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적으로 접근한 영화 <겨울왕국> - 엘사와 안나를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정신분석적으로 접근한 영화 <겨울왕국> - 엘사와 안나를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30
문서 내 토픽
  • 1. 엘사의 정신분석적 해석
    엘사는 초자아(superego)에 갇혀 있는 인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들이 없는 왕궁에서 여왕으로 훈육되어야 하는 현실이 안나로 하여금 차가운 성격을 강요한바, 차가운 성격을 보여주기 위한 상징적인 장치가 이 작품의 원제목이기도 한 '프로즌(frozen)'의 저주다. 엘사가 만지는 것마다 얼음으로 변한다는 설정이 있다. 엘사는 스스로를 유폐시킨 후 '렛 잇 고우(Let it go)'를 부른다. 이 부분은 이 영화의 절정인바, '마음대로 살겠다'는 엘사의 선택은 초자아로부터의 해방 가능성을 보여준다. 엘사가 차가움의 저주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따뜻함을 회복해야 한다. 따뜻함의 상징적인 장치는 '키스' 혹은 '눈물'인데, 이 작품의 마지막에서는 왕자의 '키스' 대신, 사랑하는 동생의 죽음을 목격한 후 흘리는 '눈물'로 설정된다.
  • 2. 안나의 정신분석적 해석
    여동생인 안나는 미숙한 사랑에 빠진다. 차가운 이성을 가진 언니는 그 사랑을 거부한다. 그러나 안나에게는 언니가 가지지 못한 장점이 있다. 그것은 미숙하지만 뜨거운 사랑이다. 그 사랑은 다분히 감정적이고 리비도적인 것이어서 시행착오와 좌절을 경험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결국 얼어 있는 언니의 마음을 녹이는 열정이 된다. 초자아(superego)에 갇힌 언니와 이드(id)에 사로잡힌 여동생이 스스로의 벽을 넘어서서 건강한 자아(ego)를 회복하는 과정.
  • 3. 결말의 정신분석적 해석
    <겨울왕국>은 차가운 초자아의 세계에서 탈출하는 엘사의 이야기로 볼 수 있고, 리비도의 처리에 미숙한 안나가 점차 사악한 '늑대' 대신 듬직한 '사냥꾼'을 선택해가는 진정한 짝 찾기의 미션으로... 엘사와 안나는 서로 돕는 과정에서 모두 성장하며 궁극적으로는 승리한다. 엘사는 죽어가는 안나를 보듬으면서 최초의 눈물을 흘린다. 엘사가 사랑의 감정을 회복하는 순간 엘사는 좀더 '온전한 자기(Self)'로 나아간다. 안나는 처음에는 미숙한 리비도(libido)에 사로잡혀 13번째의 왕자를 자처하는 나쁜 남자의 유혹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안나는 몇 차례의 시련을 겪으면서 외모, 외적인 매너, 신분의 장점을 가진 왕자 크리스토프 대신, 얼음장수에 불과하지만 따뜻한 심성을 가진 한스의 장점을 발견하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엘사의 정신분석적 해석
    엘사는 자신의 힘을 두려워하고 억누르려 했던 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녀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던 두려움과 불안감은 그녀의 행동과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볼 때, 엘사는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고 통제하려 했지만 결국 그것이 폭발하면서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치게 되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갈등과 두려움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엘사의 여정은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진정한 힘을 발견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2. 안나의 정신분석적 해석
    안나는 엘사와 대조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행동하는 인물입니다. 그녀는 엘사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숨기지 않고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이를 통해 엘사와의 관계를 회복하고자 합니다.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볼 때, 안나는 자신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욕구와 감정을 억압하지 않고 표현하는 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자기 표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나의 여정은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회복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3. 결말의 정신분석적 해석
    영화 '겨울왕국'의 결말은 엘사와 안나의 관계 회복과 자아 실현의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엘사는 자신의 힘을 두려워하고 억누르려 했지만, 결국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면서 자신의 진정한 힘을 발견하게 됩니다. 안나 또한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면서 엘사와의 관계를 회복하게 됩니다. 이는 우리 모두가 겪는 내면의 갈등과 자아 실현의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말에서 엘사와 안나가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면서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것은 우리 모두가 추구해야 할 자아 실현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