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디자인이론_DDP
문서 내 토픽
-
1. DDP(Dongdaemun Design Plaza)DDP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건축물로, 자하 하디드가 설계했으며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건설되었다. 대지면적은 62,692 m2이고 연면적은 86,574 m2이며, 지하 3층, 지상 4층 규모의 전시장 및 쇼핑몰이다. DDP는 국내 최초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적용된 사례이며, 동아시아 문화·관광의 허브로 기능할 수 있는 랜드마크로 건립되었다. DDP는 창조적 미래 디자인 육성, 디자인 비즈니스의 전략적 거점 조성, 디자인 지식의 글로벌 수·발신체계 구축, 디자인 전문가 네트워크의 플랫폼 구축, 문화예술 활동의 중심지 조성, 관광브랜드 창출을 위한 국제적 랜드마크 조성, 창조환경과 장소정체성 구축, 도심상권 활성화 등 8가지 전략목표를 가지고 있다.
-
2. DDP 이전 상황DDP가 건립되기 전에는 동대문운동장이 있었다. 동대문운동장은 1925년 10월 15일에 개장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때 경성운동장으로 건립되었다. 해방 후에는 서울운동장으로 불리다가 잠실운동장이 개장되면서 동대문운동장으로 개명되었다. 동대문운동장은 각종 행사와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었으나, 건물의 노후화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주차장으로 개조되어 활용되었다. 지하에는 청계천 공사로 자리를 잃은 노점상들이 자리 잡았다. 이에 민간단체인 동대문포럼은 서울시에 운동장을 공원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냈고, 서울시는 이를 받아들여 2002년 공원화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만들고 2005년 공원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후 2006년 12월 아이디어 공모를 하고 2007년 8월 자하 하디드의 안을 결정하여 DDP 건립을 시작하였다.
-
3. DDP 공간구성DDP의 공간구성은 자하 하디드의 독특한 비정형 디자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계천과 동대문운동장 주변 사람들의 흐름을 분석하여 공간을 구성하였으며, 비정형 사용으로 인해 물이 흐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외부는 비정형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구부의 일조 조정을 통해 내부 공간이 하나로 연결되어 마치 물처럼 흐르는 느낌을 준다. DDP 공모전에서는 자하 하디드의 '환유의 풍경'이 당선되었고, 다른 출품작들도 기존 운동장 부지의 적절한 활용, 친환경적 디자인, 청계천을 연상시키는 공간 등의 특징을 보였다.
-
4. DDP의 좋은 점DDP는 2010년 세계디자인 수도 '서울' 선정에 기여했으며, 연간 8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관광명소로 자리 잡았다. 뉴욕타임즈에서 '2015년 반드시 가봐야 할 세계명소'로 선정되었으며, 약 13조 원의 경제효과를 발생시켰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공모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5. DDP의 나쁜 점DDP 건설에 4,840억 원이라는 큰 비용이 투입되었다. 독특한 선형 디자인으로 인해 주변 컨텍스트와의 조화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조선시대 성벽 등 역사적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개발 과정에서 이전 보존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다.
-
6. DDP의 이상한 점DDP 공모전 당선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었다. 건축가 김봉렬은 DDP 공모전 출품작 중 가장 주변 지역성과 단절되는 결과물이라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선된 것이 의아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건축가 승효상은 DDP가 주변 컨텍스트와 전혀 관계없는 건물이라고 평가했다.
-
1. DDP(Dongdaemun Design Plaza)DDP(Dongdaemun Design Plaza)는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2014년 3월에 개관했습니다. 이 건물은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했으며, 독특한 외관과 내부 공간 구성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DDP는 전시, 공연, 쇼핑, 교육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았습니다.
-
2. DDP 이전 상황DDP가 들어서기 전, 이 자리에는 동대문운동장이 있었습니다. 동대문운동장은 1925년 개장된 역사적인 체육 시설이었지만, 점차 노후화되고 기능이 약화되면서 철거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동대문 지역 활성화와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 건설을 위해 DDP 건립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동대문운동장 철거에 대한 찬반 논란이 있었지만, 결국 DDP 건립이 추진되었습니다.
-
3. DDP 공간구성DDP의 공간 구성은 매우 독특합니다. 건물 외관은 유기적인 곡선 형태로 설계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다양한 전시관, 공연장, 쇼핑몰, 교육 시설 등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특히 지하 2층에 위치한 디자인 박물관과 지상 1층의 대형 전시관은 DDP의 핵심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물 주변에는 공원과 광장이 조성되어 있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 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DDP의 좋은 점DDP의 가장 큰 장점은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았다는 점입니다. 독특한 건축 디자인과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DDP를 방문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대문 지역의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DDP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디자인 산업 육성을 위한 거점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DDP는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이자 문화 허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5. DDP의 나쁜 점DDP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도 있습니다. 첫째, DDP 건립 과정에서 동대문운동장 철거에 대한 논란이 있었습니다. 역사적 가치가 있는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고 DDP가 들어선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둘째, DDP의 운영과 관리에 대한 지적도 있습니다. 건물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고, 일부 시설의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셋째, DDP 주변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DDP 개장 이후 주변 지역의 임대료 상승과 기존 상인들의 퇴출 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DDP의 이상한 점DDP의 가장 이상한 점은 건축 디자인의 독특함입니다.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DDP의 외관은 유기적인 곡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마치 유동적인 물결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건축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지만,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디자인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또한 DDP 내부의 복잡한 동선과 공간 구성도 일부 이용객들에게는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처럼 DDP의 독특한 건축 디자인과 공간 구성은 매력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건축디자인이론_DDP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9
-
빌라사보아와 DDP 28페이지
디자인 커뮤니티 빌라 사보아와 DDP#1 건축이란 ? #2 건축의 역사 #3 건축물의 개요 #4 차이점 #5 느낀점 빌라사보아 DDP CONTENTS#1 건축이란 ? 건축의 어원 Architecture = Archi + Tectura 원래의 , 근본적인 , 으뜸이되는 / 기능 , 기술 건축의 중요성 건축은 그 사회를 반영한다. 과거부터 건축은 시대정신을 담으려 하고 미래를 제시하는 노력을 해왔다.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라 새로운 재료와 공학적 지식을 수용하고 반영하는 결과로 오늘날 현대 건축이 형성되어 왔다. 21세기 들어서 다시 한...2021.04.26· 28페이지 -
석사학위 과제, 건축의 추상적 가치에 대한 디자인적 특성에 관한 연구 22페이지
건축 조형 디자인론 Ⓐ 대학교 일반대학원 _ 석사과정 조형론Art design Abstract Art and Design/ Symbol and Analogy, Classocism and Romanticism in Architecture제 7 장 디자인 속의 조형이론 2단순미 디자인 속의 조형이론 Ⅱ 7.2.1 단순성 : 일차적으로 우리 눈에 인지되는 시각적 현상으로 조형 속에서 건축의 심오함과 영원성을 느낀다 . 단조로움과 단순함 406~407p 단순성 다양성 단조로움 단순함 연속성408~409p 단순성 다양성 디자인 속의 조형이론...2021.02.28· 22페이지 -
Zaha Hadid DDP 사례분석 16페이지
DDP _ Zaha HadidDDP_Zaha Hadid Summary 시멘트 아래 묻힌 시간의 켜 _ SPACE 549 호 발취 현재 동대문운동장 일대는 상업의 중심지 다 . 그러나 2000 년대 후반 부터 중국산 저가 봉제 상품이 과잉 공급되고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 감소에 따라 성장세가 주춤 했다 . 1999 년부터 2004 년까지 민간단체인 동대문포럼에 의해 풍물시장과 주차장으로 전락한 운동장을 공원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 됐다 . 2002 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 ( 현 서울연구원 ) 은 공원화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2020.12.18· 16페이지 -
[해체주의] 자하하디드와 유엔스튜디오 59페이지
해체주의 ZAHA HADID UN STUDIO목차 ZAHA HADID UN STUDIO 0 1 2 3 4 해체주의 디지털 건축 ZAHA HADID UN STUDIO 현대건축의 2 가지 방식 해체주의 자하하디드와 유엔스튜디오 디지털 건축 서로 다른 영향 디지털 건축의 특성 디지털 건축의 특성 + 해체주의적인 관점 + 건축가들의 건축적 특징 # 작품 분석 과정 건축적 특징 작품 선정 작품 분석 건축적 특징 작품 선정 작품 분석1 해체주의 현대건축의 2 가지 방식 현대건축은 2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과거에서 이미 시도되고 검증 받은 건...2020.11.19· 59페이지 -
ddp 감상문 3페이지
DDP에 대해서 소개를 하려고 한다. 먼저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를 설계한 건축가의 이름은 자하 모하마드 하디드 이다. 출생은 1950년 10월 31일 생으로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태어났고 국적은 영국이다. 자하 모하마드는 아메리칸 대학교 베이루트에서 수학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다. 이후 런던에 있는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를 다녔고 졸업 후 메트로폴리탄 건축 사무소에서 스승이었던 렘 콜하스 밑에서 일했다. 1980년대에 그녀는 영국 건축학교,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 교수로 일하였다. 자하 하디드는 여러 국제 건축 공모의...2020.03.31·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