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9_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본 내용은
"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9_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9
문서 내 토픽
-
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PSPICE schematic을 그리고 입력 전압원의 값을 0V에서 +6V까지 0.1V의 증분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렸습니다. 입력저항을 10kΩ, 부하저항을 100Ω으로 하고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렸습니다. 두 경우의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비교 및 분석한 결과, Op amp의 gain이 충분히 클 때는 입력 전압과 피드백 전압의 값이 같고, 피드백 전압과 저항의 관계식에 의해 출력전압이 결정되므로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이 변해도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아 같은 출력파형을 보이게 됩니다. 또한 입력 전압원을 2.0V로 고정하고 전원 전압원을 0V에서 12V까지 증가시켜 가며 출력 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 시뮬레이션한 결과, 특정 전압 이상에서는 출력 전압의 변화가 없는데 이는 입력전압을 2V로 고정하면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저항 , 에만 관계가 있어 4V로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
2.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 설계PSPICE schematic을 그리고 입력 전압원의 값을 0V에서 +10V까지 0.1V의 증분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LED의 출력전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렸습니다. 입력저항을 10kΩ으로 변경하고 피드백 저항을 구성하고 있는 값을 1/2배로 줄인 후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LED의 전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렸습니다. 두 경우의 출력전류 파형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각 회로의 출력전류는 의 식을 만족시키므로 3.2(b)의 파형이 3.2(a)의 파형보다 2배된 값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입력 전압원의 값을 0V에서 +5V까지 0.1V의 증분으로 증가시키고 전원 전압원을 12V에서 10V로 낮추었을 때 LED에 흐르는 전류가 바뀌지 않는데, 이는 출력전류가 의 식을 만족시키기 때문에 전원전압의 변화가 출력전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Analysis type을 Time Domain (Transient)으로 설정하고 VAMPL=5V, FREQ=10Hz인 정현파 입력 전압원에 대한 출력 전류를 도시하였습니다.
-
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Series-Shunt 피드백 회로는 전압 피드백과 전류 피드백이 결합된 형태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하 변동이나 전원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과 전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회로 설계 시 전압 피드백과 전류 피드백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최소화하고 부하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는 전력 변환 장치, 배터리 충전기, 전기 자동차 충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 설계Series-Series 피드백 회로는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를 통해 입력 전압 변동이나 부하 변동에 대한 출력 전압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회로 설계 시 입력 전압 피드백과 출력 전압 피드백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 특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 변동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Series-Series 피드백 회로는 정전압 전원 공급기, 배터리 충전기, 태양광 인버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회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계가 까다로운 편이므로, 적절한 설계 기술이 필요합니다.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6.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A+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문서는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과정에서 작성된 예비 6번째 실습 보고서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Emitter 저항을 사용한 Common Emitter Amplifier 회로를 설계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이론적 계산을 통한 회로 설계,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실...2025.01.27 · 공학/기술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6. Common Emitter Amplifer 설계1.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 이 문서는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의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6번 과제인 Common Emitter Amplifier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과제의 목적은 NPN BJT를 사용하여 입력저항 50Ω, 부하저항 5kΩ, 전원전압 12V인 경우에 증폭기 이득이 -100V/V인 Commo...2025.04.30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3학년 1학기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1 구매 시 절대 후회 없음(A+자료)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예비보고서에서는 Op Amp를 이용한 Inverting, Non-inverting, Summing Amplifier 설계 및 구현, 측정, 평가를 다루고 있습니다. 센서의 Thevenin 등가회로를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증폭기를 설계하였습니다. Inverting Amplifi...2025.05.14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A+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력 전압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확인하였습니다. 입력 저항과 부하 저항 값을 변경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회로의 이득이 동일하여 동일한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입력 전압을 고정하고 전원 전압을 변화시킬 경우, 특정 전압 이상...2025.01.27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자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1.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1. Op Amp를 이용한 Amplifier 설계 이 보고서는 전자회로 설계 실습 예비보고서 1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은 Op Amp를 이용한 다양한 Amplifier 설계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Inverting, Non-inverting, Summing Amplifier를 설계, 구현, 측정, 평가하는 것입니다. 센서...2025.04.29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9 -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실험에서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회로를 구현하고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입력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출력전압이 약 2의 기울기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입력저항, 부하저항, 전원 전압의 변화에도 이득이 약 2V/V로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계한 Series-...2025.01.24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자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9페이지
2023.02.06· 9페이지 -
(22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피드백 증폭기(Feedback Amplifier) 9페이지
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Feedback Amplifier)목적: 피드백을 이용한 증폭기의 동작을 이해한다.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와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은 전류인 Series-Series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하고 실험한다.준비물 및 유의사항:Function generator 1대Oscilloscope(2channel) 1대DC Power Supply(2 channel) 1대DMM 1대MOSFET – IRF5305 (P-Channel) 1개OP AMP – UA741CP ...2023.02.12· 9페이지 -
(A+)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예비보고서 9페이지
(A) 그림 1 회로를 simulation하기 위한 PSpice schematic을 그린다. 전원 전압원은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은 가 되도록 R1, R2값을 설정하고, Simulation Profile에서 Analysis type을 DC Sweep으로 설정하고서 입력 전압원의 값을 0 V에서 +6 V까지 0.1 V의 증분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려라.< 중 ...2022.03.02· 9페이지 -
A+ 2022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7페이지
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과 목 : 전자회로설계실습학 번 :조/이름:3.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그림 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도(A) 그림 1 회로를 simulation하기 위한 PSpice schematic을 그린다. 전원 전압원은 12V로 고정하고 입력저항 및 부하저항을 1kΩ, 피드백 저항은{V _{o}} over {V _{s}} =2 가 되도록 R1, R2값을 설정하고, Simulation Profile에서 Analysis type을 DC Sweep으로 ...2023.02.25· 7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자회로설계실습 9 피드백 증폭기 (Feedback Amplifier) 예비보고서 (A+) 7페이지
3. 설계실습 계획서3.1 Series-Shunt 피드백 회로 설계(A) 그림 1 회로를 simulation하기 위한 PSpice schematic을 그린다(B) 단계 3.1(A)에서 그린 PSpice schematic에서 입력저항을, 부하저항을 으로 하고 단계3.1(A)와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주는 입출력 transfer characteristic curve를 그려라. 입력저항, 부하저항 로 설정하고 회로를 구성한다.이때의 출력 그래프 즉 transfer characteristid ...2021.12.06·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