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lieus 병태 생리 및 간호
본 내용은
"
ilieus 병태 생리 및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6
문서 내 토픽
  • 1. ileus (Intestinal obstruction)
    1. 정의: 소장이나 대장의 일부가 여러 요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서 장의 내용물(음식물, 소화액, 가스)이 빠져나가지 못해, 배변과 가스가 장내에 축적되어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 2. 원인 ① 장관이 기계적으로 막힌 경우 (기계적 장폐색) ② 장관의 운동이 마비된 경우 (기능적 장폐색) 3. 증상 ① 복통 ② 구토 ③ 기타 4. 진단 5. 치료 6. 경과 7. 간호
  • 2. 소장의 해부학적 구조
    소장은 성인에서 약 6m 정도의 길이를 가진 관형 구조이다. 십이지장(duodenum), 공장(jejunum), 회장(ileum)의 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에는 원형주름으로 불려지는 점막의 주름들이 있고, 이런 주름들은 복부방사선적 검사상 대장과 소장을 구별할 때 도움이 된다.
  • 3. 소장의 생리적 기능
    * 수분 전해질의 흡수와 분비 * 장운동성
  • 4. 소장 폐쇄
    1) 원인과 병태생리 - 소장 폐쇄의 60% 이상은 과거 복부 수술력이 있는 환자에서 장유착으로 인하여 발생 - 소장 폐쇄가 발생했을 때, 장관 내 가스와 수액이 폐쇄가 발생한 부위의 근위부에 축적 - 소장 폐쇄가 계속되면 소장 내강은 확장되고 내부 압력은 계속 증가 2) 임상 증상과 진단 - 복부 수술력, 복통, 오심과 구토, 복부 팽만, gas out 안됨 등의 병력 청취 - 복부엑스레이, 복부 CT 등으로 진단 3) 치료 - 비위관 삽입과 수액 보충을 통한 보존적 치료 - 수술적 치료: 폐쇄의 원인 제거, 괴사된 소장 절제
  • 5. 소장 폐쇄의 합병증
    - 장폐색 -> 천공 -> 복막염/패혈증 - 장내강 압력 증가로 인한 장벽 허혈, 천공, 체액 소실 등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ileus (Intestinal obstruction)
    Ileus, or intestinal obstruction, is a serious medical condition that occurs when the normal movement of the intestines is disrupted, preventing the passage of contents through the digestive tract. This can lead to a buildup of fluid and gas, causing abdominal pain, nausea, vomiting,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if left untreated. The causes of ileus can vary, ranging from mechanical obstructions like hernias or tumors to functional issues like paralytic ileus following surgery or certain medications. Prompt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which may involve surgery, are crucial to resolving the obstruction and preventing further complications. Patients with ileus require close monitoring and supportive care to manage symptoms and maintain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causes and implementing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outcomes and reducing the risk of long-term consequences.
  • 2. 소장의 해부학적 구조
    소장은 위장관 계통에서 가장 긴 부분으로,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소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소화와 흡수 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십이지장은 위에서 이어지는 첫 부분으로, 췌장과 담도가 연결되어 소화 효소와 담즙을 분비합니다. 공장과 회장은 주된 흡수 부위로, 점막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름, 융모, 미세융모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소장은 근육층과 혈관층으로 구성되어 연동운동과 영양분 흡수를 담당합니다. 이처럼 소장의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는 소화와 흡수 기능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3. 소장의 생리적 기능
    소장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인체의 영양 공급과 대사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화: 십이지장에서 시작된 소화 과정이 공장과 회장에서 지속되며, 췌장, 담낭, 간의 분비물이 소장으로 유입되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를 분해합니다. 2. 흡수: 소장 점막의 융모와 미세융모 구조를 통해 분해된 영양소가 효율적으로 흡수됩니다. 특히 회장 말단부에서 비타민 B12와 담즙산의 재흡수가 일어납니다. 3. 내분비 기능: 소장 내분비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콜레시스토키닌, 세크레틴 등)이 소화 및 배출 과정을 조절합니다. 4. 면역 기능: 소장 점막은 병원체와 항원을 차단하는 방어벽 역할을 하며, 림프조직이 발달하여 면역 반응을 유발합니다. 이처럼 소장은 영양분 공급, 대사 조절, 면역 기능 등 인체의 핵심적인 생리 과정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 4. 소장 폐쇄
    소장 폐쇄는 소장의 내강이 완전히 막혀 내용물의 통과가 불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각한 응급 상황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탈장, 종양, 염증성 장질환, 유착, 장중첩증 등이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 복부 팽만, 변비 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장천공, 패혈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복부 X선 검사, CT 촬영, 내시경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금식, 수액 공급, 감압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지만, 폐쇄가 지속되거나 합병증이 발생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폐쇄 부위 절제, 장루 형성, 유착 박리 등이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5. 소장 폐쇄의 합병증
    소장 폐쇄가 지속되거나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천공: 폐쇄로 인한 장벽의 압력 증가와 허혈성 손상으로 장천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복막염을 유발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2. 패혈증: 장천공이나 장벽의 허혈성 손상으로 인해 세균 및 독소가 혈액으로 유입되어 전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전해질 불균형: 구토와 장폐쇄로 인한 수분 및 전해질 손실은 탈수, 전해질 이상(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영양 결핍: 장기간의 장폐쇄로 인해 영양분 흡수가 저하되어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결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장마비: 장폐쇄로 인한 장벽의 염증과 허혈은 장마비를 유발하여 장운동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폐쇄 원인을 해결하고 전해질 및 영양 상태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