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관계법규 감염병 정리본
본 내용은
"
보건의료관계법규 감염병 정리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2
문서 내 토픽
-
1. 신종감염병최근 20여 년간 상당한 정도로 인간에게서 발병률이 증가한 질병. 신종감염병 긴급상황 보고 및 대응체계, 신종감염병 관리대상 1급감염병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중동 입국자에 의해 2015년 첫 확인되었으며, 주된 전파는 숲모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감염재생산지수, 증상, 진단, 치료, 예방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3. 지카바이러스뎅기, 황열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이 원인 병원체이며, 우간다 붉은털 원숭이에서 최초 확인되었습니다. 소두증 출산, 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합병증이 있으며, 무증상, 경증, 중증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4.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질병SARS-CoV-2가 원인 병원체이며, 동물이 병원소나 매개체로 의심됩니다. 주로 발열, 기침, 호흡곤란, 오한, 근육통, 인후통, 후각·미각소실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
5. 말라리아Plasmodium 속 원충감염으로 인한 사람 말라리아 4종이 있으며, 얼룩날개모기속 암컷 모기가 인체 흡혈 시 원충, 포자소체를 주입하여 감염됩니다.
-
6. 신종인플루엔자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킨 새로운 바이러스(H1N1)로, 계절인플루엔자와 비슷한 치명률을 보입니다.
-
7. 조류인플루엔자감염된 가금류(조류)의 바이러스가 코, 입을 통해 감염되며, 조류 간 감염도 가능하므로 완전한 차단이 어렵습니다.
-
8. 결핵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의한 질병으로, 공기전파가 주된 감염경로이며, 잠복결핵 상태의 고위험군이 많습니다.
-
9. 쯔쯔가무시증리케차의 일종인 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한 질병으로,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의해 전파됩니다.
-
10. 렙토스피라증렙토스피라균에 의한 사람-동물 공통감염 질병으로, 들쥐, 소, 돼지, 개 등 동물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난 피부를 통해 감염됩니다.
-
1. 신종감염병신종감염병은 인류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은 새로운 병원체가 출현하거나 기존 병원체가 변이되어 발생하며, 전파력이 강하고 치료법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종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질병 감시 체계 강화, 신속한 진단법 개발, 효과적인 치료법 연구, 백신 개발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국제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이 중요합니다. 신종감염병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투자가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은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던 심각한 신종감염병입니다. MERS는 사람 간 전파력이 높고 치명률이 높아 큰 공포를 야기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질병 감시 체계 강화, 신속한 진단법 개발, 치료법 연구 등이 이루어졌지만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MERS와 같은 신종감염병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지카바이러스지카바이러스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신종감염병으로, 2015년 브라질에서 대규모 유행이 발생했습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경미한 증상을 보이지만, 신경계 합병증과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큰 우려를 낳았습니다. 지카바이러스 대응을 위해 모기 방제, 진단법 개발, 백신 연구 등이 이루어졌지만 아직 완전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신종감염병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질병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질병은 최근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신종감염병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망자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신속한 진단법 개발, 치료제 및 백신 연구, 방역 정책 수립 등이 이루어졌지만 아직 완전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입니다. 향후 유사한 신종감염병 출현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 국제 협력 증진, 지속적인 연구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말라리아말라리아는 오랜 역사를 가진 감염병으로,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여전히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며, 치명률이 높고 약물 내성 문제도 있어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서는 모기 방제, 신속한 진단과 치료, 백신 개발, 국제 협력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말라리아 확산 가능성에 대한 대비도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신종인플루엔자신종인플루엔자는 기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되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2009년 발생한 신종 인플루엔자 A(H1N1)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신종인플루엔자는 전파력이 강하고 치명률이 높아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신속한 진단법 개발, 백신 생산 체계 구축, 방역 정책 수립 등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습니다.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조류인플루엔자조류인플루엔자는 주로 가금류에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사람에게 전파될 경우 치명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는 가금류 농장에서 주로 발생하며, 사람 간 전파력이 낮아 대규모 유행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큰 우려 사항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을 위해서는 가금류 농장 방역 강화, 신속한 진단과 대응 체계 구축, 백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결핵결핵은 오래전부터 인류를 괴롭혀온 감염병으로,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며, 약물 내성 문제로 인해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치료, 결핵 백신 개발, 고위험군 관리, 사회경제적 요인 개선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지속적인 투자가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쯔쯔가무시증쯔쯔가무시증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털진드기에 의해 전파됩니다. 쯔쯔가무시증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간과되기 쉽습니다. 쯔쯔가무시증 대응을 위해서는 진드기 방제, 조기 진단과 치료, 백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 질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감시 체계 강화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10. 렙토스피라증렙토스피라증은 주로 쥐나 야생동물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은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렙토스피라증 대응을 위해서는 동물 관리, 환경 개선, 조기 진단과 치료, 백신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 질병에 대한 인식 제고와 감시 체계 강화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보건의갸관계법규 과제 - 의대정원 확대와 관련 법안에 대한 고찰(A+) 7페이지
보건의료관계법규 개별과제 -보건의료 법적 이슈 및 해결방안 보고서Ⅰ. 보건의료계/간호계 법적 이슈 ------------------------- 3 ~ 4pⅡ. 법의 발의 배경 ---------------------------------------- 5pⅢ. 문제점 ------------------------------------------------ 6pⅣ. 관련 문제의 해결방안 ---------------------------------- 6pⅤ. 느낀점 -----------------------------------------...2024.03.25· 7페이지 -
국가고시 스터디계획표 10페이지
과목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1월성인이론복습/문제풀이/오답정리모성+아동+법규-이론복습/문제풀이/오답정리지역+관리-이론복습/문제풀이/오답정리정신+기본-이론,복습/문제풀이/오답정리-총정리-총정리일월화수목금토1234567실습기간*************516171819호흡기계20212223242526근골격계&내분비계2728293021*5월 19일~23일19일: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리뷰 및 건강사정20일: 전날 복습, 하부호흡기계 억제성 폐질환, 폐쇄성 폐질환 요약정리21일: 상부호흡기계 장애와 호흡기계 신생물 요약정리22일: 흉...2014.06.24·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