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CCU CSICU 심장계중환자실 (STEMI 심근경색)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6개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스터디 - CCU CSICU 심장계중환자실 (STEMI 심근경색)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6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3
문서 내 토픽
  • 1. 심근허혈로 인한 심장조직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는 NSVT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lab상 심근경색 지표의 상승, chest ap 상 cardiomegaly, sono 상 EF 30% 추정, ECG의 abnormal한 결과가 나타나 심근허혈로 인한 심장조직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력징후 모니터링, 약물 투여, 산소 공급, 안정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심박출량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다.
  • 2. 침습적 시술 및 항응고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대상자는 현재 heparization으로 인한 apTT 증가, ECMO insertion, IV, A-line, Foley 등 침습적 장치가 다량 적용되어 출혈 위험성이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활력징후 및 검사 결과 모니터링, 항응고제 투여, 출혈 예방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출혈 증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3.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대상자는 LA IV site에 pain과 swelling을 호소하며 phlebitis 소견을 보이고 있어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균술 준수, 주기적 dressing 교환, 항생제 투여, 감염 증상 모니터링 및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감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4. 치료상 부동 및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대상자는 현재 ABR, Both leg 억제대 적용 중이며 stage 1의 욕창이 충분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사정, 압력 완화, 체위 변경, 영양 관리, 욕창 드레싱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욕창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
  • 5. 자가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대상자는 GERD 진단을 받았으나 지속적으로 흡연, 음주 생활을 하였다는 점에서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심장 시술을 받았기에 앞으로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ERD, 관상동맥질환의 위험 요인과 관리 방법, 약물 복용법 및 부작용, 활동 범위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 6. 급격한 신체 상태 변화, 죽음의 공포와 관련된 불안
    대상자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하며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안 표현 격려, 정서적 지지, 질병 및 예후에 대한 정보 제공, 불안 완화 방법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근허혈로 인한 심장조직손상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심근허혈은 심장 근육에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상태로, 이로 인한 심장 조직 손상은 심박출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를 초래하여 전신 순환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근허혈 환자의 경우 심박출량 감소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 혈관 확장술, 심장 이식 등 다양한 치료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심근허혈의 예방을 위해 생활 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 2. 침습적 시술 및 항응고제 복용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침습적 시술이나 항응고제 복용은 출혈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안전과 치료 경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출혈 위험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신속한 대응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출혈 위험 요인 파악, 출혈 징후 관찰, 적절한 지혈 처치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출혈 증상 인지와 대처 방법 습득을 돕는 것도 필요합니다. 궁극적으로는 환자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하여 출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 3.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침습적 시술은 감염의 위험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건강과 치료 예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철저한 감염 관리 절차를 준수하고, 감염 징후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시술 전후 소독 및 멸균, 무균 기법 준수, 환자 상태 관찰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감염 예방과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침습적 시술의 안전성을 높이고, 환자의 건강과 치료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4. 치료상 부동 및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치료를 위한 부동 및 기저귀 착용은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욕창, 피부 발진, 감염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피부 상태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적절한 피부 관리 및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압박 부위 관리, 피부 청결 유지, 영양 공급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피부 관리 교육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피부 통합성 장애를 예방하고,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5. 자가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자가간호 지식 부족은 환자의 건강 관리와 치료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질병 관리, 증상 모니터링, 투약 관리,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자가간호 영역에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환자와 보호자에게 체계적인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여 자가간호 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건강 관리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자가간호 실천을 독려하고, 필요시 추가 교육과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 6. 급격한 신체 상태 변화, 죽음의 공포와 관련된 불안
    급격한 신체 상태 변화와 죽음에 대한 공포는 환자에게 심각한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합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질병 과정과 치료 계획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안 증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필요시 심리 상담, 약물 치료 등의 중재를 통해 불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가치관과 선호도를 고려한 의사결정 지원, 가족 및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의 노력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불안을 완화하고, 치료 과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