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후 분양 사례 및 손익 (브라이튼 外 2개)
본 내용은
"
임대 후 분양 전환 사례 및 손익 (브라이튼 外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30
문서 내 토픽
  • 1. 브라이튼 여의도 개발 현황
    브라이튼 여의도 개발 프로젝트는 총 4개동(아파트 2동, 오피스텔 1동, 오피스 1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9년 7월부터 2023년 8월까지 4년간의 공사 기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주거, 오피스텔, 업무, 상업시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며, 총 연면적은 74,509평, 대지면적은 5,382평입니다. 아파트 454세대는 4년간 민간임대 후 분양될 예정이며, 오피스텔 849세대는 이미 2019년 7월에 분양이 완료되었습니다. 오피스 공간은 월 임대료 14.5만원, 관리비 4.5만원 수준으로 임대될 예정이며, 유안타증권이 22층~32층을 임차할 예정입니다. 브라이튼 여의도 프로젝트의 예상 매출은 약 2.7조원~3.4조원 수준이며, 예상 수익은 약 1.1조원~1.8조원으로 추정됩니다.
  • 2. 한남더힐 개발 현황
    한남더힐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총 32개동, 600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프로젝트입니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2년간의 공사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2011년 1월에 입주가 완료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면적은 33,812평, 연면적은 64,173평이며, 용적률은 120%, 건폐율은 29%입니다. 한남더힐은 5년간 민간임대 후 2016년에 분양 전환되었으며, 예상 매출은 약 2.9조원, 예상 수익은 약 1.85조원으로 추정됩니다.
  • 3. 나인원한남 개발 현황
    나인원한남은 서울 용산구 한남대로 91에 위치한 총 9개동, 341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프로젝트입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의 공사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2019년 12월에 입주가 완료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면적은 17,902평, 연면적은 68,252평이며, 용적률은 144%, 건폐율은 31%입니다. 나인원한남은 2년간 민간임대 후 2021년에 분양 전환되었으나, 문재인 정부의 단기임대 사업자 폐지로 인해 조기 분양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예상 매출은 약 1.9조원, 예상 수익은 약 920억원으로 추정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브라이튼 여의도 개발 현황
    브라이튼 여의도 개발은 서울 여의도 지역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기존 노후화된 건물들을 철거하고 새로운 주거, 상업, 업무 시설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개발은 여의도의 도시 경관을 현대화하고 주거 및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개발로 인해 기존 거주민들의 주거 불안과 지역 커뮤니티 파괴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개발에 따른 교통 혼잡,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개발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기존 커뮤니티를 보호하며, 교통 및 인프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한남더힐 개발 현황
    한남더힐 개발은 서울 한남동 일대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기존 노후 주택과 상가를 철거하고 고급 주거 시설과 상업 시설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개발은 한남동의 도시 경관을 고급화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개발로 인해 기존 거주민들의 주거 불안과 지역 커뮤니티 파괴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개발에 따른 교통 혼잡,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개발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기존 커뮤니티를 보호하며, 교통 및 인프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나인원한남 개발 현황
    나인원한남 개발은 서울 한남동 일대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기존 노후 주택과 상가를 철거하고 고급 주거 시설과 상업 시설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개발은 한남동의 도시 경관을 고급화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개발로 인해 기존 거주민들의 주거 불안과 지역 커뮤니티 파괴 등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개발에 따른 교통 혼잡,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개발 사업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기존 커뮤니티를 보호하며, 교통 및 인프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