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급환자 사정 보고서
본 내용은
"
응급과 재해간호 응급환자 사정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6
문서 내 토픽
-
1. 응급환자 사정응급환자의 사정은 병력조사와 신체 사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병력조사는 환자의 불안을 경감시키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응급처치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신체 사정은 시진, 청진, 촉진, 타진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응급 현장에서는 신속한 처치를 위해 병력조사와 신체 사정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많다. 정보 기록지 작성, 응급 현장 평가, 응급 환자 평가 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
2. 병력조사병력조사는 사고의 원인이나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에게 직접 질문하는 것이다. 주관적 증상, 주 호소, 문제 되는 곳의 위치, 통증의 질과 정도, 시간적 특성 등의 정보를 파악한다. 과거 병력도 조사하여 현재 문제를 발생시킨 요인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3. 정보 기록지 작성정보 기록지는 응급실 의료진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중요사항을 빠뜨리지 않도록 순서대로 간략하게 기록한다. 환자나 목격자로부터 얻은 정보와 직접 관찰한 정보를 종류나 계통별로 기록한다.
-
4. 응급 현장 평가응급 현장 평가에는 사전 평가와 초기 현장 평가가 포함된다. 사전 평가는 병원 도착 전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중증도를 예상하고 준비를 하는 것이다. 초기 현장 평가는 현장에 도착하여 환자와 주위 환경을 평가하는 것이다.
-
5. 응급 환자 평가응급 환자 평가에는 1차 조사와 2차 조사가 포함된다. 1차 조사에서는 의식 수준, 기도 유지, 호흡, 순환, 기능장애 등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처치한다. 2차 조사에서는 신속한 두부-발끝 검진, 활력징후 측정, 질병력과 손상에 관한 조사 등을 통해 완전한 평가를 한다.
-
6. 비침습적 평가기구맥박산소측정기, 호기말이산화탄소측정기, 식도감시기구, 최대호기량검사 등의 비침습적 평가기구를 사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
1. 응급환자 사정응급환자 사정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사정에는 의식 수준, 호흡, 순환, 출혈 등 환자의 기본적인 생체 징후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환자의 병력, 증상, 징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의료 종사자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신속한 판단력이 필요합니다. 응급환자 사정은 응급 의료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병력조사병력조사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건강 상태와 병력을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과 징후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병력조사에는 환자의 과거 병력, 현재 증상, 투약 중인 약물, 알레르기 반응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응급 상황에서는 환자 본인이나 보호자로부터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 종사자들의 경험과 전문성, 환자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합니다. 병력조사는 응급 의료 현장에서 환자 평가와 치료 계획 수립의 기초가 되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정보 기록지 작성정보 기록지 작성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와 치료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정보 기록지에는 환자의 인적 정보, 병력, 현재 증상, 생체 징후, 응급 처치 내용, 이송 정보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추후 의료진의 진료와 치료에 활용될 수 있으며, 법적 증거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보 기록지 작성 시에는 정확성, 완전성, 시간성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응급 의료 종사자들은 정보 기록지 작성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응급 현장 평가응급 현장 평가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와 주변 환경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응급 현장 평가에는 환자의 의식 수준, 호흡, 순환, 출혈 등 기본적인 생체 징후 확인과 더불어 사고 현장의 안전성, 추가 위험 요인, 필요한 응급 장비 및 인력 등을 파악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의료 종사자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신속한 판단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현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 이송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응급 현장 평가는 응급 의료 현장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응급 환자 평가응급 환자 평가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응급 환자 평가에는 환자의 의식 수준, 호흡, 순환, 출혈, 외상 등 기본적인 생체 징후 확인과 더불어 병력, 증상, 징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와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의료 종사자들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신속한 판단력이 필요합니다. 응급 환자 평가는 응급 의료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비침습적 평가기구비침습적 평가기구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기구들은 환자에게 최소한의 불편을 주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응급 의료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비침습적 평가기구로는 혈압계, 맥박 산소계, 체온계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체 징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구들은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응급 의료 현장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응급 의료 종사자들은 비침습적 평가기구의 사용법과 해석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응급, 재난 상황 별 응급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간호중재 분석 보고서1. 심폐소생술 응급, 재난 상황에서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신속한 심폐소생술 수행이 중요하다. 본 보고서에서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사정,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과정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특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 시행이 환자 생존률을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2. 응급간호 응급 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신속한 상황 파악, ...2025.05.1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의사소통 보고서 (SBAR)1. SBAR 의사소통 기술 SBAR는 의료 현장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사정(Assessment), 권고(Recommendation)의 4단계로 구성됩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SBAR 기술을 활용하여 감염으로 인한 고체온 상황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상황을 명확히 ...2025.05.03 · 의학/약학
-
CPD, 아두골반불균형 분만사례 케이스 스터디, C-SEC 환자, 사례연구, 여성건강간호학실습1. 아두골반불균형 (Cephalopelvic Disproportion) 아두골반불균형은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너무 좁거나 좌골가시가 돌출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자연분만이 어려워지고 제왕절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아두골반불균형의 원인, 증상, 분만에 미치는 영향, 진단 및 관리 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2025.05.08 · 의학/약학
-
낙상 예방 및 관리-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입원 환자 낙상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1.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 입원 환자의 낙상 위험요인에는 65세 이상, 과거 낙상 경험, 시력 및 균형 감각 손상, 보행 및 자세 변화, 특정 약물 복용, 낮선 환경, 혼돈 및 지남력 상실 등이 있다. 2. 입원 환자 낙상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 입원 환자 낙상사고 발생 시 대처방법은 1) 환자 상태 정확히 사정 후 응급조치, 2) 담당 의사와 관리자에...2025.05.03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낙상예방간호1. 낙상의 정의 낙상의 사전적 의미는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WHO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에 접지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낙상은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누워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낙상의 유형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2. ...2025.01.11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천식 케이스/ 소아 천식/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1. 천식 천식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져 기침,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되고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됩니다. 이것이 반복되면...2025.04.29 · 의학/약학
-
외상 응급환자 간호 정리 보고서(외상환자, 창상, 다발성 손상의 사정 및 간호중재) 4페이지
REPORT과 목 명담당교수학 과학 번이 름제출날짜외상 응급환자 간호Ⅰ. 외상 환자의 초기 처치1. 1차 평가 및 처치(ABCD; Primary survey)(1) 경추부 고정 및 기도 확보(Airway maintenance)기도폐쇄를 일으킬 수 있는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하고 안면부, 하악골, 기관이나 후두의 골절을 평가한다. GCS 점수가 8점 이하일 때는 기관 삽관이나 외과적 기도확보가 필요하다. 외상환자는 경부의 과도한 움직임을 피하도록 한다. 경부 손상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경부고정을 해야 한다.(2) 호흡보조 및 환기(Br...2022.05.08· 4페이지 -
응급재난보고서 낙상 (교수님 극찬 !!) 9페이지
낙상-응급, 재난 간호 보고서-목차Ⅰ. 서론1~3Ⅱ. 본론3~1.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3~42. 대상자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재난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4~5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5~6Ⅲ. 결론(자아성찰)6Ⅳ. 참고문헌7Ⅰ. 서론낙상의 사전적 의미는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WHO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2024.03.24· 9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Spinal cord injury(척수 손상)[환자 이동, Pain control, GCS, 호흡 상태 사정]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 2페이지
◈ Spinal cord injury1. 환자이동척수손상이 의심되는 응급상황에서 함부로 움직이면 척수에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척추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환자를 옮길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적절할 때 척추를 고정시키고 운반해야 한다. 척추 골절용 부목이나 널판지에 환자를 반듯히 눕히고 목이나 등 또는 척추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이송해야 손상의 진행이나 악화를 막을 수 있다.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의 머리는 몸과 일직선이 되게 한다.ㆍ척추손상 환자를 이동시킬 때는 척추의 굴곡(flexion)과 신전(ex...2023.05.25· 2페이지 -
응급 및 재해 간호 보고서_외상 응급 사례 4페이지
응급 및 재해 간호 보고서[외상 응급]사례2023년 5월 1일 12세 박ㅇㅇ군이 하교 중 계단에서 굴러떨어져 왼쪽 상완골이골절된 상태로 보호자와 함께 Orthopedic Surgery(이하 OS)에 방문함distal humerus shaft fracture 진단2023년 5월 5일 입원 후 수술 예정구조활동① 활력징후(V/S)를 측정한다.② 상완골의 어느 부위에 골절됐는지, 골절된 정도를 사정한다.- 개방 혹은 폐쇄 상처인지 확인한다. (이때 반상출혈의 유무도 함께 확인한다.)- 골절된 팔 부위를 손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 ...2023.10.29· 4페이지 -
응급재난보고서 낙상 (A+자료/매우 자세함) 6페이지
낙상-응급, 재난 간호 보고서-목차Ⅰ. 서론1Ⅱ. 본론11.임상실습 중 낙상에 대한 응급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12. 대상자 상황에 따라 시행된 낙상에 대한 응급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23. 상황에 따른 낙상에 대한 응급 간호술의 중요성, 부족한 · 잘 수행된 부분3Ⅲ. 참고문헌4Ⅰ. 서론낙상의 사전적 의미는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WHO의 정의에 따르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발바닥 이외의 신체 일부가 바닥면에 접지 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낙상은 주요한 내인성 사고나 위험한 사고의 ...2022.05.25·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