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사진측량 설계_인하대
본 내용은
"
[응용측량학 및 실습] 항공사진측량 설계_인하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3
문서 내 토픽
-
1. 항공사진측량이번 프로젝트는 1:5000의 수치지도를 주어진 설계제원을 이용하여 항공촬영측량을 진행하였다. 우선 촬영지역은 속초와 고성 일대이다. 북한과 한국 사이의 정세변화에 따라 빠르게 대응하여 동해안 일대를 동해안 관광지구로 발전시키고 노후화된 북한의 교통 인프라를 새로 만들어 향후 북한으로의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진출을 빠르게 하기 위한 발판으로 삼기 위해 해당 지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얻는다면 좋다고 생각했다. 그에 따라 항공사진 설계를 진행하게 되었다.
-
2. 항공기 비행경로 설계우선 (1:5000) 축척의 수치지도 제작을 위해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비행고도와 축척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항공기의 촬영고도가 너무 낮았을 뿐만 아니라 촬영횟수도 너무 많아 비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그에 따라 축척을 (1:20000)으로 설정하여 항공촬영설계를 진행하고 이후 (1:5000)으로 전환하기 위해 4배 확대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선택하였다.
-
3.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 따라 중복도, 비행경로, 비행고도 등을 설계하였다. 특히 GPS/INS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항공기의 회전각은 날개의 수평각이 25도 이하여야 하며 급선회를 방지하고 GPS 장비의 안정성을 위해 회전 시 날개의 수평각은 5도로 선정하였다.
-
4. Mash-Up국토지리정보원 - 국토정보플랫폼에서 고성, 속초일대의 수치지도를 다운로드받아 설계도면에 지형좌표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Mygeodata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포맷 변형 서비스를 이용해 좌표계를 강원도 동부지역이 속한 (Korea 2000/East Belt 2010)를 적용하여 Google Earth에서 읽을 수 있는 KML파일로 전환하였다.
-
1. 항공사진측량항공사진측량은 항공기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지표면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지도 제작, 도시 계획, 환경 모니터링, 재난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항공사진측량은 지표면의 높이, 경사도, 토지 이용 현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또한 항공사진은 지상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항공사진측량은 고가의 장비와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하므로 비용과 전문성 확보가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향후 기술 발전과 함께 항공사진측량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항공기 비행경로 설계항공기 비행경로 설계는 항공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항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비행경로 설계 시에는 기상 정보, 공항 정보, 항공 교통 상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최적의 비행경로를 설계하면 연료 소모를 줄이고 비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성과 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비행경로 설계를 자동화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행경로 설계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항공기 비행경로 설계 기술의 발전은 항공 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은 항공사진측량 작업의 표준화와 품질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규정에는 항공사진 촬영, 사진 처리, 지도 제작 등 전 과정에 걸친 세부적인 지침이 포함됩니다. 작업규정을 준수함으로써 일관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규정은 작업자의 안전과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술 발전에 따라 작업규정도 지속적으로 개정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항공사진측량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도 향상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작업규정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항공사진측량 분야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Mash-UpMash-Up은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소스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데이터를 재활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Mash-Up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지도 서비스, 소셜 미디어, 금융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도 서비스에 교통 정보, 날씨 정보, 관광 정보 등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구매 데이터를 결합하여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Mash-Up은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Mash-Up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