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왕릉 동구릉 소개
본 내용은
"
선택 배경 동구릉 소개 제1대 태조 왕릉, 건원릉(健元陵) 제5대 문종 왕릉, 현릉(顯陵) 제14대 선조 왕릉, 목릉(穆陵) 제18대 현종 왕릉, 숭릉(崇陵) 제21대 영조 왕릉, 원릉(元陵) 제24대 헌종 왕릉, 경릉(景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6
문서 내 토픽
-
1. 제1대 태조 왕릉, 건원릉(健元陵)건원릉은 조선왕조를 세운 태조 이성계(1335~1408)의 능으로 1408년에 조영되었습니다. 건원릉은 고려 왕릉 중 가장 화려하고 잘 정비된 경기도 개풍군에 있는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양식을 따랐으며 이후 조선 왕릉제도의 표본이 되었습니다. 건원릉은 다른 왕릉들과는 달리 봉분에 갈대를 입혔는데 이는 고향인 함경도 영흥을 그리워하며 그곳의 갈대로 자신의 봉분에 덮어 달라고 한 태조 이성계의 유언을 태종이 그대로 따랐기 때문입니다.
-
2. 제5대 문종 왕릉, 현릉(顯陵)현릉은 세종의 맏아들인 조선 제5대 문종(1414~1452)과 왕비 현덕왕후(1418~1441) 권씨의 능으로 문종릉은 1452년(단종 즉위)에 조영되었고 왕비의 능은 다른 곳에서 옮겨왔습니다. 문종은 몸이 허약해 왕위에 오른지 2년 4개월 만인 39세로 병사하는데, 예기치 않은 문종의 죽음은 단종과 세조로 이어지는 조선사의 또 하나의 피의 역사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3. 제14대 선조 왕릉, 목릉(穆陵)목릉은 조선 제14대 선조(1552~1608)와 왕비 의인왕후 박씨(1555~1600), 계비 인목왕후 김씨(1584~1632)의 능으로 세 능이 한 능역에 자리하고 있는데 왕과 계비의 능은 정자각 북편에 동원이강식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왕비의 능은 정자각 동편의 언덕에 치우쳐 있어 전체적인 배치는 능역은 같으나 줄기와 형태가 전혀 다른 동역이강식의 형국을 이루고 있습니다.
-
4. 제18대 현종 왕릉, 숭릉(崇陵)숭릉은 조선 제18대 현종(1641~1674)과 왕비 명성왕후 김씨(1642~1683)의 능으로 1674년(현종15) 조영되었습니다. 현종은 효종의 맏아들로 병자호란 후 아버지 효종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있을 때 심양에서 태어났습니다. 이후 효종의 뒤를 이어 조선 제18대 왕으로 즉위하여 호남지방에 대동법을 시행하고 천문관측과 역법연구에 이바지하는 등 민생안정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
5. 제21대 영조 왕릉, 원릉(元陵)원릉은 조선 제21대 영조(1694~1776)와 계비 정순왕후 김씨(1745~1805)의 능으로 왕의 능은 1776년(영조52)에 조영되고, 계비의 능은 1805년(순조5)에 조영되었습니다. 영조는 83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기까지 52년간 왕위에 있었던 조선시대 최장수 왕이었습니다.
-
6. 제24대 헌종 왕릉, 경릉(景陵)경릉은 조선 제24대 헌종(1827~1849)과 왕비 효현왕후 김씨(1828~1843), 계비 효정왕후 홍씨(1831~1904)의 능이며, 조선시대 왕릉 중에서는 유일한 삼연릉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헌종은 순조의 손자이며 요절한 추존왕 익종의 아들로 8세의 어린나이로 왕위에 올라 대왕대비인 순원왕후 김씨의 수렴청정을 받았습니다.
-
1. 제1대 태조 왕릉, 건원릉(健元陵)건원릉은 조선 왕조의 시조인 태조 이성계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오래된 유적입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웅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건원릉은 조선 왕조의 시작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
2. 제5대 문종 왕릉, 현릉(顯陵)현릉은 조선 제5대 왕인 문종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아름답고 웅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왕릉 건축물의 정교한 조각과 장식이 돋보입니다. 현릉은 조선 왕조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문화적 성취와 예술적 수준을 엿볼 수 있습니다.
-
3. 제14대 선조 왕릉, 목릉(穆陵)목릉은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웅장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왕릉 건축물의 정교한 조각과 장식이 돋보입니다. 목릉은 조선 왕조의 중흥기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 성취를 엿볼 수 있습니다.
-
4. 제18대 현종 왕릉, 숭릉(崇陵)숭릉은 조선 제18대 왕인 현종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아름답고 정제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왕릉 건축물의 세련된 조각과 장식이 돋보입니다. 숭릉은 조선 왕조의 안정기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문화적 성숙과 예술적 수준을 엿볼 수 있습니다.
-
5. 제21대 영조 왕릉, 원릉(元陵)원릉은 조선 제21대 왕인 영조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웅장하고 화려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왕릉 건축물의 정교한 조각과 장식이 돋보입니다. 원릉은 조선 왕조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 성취를 엿볼 수 있습니다.
-
6. 제24대 헌종 왕릉, 경릉(景陵)경릉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의 능으로, 조선 왕릉 중 가장 아름답고 섬세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 왕릉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며, 왕릉 건축물의 정교한 조각과 장식이 돋보입니다. 경릉은 조선 왕조의 말기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왕릉을 통해 우리는 조선 왕조의 문화적 전통과 예술적 성취를 엿볼 수 있습니다.
-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장릉 답사) 6페이지
2022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교과목명:역사의 현장을 찾아서?학번:?성명:?연락처:[과제] 서울 김포 장릉(章陵)답사I. 서론내가 살고 있는 김포에는 과연 어떠한 역사의 흔적이 있을까? 솔직히 가까운 곳에 무슨 역사적 흔적이 있는지 별로 관심을 갖지 않고 살았던 것 같다. 지하철을 타고 버스를 타고 다니다 보면 이정표가 써져 있어 역사의 흔적들이 곳곳에 있는 것 같은데 막상 바쁜 일상에 젖어들다 보니 그러한 것들을 일일이 챙기지 못하고 그저 스처지나갈 뿐이었다. 그러나, 본 과제를 접하다보니 억지로라도 역사의 흔적을 ...2023.01.13· 6페이지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16페이지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 - 동구릉목차 1. 답사지 소개 (1) 동구릉 (2) 동구릉의 역사 2. 왕릉 (1) 전체적 구조 (2) 능침공간의 구조 (3) 능의 유형 (4) 능 별 특징 비교 3. 결론1. 답사지 소개 (1) 동구릉 동구릉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왕릉이다 . 조선의 초대 임금인 1 대 태조부터 시작해서 추존왕 문조 ( 효명세자 ) 까지 총 9 개의 릉 이 있어 , 동구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 답사지 소개 (2) 동구릉의 역사 동구릉은 1408 년 ( 태종 8 년 ) 태조 이성계가 세상을 떠...2014.07.30· 16페이지 -
동구릉을 다녀와서 풍수지리적으로 작성한 레포트 입니다. 16페이지
목차I. 서론1. 선택 배경2. 동구릉 소개II. 본론1. 제1대 태조 왕릉, 건원릉(健元陵)2. 제5대 문종 왕릉, 현릉(顯陵)3. 제14대 선조 왕릉, 목릉(穆陵)4. 제18대 현종 왕릉, 숭릉(崇陵)5. 제21대 영조 왕릉, 원릉(元陵)6. 제24대 헌종 왕릉, 경릉(景陵)III. 결론1. 현장답사를 통해 느낀점I. 서론1. 선택 배경신문을 보는 도중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문화재청은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유네스코에 제출한 조선왕릉에 대한 평가결과보고...2009.06.07· 16페이지 -
역사적 장소 6페이지
역사적 장소- 목차 -Ⅰ. 서론Ⅱ. 본론1. 역사 장소 선정및 동기2. 사전준비, 진행과정 간략하게 소개3. 현장에서 새롭게 느끼거나 알게된 내용4. 오늘날 조선 왕릉이 지니는 의미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시대를 흔히 정보화의 시대, 디지털 시대라고 부르고 있으며, 과거에는 다가올 미래의 모습이라고 이야기하고는 하였다. 즉,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국제화와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화를 통해 이미 우리가 꿈꿔왔던 많은 부분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든 무엇이나 할 수 있는 유비쿼...2016.11.22· 6페이지 -
정조, 사도세자 무덤인 융건릉 답사보고서입니다. 5페이지
[우리나라의 문화유산 ‘융릉·건릉’ 답사 보고서]왕의 효심이 담긴 조선왕릉융릉·건릉(隆陵·健陵)목차1.답사를 떠나기 전◆융·건릉 소개2.융릉1)융릉 이름의 변모2)융릉 모습3.건릉1)건릉이란?2)묘역과 능비3)건릉의 모습3.융·건릉을 돌아본 후1.답사를 떠나기 전우리는 용주사를 답사한 뒤 발걸음을 융·건릉으로 돌렸다. 다행히도 날씨는 선선했고 비는 오지 않았다. 버스를 타고 2분정도 달려 내리니 바로 앞에 융·건릉이 보였다. 융건릉 또한 용주사와 마찬가지로 입장료를 내야 들어갈 수 있었다.(입장료는 성인 기준 1인당 천원) 우리는 ...2013.06.24·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