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업범죄란?
문서 내 토픽
  • 1. 셋업범죄의 의미
    셋업범죄의 의미를 살펴보면 '일을 계획하다, 사건을 촉발하다' 라는 뜻으로 영어의 'set up'에서 유래했으며, 미국 구어체에서는 'set up'이 고의로 짜고 속여 넘기는 일 또는 사람을 쉽게 함정에 빠뜨리는 일을 뜻하며, 우리의 말로는 범죄를 저지를 의사가 없는 무고한 사람을 대상으로 허위사실을 조작하여 범죄자인 것처럼 만드는 불법행위를 의미합니다.
  • 2. 셋업범죄의 특징
    셋업범죄는 주로 동남아시아권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필리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관광을 온 여행객을 범죄타겟으로 보고 자기들이 준비한 계획하에 움직여 피해를 발생시킵니다. 이들은 절대로 혼자서 움직이지 않고 조직적으로 움직이고 치밀한 계획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피해자는 한 번 덫에 걸리면 쉽게 빠져나오기가 쉽지 않습니다. 현지인이나 현지 공무원 나의 여행을 안내해주던 가이드도 공모를 하여 속이고 없는 사실관계를 조작하여 금전적 이익 갈취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 3. 셋업범죄의 종류
    셋업범죄는 주로 소매넣기와 미성년자 성매매, 강간 모함하기로 두 가지로 일어납니다. 소매넣기는 여행객의 짐이나 호주머니에 그 나라의 소지금지물품을 몰래 넣어 누명을 씌우는 방식으로 주로 마약이나 총알 같은 소지하면 안되는 물품을 현지 경찰관이나 세관원이 적발하고 이것을 빌미로 겁을 주고 협박하며 돈을 갈취하는 수법입니다. 미성년자 성매매, 강간 모함하기는 여행 온 사람의 준법의식이 약해진 점을 이용해 이들을 대상으로 의도적으로 성매매를 유도한 뒤 나중에 '상대 여성이 미성년자였다. 자신은 강간을 당했다. 당신을 신고하겠다.'라고 협박하여 합의금을 노리는 수법입니다.
  • 4. 셋업범죄의 최근 동향
    최근 동남아 현지에서 범죄에 연루되어 체포되는 것처럼 연출한 뒤 수사를 막아주겠다며 한인 사업가 A씨에게 13억원을 받아낸 '셋업범죄단'이 붙잡혔습니다. 이들은 평소 골프모임을 통해 알고 지내던 A씨를 범행대상으로 골라 지난 4월부터 치밀하게 계획을 세웠습니다. 우선 모임으로 친분 쌓은 뒤 여행을 가자고 제안해 함께 6월 30일 출국하였습니다. 계획한대로 성매매를 유도하고 현지에 미리 섭외해둔 체포조 한인 브로커 주모씨가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범행 당일 잠시 들른 주유소에 미리 섭외해둔 현지 경찰관 6명이 체포를 했습니다.
  • 5. 셋업범죄의 원인
    필리핀 범죄조직 은어로 '마라셉 코리안' 맛있는 한국인이라는 뜻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는 쉽다라는 의미로 통한다고 합니다. 이들에게 한국인은 범행에 용이하고 한국인은 여행할 때 현금을 많이 갖고 다닌다는 이미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범죄피해를 입어도 소극적인 대응으로 신고도 안한다는 인식으로 각인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필리핀 두테르테 대통령이 범죄와 전쟁을 선포하면서 부패경찰들이 뇌물 대신 셋업범죄로 노선을 바꾼 것으로 보입니다.
  • 6. 셋업범죄 대처방법
    셋업범죄에 연루되었을 때는 대사관 직원이나 믿을만한 변호사가 오기 전까지는 말과 행동을 조심해야 합니다. 소매넣기를 당했을 경우 단속의 목적을 반드시 체크하고 동영상을 촬영하여 증거를 확보해야 합니다. 조사를 받게 된다면 물건의 출처나 소지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있음을 단호히 말해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이드가 예정되지 않던 일정을 잡거나 낯선 사람과의 동석을 유도하면 일단 의심하고 경계해야 합니다. 자신의 짐가방문은 항상 닫고 다녀야 하며 불법적인 물건이 발견되면 절대 접촉하지 말고 신고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셋업범죄의 의미
    셋업범죄는 피해자를 유인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가 됩니다. 셋업범죄는 피해자의 신뢰를 이용하여 범죄를 저지르기 때문에 매우 교묘하고 악질적인 범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예방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셋업범죄의 특징
    셋업범죄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피해자의 신뢰를 이용하여 범죄를 저지른다는 점입니다. 둘째, 범죄 행위가 계획적이고 조직적이라는 점입니다. 셋째, 피해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넷째, 범죄 수법이 교묘하고 은밀하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셋업범죄는 매우 위험한 범죄 유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셋업범죄의 종류
    셋업범죄의 주요 종류로는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온라인 유인 범죄, 채용 사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 범죄는 모두 피해자의 신뢰를 이용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셋업범죄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셋업범죄의 유형과 특징을 잘 파악하고 예방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 4. 셋업범죄의 최근 동향
    셋업범죄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셋업범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SNS, 채팅 앱 등을 통한 유인 범죄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둘째, 범죄 수법이 점점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피해자의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셋째, 피해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 단체 등 다양한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을 고려할 때 셋업범죄에 대한 강력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셋업범죄의 원인
    셋업범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범죄자들의 이익 추구 동기입니다. 셋업범죄를 통해 금전적 이익을 얻으려는 범죄자들의 욕망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둘째, 사회적 신뢰 부족입니다. 피해자들이 타인을 쉽게 신뢰하지 않게 되면서 범죄자들이 이를 악용하게 됩니다. 셋째, 범죄 수법의 고도화입니다. 범죄자들이 점점 더 교묘한 수법을 개발하면서 셋업범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넷째, 법적 처벌의 미흡입니다. 셋업범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지 않아 범죄자들이 계속해서 이러한 범죄를 저지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 6. 셋업범죄 대처방법
    셋업범죄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범죄 예방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일반 시민들이 셋업범죄의 특징과 수법을 잘 알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둘째, 법적 처벌을 강화해야 합니다. 셋업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여 범죄자들의 동기를 억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셋째, 온라인 상의 셋업범죄 감시를 강화해야 합니다.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셋업범죄에 대한 감시와 단속을 강화해야 합니다. 넷째, 피해자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셋업범죄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피해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대응 방안을 통해 셋업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셋업범죄란?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3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