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과제] 전략적 제휴 성공실패 사례
본 내용은
"
[A+과제] 전략적 제휴 성공실패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2
문서 내 토픽
  • 1. 전략적 제휴의 성공 사례: 엔씨소프트와 넷마블게임즈
    엔씨소프트와 넷마블게임즈는 2015년 2월 17일 주식교환 형태의 전략적 제휴(Equity Alliance)를 맺었습니다. 넷마블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2' IP를 활용해 모바일 게임 '리니지2 레볼루션'을 출시했고, 1개월 만에 매출 2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를 통해 넷마블은 엔씨소프트 지분을 4000억원대에서 3년 만에 9000억원대로 증가시켰습니다. 엔씨소프트는 넷마블과의 제휴로 경영권을 지켜내고 리니지의 모바일 전환을 앞당길 수 있었으며, 리니지2 레볼루션의 로열티로 더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엔씨소프트와 넷마블은 IP와 게임 제작상품을 공유하며 위험과 비용을 낮추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여 시너지를 냈습니다.
  • 2. 전략적 제휴의 실패 사례: 현대자동차와 다임러
    2000년 현대자동차와 다임러 크라이슬러는 전략적 제휴를 맺었습니다. 다임러는 현대차 지분 10%를 인수하고 상용차 제조를 추진했으며, 현대차는 부품 수출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러나 4년 후 다임러가 일본 미쓰비시 자동차 지분을 인수하면서 경영난에 처하게 되었고, 현대차의 시장 지위도 강화되어 두 기업의 제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결국 다임러는 현대차와의 상용차 합작을 무효화하고 현대차 지분을 모두 매각하면서 전략적 제휴를 중단했습니다. 두 기업 간 시너지와 리스크/비용 감소가 충분하지 않아 전략적 제휴가 실패하게 된 것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략적 제휴의 성공 사례: 엔씨소프트와 넷마블게임즈
    엔씨소프트와 넷마블게임즈의 전략적 제휴는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기업은 각자의 강점을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였습니다. 엔씨소프트는 게임 개발 및 운영 노하우를, 넷마블게임즈는 마케팅 및 유통 역량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양사는 시너지를 발휘하여 새로운 게임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출시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양사는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게임 산업 내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엔씨소프트와 넷마블게임즈의 전략적 제휴는 상호 보완적인 역량을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전략적 제휴의 실패 사례: 현대자동차와 다임러
    현대자동차와 다임러의 전략적 제휴는 실패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기업은 자동차 기술 및 생산 역량을 공유하고자 했지만, 서로 다른 기업 문화와 의사결정 방식으로 인해 원활한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양사 간 이해관계의 충돌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였고, 이는 결국 제휴 관계의 해체로 이어졌습니다. 이처럼 현대자동차와 다임러의 전략적 제휴는 기업 문화와 의사결정 방식의 차이, 이해관계의 충돌 등으로 인해 실패한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