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하는 유수검지장치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5가지를 기술하세요
본 내용은
"
사용하는 유수검지장치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5가지를 기술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01
문서 내 토픽
  •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배관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습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설비이다.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비용이 저렴하며 유지관리가 쉽고 신속한 소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동결의 위험이 없는 장소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2.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건식유수검지장치 2차 측에 압축공기 또는 질소등의 기체로 충전된 배관에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부착된 설비이다. 동파의 우려가 있는 장소 및 옥외장소에 설치가 가능하지만, 헤드 개방 시 소화수가 살수되기까지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유지관리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 3.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펌프 등)에서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1차측까지의 배관에는 항상 정압(+압력)의 물이 들어 있고, 2차측 배관의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까지는 물이 부압(-압력)으로 되어 있다가 화재 시 감지기의 작동에 의해 정압으로 변하여 유수가 발생하면 작동하는 설비이다. 헤드 파손이나 배관 부식으로 인한 누수 피해가 없지만, 2차측 배관에 물이 들어 있어 동파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다.
  • 4.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에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 또는 저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감지기의 작동으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가 작동하여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는 설비이다.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적용이 가능하고 빠른 경보가 가능하지만, 화재감지기의 오동작 우려가 있다.
  • 5.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에서 일제개방밸브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에서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대기압으로 있다가 화재발생시 자동감지장치 또는 수동식기동장치의 작동으로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 스프링클러헤드까지 소화용수가 송수되는 설비이다. 화재 확산이 빠른 구역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지만, 비화재 시 오작동으로 인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습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물을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데 효과적인 소방 시설입니다. 이 설비는 배관 내에 항상 물이 채워져 있어 화재 발생 즉시 작동할 수 있으며, 화재 진압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되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배관 내 물이 동결될 수 있는 지역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이며, 배관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의 용도와 지역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스프링클러설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건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배관 내에 공기가 채워져 있다가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설비는 배관 내 물이 동결될 수 있는 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관 내 물이 없어 누수 문제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 발생 시 배관 내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물이 공급되는 데 시간이 소요되어 초기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물의 용도와 화재 위험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스프링클러설비를 선택해야 합니다.
  • 3.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배관 내에 항상 물이 채워져 있지만, 화재 발생 시 부압이 발생하여 물이 방출되는 방식입니다. 이 설비는 배관 내 물이 동결될 수 있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관 내 물이 없어 누수 문제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압 발생 장치의 고장 등으로 인해 작동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할 때는 부압 발생 장치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 4.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감지기와 연동되어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설비는 배관 내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아 동결 문제가 없으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물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재 감지기와 연동되어 작동하므로 오작동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화재 감지기가 작동하기 전까지는 물이 방출되지 않아 초기 화재 진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위험도가 높은 건물이나 시설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5.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 시 전체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시에 작동하여 물을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설비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화재 진압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배관 내 물이 동결될 수 있는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는 대형 건물이나 화재 위험도가 높은 시설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