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학을 위한 심방 설교문
본 내용은
"
입학을 위한 심방 설교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30
문서 내 토픽
-
1. 제왕시시편 20편은 제왕시입니다. 제왕시의 내용은 왕을 위하여 도움을 주실 것을 간구하거나 왕을 축복해주시기를 하나님께 요청하는 것입니다. 전쟁하러 가기 전 왕을 위해 드리는 거국적 간구시입니다.
-
2. 예배3절에는 '네 모든 소제를 기억하시며 네 번제를 받아 주시기를 원하노라'라고 말씀합니다. 올해 사랑하는 우리 아들딸들이 그리고 우리 가정이 우리가 드리는 예배를 하나님께서 기억해주시고, 그 예배를 열납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이스라엘이 제사를 드리고, 우리가 예배를 드리는데 제사, 예배에 힘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받으시는 하나님에게 능력이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
3. 하나님의 계획4절에는 '네 마음의 소원대로 허락하시고 네 모든 계획을 이루어 주시기를 원하노라'라고 말씀합니다. 우리의 마음의 소원, 우리의 계획이 분명 있지만 우리를 통해 하나님의 계획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여기서 우리는 주님의 뜻을 이루는 통로입니다.
-
4. 신앙의 고백7절에는 '어떤 사람은 병거, 어떤 사람은 말을 의지하나 우리는 여호와 우리 하나님의 이름을 자랑하리로다'라고 말씀합니다. 사람은 의지하는 대상이 많이 있습니다. 직장, 경제, 가족, 자녀 등이 좋은 것이고 당연한 것이지만 지나치면 문제가 됩니다. 우리는 우리 가정은 하나님의 이름을 자랑하겠습니다라는 신앙의 고백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
1. 제왕시제왕시는 성경에 나오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통치 체계를 보여주며,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잘 드러냅니다. 제왕시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방식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통치와 통치자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왕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왕권과 통치를 예표하며, 그분의 영원한 왕국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제왕시는 성경을 이해하고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깨닫는 데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예배예배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행위입니다. 예배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존재와 그분의 속성을 인정하고, 그분께 영광을 돌리며, 그분과의 교제를 나누게 됩니다. 예배는 단순히 의식적인 행위가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삶 전체를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진정한 예배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그분께 순종하는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예배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고, 그분의 은혜와 사랑을 깊이 깨닫게 됩니다. 따라서 예배는 우리 신앙생활의 핵심이 되어야 합니다.
-
3. 하나님의 계획하나님의 계획은 성경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핵심 주제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창세 전부터 인류의 구원을 위한 완전하고 영원한 계획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이 계획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을 통해 실현되었으며, 성령님의 역사로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계획은 단순히 개인의 구원에 그치지 않고, 온 세상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것입니다. 이 계획 안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주권과 지혜, 그리고 그분의 구속 사역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 계획에 순종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
4. 신앙의 고백신앙의 고백은 우리가 하나님과 맺은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행위입니다. 이는 단순히 입술로만 하는 고백이 아니라 우리의 삶 전체를 통해 표현되어야 합니다. 신앙의 고백은 하나님께 대한 우리의 믿음과 신뢰, 그리고 그분께 순종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고백은 우리가 받은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에 대한 감사와 찬양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또한 신앙의 고백은 우리가 속한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격려하고 세워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진실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신앙을 고백하며, 그 고백이 우리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해야 합니다.
-
유성 김준곤의 생애와 사상 11페이지
유성 김준곤의 생애와 사상Ⅰ.서론Ⅱ.본론1. 김준곤의 생애 & 받은 영향2. 김준곤과 C.C.C.3. 김준곤의 북한통일에 대한 노력Ⅲ .결론Ⅳ .참고문헌Ⅰ.서론지금까지의 한국의 대학생선교회와 북한통일에 대한 많은 운동들과 청년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고 주님께 헌신하게 만들었던 한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유성 김준곤 목사 그는 예수가 진리였고 전부였고, 모든 삶에서 고통과 슬픔을 예수로 승화 시키고 복음화로 죽기까지 뛰어 갔던 한 사람 민족과 예수님을 위하여 마지막 숨을 다하기 까지 외쳤던 ‘복음화’ 우리는 김준곤 목사의 어떻게 살...2019.06.26· 11페이지 -
독일 경건주의 운동 10페이지
목차●서론1.경건주의 운동의 배경-정치 역사적 배경-사회적 배경●본론1.경건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 및 사상2.경건주의 신앙의 특징3.대표적 경건주의 신학자들-필립야곱 슈페너-하르멘 프랑케-니콜라스 진젠도르프●결론1 경건주의 운동의 영향-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훈●서론1 경건주의 운동의 배경종교개혁자 마틴루터(1483-1546)가 죽은 지 100여 년이 지난 17세기 중엽의 독일 루터교회는 점점 생명력을 잃어가게 되었다.30년 전쟁(1618-1648)이 끝나던 17세기 중엽 독일은 300여개 이상의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매 지역은...2015.06.04· 10페이지 -
신 칼빈주의 7페이지
정치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 “신 칼빈주의”- 19~20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 -1. 신 칼빈주의1) 신 칼빈주의란?19세기 말~20세기 초엽에 유럽 대륙의 개혁교회를 통해 형성된 것인데 특히 네덜란드 사람들이 지켜온 전통 속에서 꽃 피운 것이 신 칼빈주의다. 이 ‘신 칼빈주의’라는 용어는 ‘칼빈주의’라는 용어가 루터파를 조롱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을 비판하려는 의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9세기 말에는 로마 카톨릭 진영 내부에서 변화의 물결이 있었는데 이 새로운 변화를 주도한 그룹을 ‘신 카톨릭...2011.08.25· 7페이지 -
<A+>아더 T. 피어선의 생애(목회, 선교) 4페이지
피어선의 생애를 조사하면서 그의 생애는 크게 목회와 선교라 볼 수 있었다. 먼저 그의 성장 과정을 보면 그는 어려서부터 목회자로서의 삶을 살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더 T. 피어선은 장로교의 장로의 자녀로써 주일이면 스프링가 장로교회의 교회학교에 다녔으며 11세에 1848년 워싱턴 스퀘어에 위치한 마운트 워싱턴 교구학교에 등록하였으며 그곳에서 희랍어와 라틴어를 배워 열두 살부터 희랍어 신약성서를 읽기 시작하였다. 13세에 뉴욕시 테리타운 언더 허드슨에 위치한 고등학원에 입학하여 뛰어난 학문의 능력과 시, 음악, 어학, 그리고 ...2007.10.05· 4페이지 -
<A+>피어선의 생애 요약 정리2 4페이지
어렵게 구한 피어선에 관련된 자료에서 그의 성장 과정을 살펴 보면 그는 어려서부터 목회자가 되는 것이 꿈이었던 것처럼 보인다. 피어선은 장로교인이었던 부모님의 영향 하에 경건한 목회자로서의 훈련을 받았다. 주일이면 장로교회의 교회학교에 다녔고 열 한살에 워싱턴 교구학교에 등록하였으며 그곳에서 희랍어와 라틴어를 배워 열두 살 때부터 희랍어 신약성서를 읽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 어린 나이에 어떻게 희랍어와 라틴어까지 배웠는지 신기할 정도이다. 열 세 살에는 뉴욕시 테리타운 언더 허드슨에 위치한 고등학원에 입학하였고 열 다섯 살에는 고...2007.10.1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