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간호학실습_CPD CSEC(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본 내용은
"
여성간호학실습_CPD CSEC(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8
문서 내 토픽
-
1. 제왕절개분만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며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의 주요 적응증으로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자간전증, 전치태반, 태아 질식 등이 있다. 제왕절개 수술 전후로 다양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2. 아두골반불균형아두골반불균형은 태아가 지나는 산도인 엄마의 골반이 좁거나 태아가 큰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분만중 골반과 태아의 방향이 맞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산모의 골반이 선천적으로 좁은 경우, 영양실조, 종양, 골반골절, 척추나 하지 이상, 구루병이나 골연화증 등이 있다. 아두골반불균형은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 하강 지연, 태아 외상, 제대탈출, 연조직 손상, 산후출혈 및 감염 위험 증가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골반 계측, 내진, X-ray, 초음파 등이 활용되며 시도분만이나 제왕절개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
1. 제왕절개분만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자연분만에 비해 회복 기간이 길고 합병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제왕절개분만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되어야 합니다. 의사와 산모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위험과 장단점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제왕절개분만 후 향후 임신과 출산에 대한 계획도 함께 논의되어야 합니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신중한 선택이 되어야 합니다.
-
2. 아두골반불균형아두골반불균형은 골반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태아의 위치 이상, 난산, 제왕절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초기부터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아두골반불균형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로는 물리치료, 운동 요법, 교정 치료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아두골반불균형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