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과 영양 과제
본 내용은
"
운동과 영양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3
문서 내 토픽
  • 1. 운동 시 에너지 공급체계
    운동 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으로는 ATP, PC, 혈당, 간과 근육의 글리코겐, 혈중 유리지방산, 근육과 지방조직, 근육의 단백질 등이다. 이들 에너지원이 근육과 수축에 사용 되기 위해서는 ATP-PC체계, 무산소성 해당계, 유산소성 체계 등이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작용한다. 운동 초기에는 ATP-PC 체계와 젖산 에너지 체계가 주로 작용하며, 장기간 운동 시에는 유산소성 에너지 체계가 주로 작용한다.
  • 2. 간에는 있으나 근육에는 없는 당대사 효소
    포도당 6 인산 가수분해효소(glucose-6-phosphatse)는 간에는 있지만 근육에는 없는 효소이다. 이 효소로 인해 간 글리코겐은 신속하게 분해되어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당을 보충할 수 있지만, 근육 글리코겐은 포도당-6-인산에서 포도당으로 전환되지 못하므로 혈당원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근육에서는 포도당-6-인산이 곧바로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 3. 운동 후 탄수화물 섭취 시기 및 이유
    운동 후 30분 이내에 체중 1kg당 1~1.5g(70~100g 정도)의 탄수화물을 공급하고, 2시간 이후에 추가로 체중 1kg 당 1~1.5g의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것이 글리코겐 보충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이는 운동 직후가 2시간 후보다 인슐린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글리코겐 저장량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 4.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에너지 대사 차이
    규칙적인 운동으로 잘 훈련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유산소성 대사 수행 능력이 커진다. 이는 훈련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의 수가 많아져 호흡 능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능력도 증가하여 탄수화물의 절약효과가 나타나 운동 중 근육 글리코겐의 고갈과 혈당 이용률을 감소시킨다. 계획적인 훈련은 운동 초기의 근육 내 글리코겐 저장량을 높일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운동 시 에너지 공급체계
    운동 시 에너지는 주로 3가지 체계를 통해 공급됩니다. 첫째, 근육 내 저장된 ATP와 크레아틴 인산(PCr)이 빠르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산소성 알라닌 체계입니다. 둘째, 혐기성 해당 과정을 통해 근육 내 글리코겐이 젖산으로 분해되어 에너지를 공급하는 무산소성 해당 체계입니다. 셋째, 유산소 대사를 통해 혈액 내 포도당과 지방이 산화되어 에너지를 공급하는 유산소 체계입니다. 이 3가지 체계는 운동 강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비율로 작용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운동 처방과 영양 섭취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합니다.
  • 2. 간에는 있으나 근육에는 없는 당대사 효소
    간에는 있지만 근육에는 없는 대표적인 당대사 효소로는 glucose-6-phosphatase와 fructose-1,6-bisphosphatase가 있습니다. glucose-6-phosphatase는 간에서 glucose-6-phosphate를 glucose로 전환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지만, 근육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fructose-1,6-bisphosphatase는 간에서 gluconeogenesis 과정에 관여하지만, 근육에는 발현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간과 근육에서 당대사 과정이 다르게 조절되는 것은 각 기관의 기능적 차이에 기인합니다. 간은 혈당 조절의 주된 역할을 하지만, 근육은 에너지 생산에 더 중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 3. 운동 후 탄수화물 섭취 시기 및 이유
    운동 후 탄수화물 섭취 시기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 직후 빠른 시간 내에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근육 내 글리코겐 합성을 촉진하여 빠른 회복을 돕습니다. 이는 운동으로 소모된 근육 내 글리코겐 저장을 보충하고, 다음 운동을 위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운동 후 인슐린 민감성이 증가하여 탄수화물 섭취 시 근육으로의 포도당 유입이 원활해지므로, 이 시기에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운동 직후 30분 내에 빠른 흡수가 가능한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근육 회복과 운동 수행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4.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에너지 대사 차이
    운동선수와 일반인의 에너지 대사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운동선수는 일반인에 비해 유산소 능력이 뛰어나 지방 산화 능력이 높습니다. 이를 통해 운동 시 지방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근육 내 글리코겐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운동선수는 근육량이 많고 근육 내 미토콘드리아 밀도가 높아 유산소 대사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를 통해 운동 시 에너지 생산 효율이 높습니다. 셋째, 운동선수는 훈련을 통해 인슐린 민감성이 향상되어 포도당 조절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를 통해 운동 중 혈당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이와 같은 차이로 인해 운동선수는 일반인에 비해 장시간 고강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