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거주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복지 레포트
본 내용은
"
남한거주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복지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7
문서 내 토픽
  • 1. 북한이탈주민 현황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3~2011년에는 연간 입국 인원이 2,000~3,000명 수준에 이르렀으나, 2012년 이후 입국 인원이 점차 줄어들어 연간 평균 1,300명대로 감소하였다. 2019년도 기준 총 1,047명이 입국하였으며 그 중 남자는 202명, 여자는 845명으로 입국자의 80.7%가 여성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은 식량 부족, 감시·통제의 북한 체제, 가족을 위한 더 나은 생활환경 등을 탈북원인 1순위로 뽑았다. 대체로 북한이탈주민은 현재 생활여건에 대해서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 2.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문제
    북한이탈주민 가족단위의 입국은 1994~1996년에는 32%를 기록하다가 2015~2016년 44%로 증가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가족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중 가족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 및 갈등이 42.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 외에도 생활비 등 경제적 어려움, 양육·교육·생활습관 등 사고방식의 차이 등이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부모가 자녀와 원활한 소통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도와야 하며, 부부간에도 의사소통 방법, 갈등을 줄일 수 있는 도움이 필요하다.
  • 3. 가족복지 프로그램 계획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SNL' 캠페인을 계획하였다. 'S'는 'South Korea', 'N'은 'North Korea', 'L'은 'Linked'를 뜻한다. 각 부스에는 자녀들과 소통할 수 있는 '인싸 용어 맞추기', 부모님과 자녀들이 서로의 취향을 확인할 수 있는 '이구동성 게임', 가족들이 함께 남한 음식을 만들 수 있는 'Cook Cooking', 남한의 직업을 체험하는 '키자니아' 등 재미있는 부스들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가족이 남한의 문화에 대해 배워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험을 통해 서로 화합을 이루며 가족 간의 의사소통 문제 해결을 꾀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북한이탈주민 현황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정착과 적응을 위한 정부와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북한이탈주민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의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의 이해와 관심을 높여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문제
    북한이탈주민 가족들은 가족 구성원의 분리, 경제적 어려움, 문화적 차이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들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족 단위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 형성, 경제적 자립 지원, 심리 상담 등 가족 단위의 통합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가족들이 겪는 문화적 차이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과 상담 서비스도 제공되어야 합니다.
  • 3. 가족복지 프로그램 계획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가족 단위의 통합적인 복지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 형성, 경제적 자립 지원, 심리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족복지 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이들 가족이 겪는 문화적 차이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과 상담 서비스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가족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