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하수도학1_수질오염 지표를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
상하수도학1_수질오염 지표를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11
문서 내 토픽
-
1. BOD (Bochemical Oygen Deman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는 호기성 상태의 미생물이 분해 가능한 유기 물질을 20℃에서 5일간 안정화시키기 위해 소비한 산소의 양을 mg/l 또는 ppm 단위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BOD가 높다는 것은 수중에 분해되기 쉬운 유기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미생물이 이를 분해하기 위해 많은 양의 산소를 소모했다는 것이므로 수질이 나쁘다고 할 수 있다.
-
2. COD (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는 수중에 아질산염이나 황화물 등의 유기물들이 용해되어 있는 산소를 소비하게 되므로 유기물이 많을수록 수중의 산소가 감소하여 수산 생물이나 미생물이 살 수 없어 부패하게 된다. COD가 작을수록 수중에 오염 물질이 적게 들어 있어 수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
3. DO (Dissolved Oxygen, 용존 산소)DO는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의 양을 말한다. DO는 수온이나 기압, 오염물의 농도 등의 조건에 따라 변동하며, 수온이 낮아지거나 공기 중에 산소가 많아질 경우 높아진다. DO가 부족하거나 없을 경우 수중생물이 살아가기 어렵고 심지어는 썩게 되기 때문에 DO의 값이 클수록 좋은 물이라 할 수 있다.
-
4. SS (Suspended Solids, 부유 물질)SS는 수중의 0.1㎛ 이상부터 2㎜ 이하의 고형물질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유기물질이나 무기물질을 의미한다. 수중에 부유물질이 유기물일 경우에는 이것이 부패할 때 DO를 소모하며, 많을 경우에는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되어 폐사가 발생할 수 있다.
-
5. 세균 및 대장균물은 세균의 증식으로 인해 수중 생태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상수도원으로 사용되는 물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 콜레라, 장티푸스, 간염 등과 같은 수인성 전염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
1. BOD (Bochemical Oygen Demand,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는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BOD 값이 높다는 것은 수중에 많은 유기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됩니다. BOD 값이 높은 경우 수중 생물에게 산소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어 수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BOD 값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기물 배출을 줄이고, 수중 산소 공급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생 생태계를 보호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2. COD (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는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이 산화되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COD 값이 높다는 것은 수중에 많은 유기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됩니다. COD 값이 높은 경우 수중 생물에게 산소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어 수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COD 값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기물 배출을 줄이고, 수중 산소 공급을 높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생 생태계를 보호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COD는 BOD와 함께 수질 관리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3. DO (Dissolved Oxygen, 용존 산소)DO는 수중에 용해되어 있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DO 값이 높다는 것은 수중 생물에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DO 값이 낮다는 것은 수중 생물에게 산소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O 값은 수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DO 값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중 산소 공급을 높이고, 유기물 배출을 줄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생 생태계를 보호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SS (Suspended Solids, 부유 물질)SS는 수중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SS 값이 높다는 것은 수중에 많은 부유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되며, 수중 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유 물질이 많은 경우 수중 생물의 호흡과 광합성에 장애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SS 값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유 물질 배출을 줄이고, 수중 침전 과정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생 생태계를 보호하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5. 세균 및 대장균세균 및 대장균은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세균 및 대장균이 많이 검출되는 경우 수중에 분변 오염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인성 질병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균 및 대장균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오염원 관리, 하수 처리 시설 개선, 수생 생태계 보호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질을 개선하고 수인성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세균 및 대장균 관리는 수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수질환경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 답안 핵심 정리집 8페이지
1정수장에서 수돗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트리할로메탄의 생성속도에 다음 수질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시오.1. 수온이 높을수로고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2. pH가 높을수록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3. 불소 농도가 높을수록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2연속흐름반응조와 비교하여 SBR의 장점 6가지 서술1. 침전설비, 반송설비가 필요 없다.2. 수리학적 과부하에도 MLSS 유출이 없다.3. 공정의 변경이 용이하다.4. 운전방식에 따라 사상균 벌킹을 방지할 수 있다.5. 유입오수의 부하변동이 규칙성을 갖는 경우 비교적 안정된 ...2024.09.04· 8페이지 -
전주대학교 자연재해의 이해 과제물 모음 12페이지
1주차 과제물* 교재를 읽고 다음 질문에 대해 서술하시오.1. 재난과 재해를 설명하고 차이점을 총 5줄 정도로 서술하시오.재난이란 인간의 생존과 재산의 보존이 불가능할 정도로 생활 질서를 위협받는 상태를 초래시키는 사고 또는 현상을 의미하며 자연재난, 인적재난, 국가기반재난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반면 재해는 인간의 사회적 생활과 인명, 재산이 이상 자연현상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피해를 받았을 경우를 말하며 자연재해와 인위재해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재난은 원인이고 재해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2. 자연재해는...2023.01.05· 12페이지 -
생활과 환경7장.8장.9장 6페이지
11. 멸종이 가속화 되는 이유 10가지를 요약 서술하시오.① 상위 영양 단계에 있다.- 먹이 연쇄의 상위 주순에 있는 종이 멸종되기 쉽다.- 예) 호랑이, 캘리포니아 콘도르② 몸집이 크다.- 몸집이 크면 동작이 둔하고 눈에 잘 띄므로 멸종되기 쉽다.- 예) 코끼리, 코뿔소, 고래, 장수하늘소 등③ 생식력이 낮다.- 새끼를 낳는 주기가 길거나, 한번에 낳는 새끼나 알의 수가 적어 증식 속도가 느리다.- 예) 나그네 비둘기④ 이동로가 고정되어 있다.- 이동로가 고정되어 있어 적으로부터 공격당하기가 쉬워 멸종되기 쉽다.- 예) 청고래,...2014.10.21· 6페이지 -
상하수도공학 2,3,4 7페이지
2.10 계획급수인구 10만의 중소도시에 급수계획을 하고자 한다. 계획 1인 1일 최대급수량이 250L이고, 급수보급률이 70%일 경우 계획 1일 최대 급수량은?Sol) 1인 1일 최대급수량이 250L, 급수보급률이 70%, 1일 최대 급수량=?급수인구 × 0.7 = 70,0002.11 어느 도시의 상하수도 계획을 수립하고자 인구 추정을 하였다. 1986년에서 1990년 사이의 인구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의 인구를 등차급수법에 의하여 추정하면 얼마인가?년도*************9891990인구(명)20,48322,31722...2011.09.26· 7페이지 -
상하수도 구미서관 3,4,5장 14페이지
3.1 하수관 설계 시 적합한 유속의 변위는?① 표준유속 : 1.0~1.8m/s② 오수관 : 0.6~3.0m/s③ 우수관 및 합류관 : 0.8~3.0m/s3.2 하수관거 설계시 경사, 유속 및 관경을 상?하류에 따라 어떻게 적용하는가?하수관거의 구배 및 유속은 그 유량과 관거의 크기에 따라서 정하여지거나, 지형이나 지표구배의 제한을 받게 된다, 대체로 지형에 순응하여 구배를 정한 수 관거의 크기를 경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제적인 설계가 된다. 그러므로 하수관거의 유속은 가능한 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크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이...2011.04.28·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