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교정치_통계분석_유효정당수 계산과 한계 득표-의석 불비례성
본 내용은
"
비교정치_통계분석_유효정당수 계산과 한계 득표-의석 불비례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7
문서 내 토픽
-
1. 유효정당수의 개념과 계산유효정당수는 정당체제의 정당수를 측정하는 개념으로, 정당의 상대적 크기로 가중치를 부여해 정당의 수를 측정한다. 정당의 상대적 크기는 정당별 득표수나 정당별 의석수를 기준으로 삼는다. 이러한 측정은 국가 간 선거제도를 비교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모든 정당의 상대적 크기가 같으면 실제 정당수와 유효정당수가 같아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 유효정당수는 실제 정당수보다 작아진다. 유효정당수는 정당체제의 분절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2. 유효정당수 계산 공식Laakso(락소)와 Taagepera(타게스페라) (1979)의 보편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n은 최소 1석이나 1표를 얻은 정당의 수이고, pi²은 해당 정당의 득표율 또는 의석 점유율의 제곱이다. 최근 Golosov(골로소프, 2010)가 제시한 새로운 계산법에 의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n은 정당의 수이고, pi²은 각 정당의 득표율이나 의석점유율의 제곱이고, pi는 제1당의 득표율이나 의석점유율의 제곱이다.
-
3. 유효정당수 계산의 한계락소와 타게페라의 유효정당수 계산법은 방법론적으로 이론적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첫째, 락소와 타게페라의 공식이 근본적으로 의석수나 득표의 '기타항'을 다루는 차원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둘째, 와일드전의 대안적 논의가 보다 작은 정당들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고 할지라도 그러한 작은 정당들이 왜 정당체계에서 고려되어야만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다. 셋째, 락소와 타게페라의 공식에서 유효한 정당으로 분류되지 않는 군소정당이 정당연합이론의 경우를 고려하면 유효한 정당이 될 수 있는 경우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
4. 의석-득표 불비례성 측정선거제도를 평가하는 수단 중에 하나가 정당의 의석-득표 불비례성(disproportinality)을 측정하는 것이다. 비례대표제에서 불비례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의석 배분 방식에서 최대 잔여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의석의 비율과 득표간의 절대적 차이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둘째, 최고 평균 방식에서처럼 정당의 의석과 득표간의 비율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이다. 셋째, 거대정당 편향 측정방식으로 회귀지수가 있다.
-
5. 절대차이에 기초한 측정레 지수는 가장 오래된 득표-의석 불비례성 측정 방식이며 정당득표율과 의석점유율의 차이의 평균값으로 측정한다. 최소제곱 지수는 레 지수에서 소규모 정당이나, 의석-득표 간 격차가 큰 하나의 정당이 전체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전체적 득표-의석 불비례성을 파악하는데 방해가 되고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이다.
-
6. 비율에 기초한 측정동트 지수는 의석 배분방식에 있어서 가장 많이 과대 대표되는 정당의 과대대표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이용해 불균형 지수를 만든다면 가장 많이 과대대표된 정당의 대표율로 계산이 가능할 것이다.
-
1. 유효정당수의 개념과 계산유효정당수는 정당체계의 다당제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당들의 의석점유율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이는 정당체계의 다양성과 경쟁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유효정당수 계산 공식은 정당들의 의석점유율을 제곱하여 합산한 값의 역수를 취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와 균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효정당수 계산에는 한계가 있는데,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불비례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따라서 유효정당수 외에도 의석-득표 불비례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필요합니다.
-
2. 유효정당수 계산 공식유효정당수 계산 공식은 N = 1 / Σ(pi^2)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N은 유효정당수, pi는 i번째 정당의 의석점유율입니다. 이 공식은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를 반영하여 정당체계의 다당제 정도를 나타냅니다. 정당들의 의석점유율이 균등할수록 유효정당수가 높아지고, 특정 정당이 독점적 지위를 가질수록 유효정당수가 낮아집니다. 이를 통해 정당체계의 다양성과 경쟁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공식은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불비례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3. 유효정당수 계산의 한계유효정당수 계산은 정당체계의 다당제 정도를 나타내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첫째,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불비례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특정 정당이 득표율에 비해 과대 대표되거나 과소 대표되는 경우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둘째,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만을 고려하고 정당들 간 지지기반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셋째, 정당체계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효정당수 외에도 의석-득표 불비례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들이 필요합니다.
-
4. 의석-득표 불비례성 측정의석-득표 불비례성은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절대차이에 기초한 측정과 비율에 기초한 측정이 있습니다. 절대차이에 기초한 측정은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절대적 차이를 합산하여 나타냅니다. 비율에 기초한 측정은 정당들의 득표율 대비 의석점유율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유효정당수와 함께 정당체계의 다양성과 경쟁 정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5. 절대차이에 기초한 측정절대차이에 기초한 의석-득표 불비례성 측정은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절대적 차이를 합산하여 나타냅니다. 이는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와 무관하게 단순히 득표율과 의석점유율의 차이를 반영합니다. 따라서 특정 정당이 득표율에 비해 과대 대표되거나 과소 대표되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방식은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절대차이 외에도 비율에 기초한 측정 등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6. 비율에 기초한 측정비율에 기초한 의석-득표 불비례성 측정은 정당들의 득표율 대비 의석점유율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는 정당들의 상대적 크기와 균형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특정 정당이 득표율에 비해 과대 대표되거나 과소 대표되는 경우 그 비율이 크게 벗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정당체계의 다양성과 경쟁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다만 정당들의 득표율과 의석점유율 간 차이의 절대적 크기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비율 외에도 절대차이 등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