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기공사, 치위생사, 학생들을 위한 치아교합학 발표자료
본 내용은
"
치기공사, 치위생사, 학생들을 위한 치아교합학 발표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3
문서 내 토픽
  • 1. 교합조절과 보철물의 형태
    교합조정이란 다수치에 교합력을 분산시키고 치아의 정확한 접촉관계를 유지해 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교합조정의 분류에는 1. 턱관절의 안정과 교두감합위의 안정을 위해 중심위에서 occlusal contact과 중심 감합위에서의 occlusal contact을 일치시키기 위한 조정, 2. 보철물에서 교두 감합위의 안정과 원활한 하악운동, 구치부 이개를 달성하기 위한 중심감합위에서의 occlusal contact 조정이 있다.
  • 2. Anterior guidance
    Anterior guidance 확립은 교두갑합위의 안정, 원활한 하악운동, 구치부 이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임상적 지표이다. Anterior guidance가 부적절하면 악운동에 대응해 교두의 위치, 높이, 융선의 방향, 구의 방향을 변화시켜야 하지만, 양호한 Anterior guidance가 확립되어 있으면 immediate side shift가 큰 증례라도 구치의 즉시 이게를 달성할 수 있다.
  • 3. Tooth position
    Occlusal reconstruction 시 구치의 위치는 협설적으로 ABC contact을 실현할 수 있는 위치이며 근심적으로 closure stopper와 equalizer 관계를 실현하기 좋은 angle 1급 관계를 이상으로 한다. 교두감합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기능교두는 cusp to fossa의 관계를 확립하고 편측운동 시 구치이개가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 4. 교합면 형태의 개념
    대구치 교합면의 요구 형태는 1) 교두 감합위를 안정시킬 것, 2) 활주운동 시 대구치 이개가 발생하며 또 저작운동 시 교합 간섭이 없을 것이다. 교합면 형태는 측방 활주운동 시 구치부가 이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작운동 시 구치간섭이 없어야 한다. 또한 교두의 높이, 교두열구를 평탄한 모양으로 할 경우 교두가 진행하는 운동로를 제한하여 교합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 5. 교합조정 방법
    교합조정 방법에는 1) 중심감합위에서 높이조정, 2) 측방운동 시 간섭조정이 있다. 교합조정 시 교두정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functional room을 확대하듯이 조정한다. 교합조정 임상술식 순서는 1) 인상체득, 2) Metal coping trial, 3) Over impression과 교합체득, 4) biscuit back triar과 교합조정이다.
  • 6. 교합조정 임상술식
    교합조정 임상에서는 1) 교합 필름을 이용해 높은 곳을 조정, 2) Bite checker를 이용해 내측 사면에서 교합이 형성되도록 한다. 3) 환자가 편할 때까지 비닐교합지를 이용, 4) 측방운동 시 간섭을 조정, 5) 부족한 부위를 수정한다. 6) 교합조정이 끝난 보철 Provisional crown의 상태를 확인한 후 최종 보철물로 이행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교합조절과 보철물의 형태
    교합조절은 보철물의 형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보철물의 형태는 교합력을 적절히 분산시켜 치아와 치주조직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보철물의 교합면 형태, 교합접촉점의 위치, 교합력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보철물 장착 후 교합조절을 통해 교합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과도한 교합력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보철물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기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2. Anterior guidance
    Anterior guidance는 하악운동 시 상악 전치부와 하악 전치부의 접촉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이는 측방운동과 전방운동 시 하악의 운동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anterior guidance는 측방운동 및 전방운동 시 교합력을 전치부로 집중시켜 구치부의 교합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전치부의 보호기능을 강화하여 구치부의 과도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철물 제작 시 anterior guidance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환자의 기능적 요구사항과 해부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해야 합니다.
  • 3. Tooth position
    치아의 위치는 교합 및 저작기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치아의 위치가 부적절할 경우 교합력의 불균형, 치아의 과도한 마모, 치주조직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철물 제작 시 치아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안모 분석, 치열 분석, 교합 분석 등을 통해 최적의 치아 위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보철물 장착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교합조절을 통해 치아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 4. 교합면 형태의 개념
    교합면 형태는 교합력의 분산, 저작기능, 심미성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보철물 제작 시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교합면 형태는 해부학적 형태, 기능적 요구사항, 심미적 요구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구치부의 경우 교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계해야 하며, 전치부의 경우 심미성과 전방유도 기능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교합면 형태는 보철물 장착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교합조절을 통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5. 교합조정 방법
    교합조정은 보철물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교합조정 방법에는 교합지를 이용한 교합조정,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조정, 구강 내 직접 교합조정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와 보철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교합조정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추가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교합조정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요구되므로 치과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시술이 필요합니다.
  • 6. 교합조정 임상술식
    교합조정 임상술식은 보철물의 장기적인 안정성과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교합조정 술식에는 교합지를 이용한 교합조정, 교합기를 이용한 교합조정, 구강 내 직접 교합조정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술식은 장단점이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와 보철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술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교합조정 후에도 지속적인 관찰과 추가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교합조정 술식은 숙련된 기술과 경험이 요구되므로 치과의사의 전문적인 판단과 시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