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조사 보고서(공공기관 직무급 도입 사례/KEPCO)
본 내용은
"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조사 보고서(공공기관 직무급 도입 사례/KEPCO)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30
문서 내 토픽
-
1. 연공급연공급은 임금을 연차나 경력에 따라 결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실무자들에게 적용된다. 경력과 노하우를 가진 직원을 상징적으로 대우하는 장점이 있지만, 성과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부족하여 공정성 문제와 동기 부여 감소의 단점이 있다.
-
2. 직무급직무급은 업무의 성격, 복잡성, 책임 등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주로 상위 계층의 관리자나 전문가들에게 적용된다. 각 직무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공정한 보상을 제공하고 성과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기 부여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지만, 일부 직원들이 개별 성과에만 집중할 수 있고 평가 기준의 명확성이 부족하면 공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3. 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국내 공기업과 공공기관은 직무급을 도입한 사례가 많지 않았지만, 정부는 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그 중 한국전력공사(KEPCO)는 2019년에 직무급을 도입하여 직무별 역량 강화, 성과 중심의 보상 체계 도입, 전문성 강화 등의 성과를 거두었지만, 일부 직무에 과도한 중점, 팀워크 저하, 변화 관리의 어려움 등의 과제도 있었다.
-
1. 연공급연공급은 근속년수에 따라 임금이 상승하는 보상체계입니다. 이는 장기근속을 장려하고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직무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공급은 기본급 체계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성과급이나 직무급 등 다른 보상체계와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2. 직무급직무급은 개인의 능력과 성과보다는 직무의 가치와 중요성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보상체계입니다. 이는 공정성과 형평성을 높일 수 있고 직무의 중요도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무급은 기본급 체계로 활용하되, 성과급이나 연공급 등 다른 보상체계와 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
3. 공공기관의 직무급 도입공공기관에 직무급을 도입하는 것은 긍정적인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공공기관은 민간기업과 달리 개인의 능력과 성과보다는 연공서열에 따른 보상체계가 주를 이루어왔습니다. 이는 공정성과 형평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직무급 도입을 통해 직무의 가치와 중요성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는 공공기관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다만 직무급 도입 시 기존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체계와의 조화, 직무평가의 객관성 확보 등 다양한 이슈들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