녀 우랑직녀가 지상에 내려와 인간 남성과 사랑에 빠지지만 결국 천상으로 돌아가야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전설은 현실과 초월, 인간과 신성의 경계를 다루며, 순수한 사랑이 좌절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의 한계와 비극성을 잘 보여줍니다. 또한 이 전설은 한국 전통 문화와 신앙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인간과 자연, 현실과 이상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4. 백사전전설백사전전설은 한국 전통 설화 중 하나로, 백사라는 선비와 전이라는 여성이 사랑에 빠지지만 결국 백사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전설은 당시 사회의 엄격한 신분제도와 유교적 가치관을 잘 보여주며, 순수한 사랑이 좌절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의 한계와 비극성을 드러냅니다. 또한 이 전설은 한국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계층 간 갈등과 차별, 그리고 인간의 삶에 내재된 비극성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
중국의 4대 민간전설 2페이지
중국의 4대 민간전설- 맹강녀 전설, 양산백과 축영대 전설, 우랑직녀 전설, 백사전 전설____학과 학번 이름‘전설(傳說)’이란, 과거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형태의 설화를 뜻한다. 그중에서도 ‘민간전설’이란, 특히 민간에서 떠돌아다녔던 이야기를 의미한다. 중국에서도 이러한 민간전설이 여러 편 존재하는데, 그중에서도 ‘맹강녀 전설(孟姜女??)’, ‘양축 전설(梁祝??)’, ‘우랑직녀 전설(牛??女??)’, ‘백사전 전설(白蛇???)’ 등은 대표적인 설화이다. 이 네 가지 이야기를 일컬어 ‘중국의 4대 민간전설’이라고 부른다.① 맹...2021.01.28· 2페이지 -
대중매체 속의 중국 문학 14페이지
중국 문학과 관련한 영화·영상자료 조사1. 드라마 방영중국 CCTV8시기2009.06.29.~2009.07.10.회차35부작내용는 흔히 알려진 설화인 '우랑 직녀'(견우와 직녀)를 모티프로 한 드라마로, 우랑과 직녀 간의 사랑뿐만 아니라 옥황상제, 요희 등 그들 주변 인물의 애정 서사를 담고 있다.1) 관련 문학 작품: 드라마 우랑 직녀는 중국의 4대 민간전설[우랑 직녀 전설, 양축전설(梁祝傳說), 백사전전설(白蛇?傳說), 맹강녀전설(孟姜女傳說)] 중 하나로, 한국인들에게는 '견우와 직녀'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이야기이다.‘우랑 ...2021.04.17·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