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만 관련 정리 자료
본 내용은
"
분만 관련 정리 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4
문서 내 토픽
-
1. 분만의 정의분만이란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포함한 그 부속물이 만출력에 의해 산도를 통과하여 모체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이다. 보통 임신 37주 이후 분만하는 경우를 만삭 분만으로,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는 조산 또는 조기 분만으로, 임신 42주 이후에 분만하는 경우는 과숙 분만이라고 한다.
-
2. 정상분만의 정의정상분만이란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로 하여 정상 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에 의해 만출되고, 산모와 태아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건강한 것을 의미한다.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 시간,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
3. 분만 5요소(5P)분만 5요소는 만출물(Passenger; 태아와 태반), 산도(Passageway), 만출력(Power), 산부의 자세(Position),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으로 구성된다. 각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
4. 분만의 전구증상분만의 전구증상에는 태아 하강감, 복부충만감 감소, 호흡 원활, 빈뇨, 골반 관절 이완으로 인한 요통과 천장골 부위 불편감, 강하고 빈번하고 불규칙한 자궁 수축, 질 점막 울혈과 점액 증가, 혈성이슬, 자궁경관 부드러워짐과 소실, 개대 시작, 양막 파열, 체중 감소 등이 있다.
-
5. 분만의 단계분만은 제1기(개구기 또는 준비기), 제2기(배출기 또는 산출기), 제3기(후산기)의 3단계로 구분된다. 제1기는 진통 시작부터 자궁경부 완전 개대까지, 제2기는 경부 완전 개대부터 태아 만출까지, 제3기는 태반 만출까지의 단계이다.
-
6. 분만의 기전분만의 기전에는 진입, 하강, 굴곡, 내회전, 신전, 외회전, 만출 등의 과정이 포함된다. 태아가 골반을 통과하면서 이러한 기전을 거치며 분만이 진행된다.
-
7. 분만의 종류분만의 종류에는 자연분만(정상 자연분만, 미숙아 자연분만)과 인공분만(흡입 분만, 제왕절개 분만)이 있다. 자연분만은 정상적인 과정으로 분만하는 것이며, 인공분만은 의학적 개입이 필요한 경우에 시행된다.
-
1. 분만의 정의분만은 임신 기간 동안 자궁 내에서 자란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임신 기간 동안 태아가 자궁 내에서 성장하다가 분만 시기가 되면 자궁 수축과 자궁 경부 확장으로 인해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분만은 임신 기간 동안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이 과정을 통해 태아는 자궁 밖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
2. 정상분만의 정의정상분만은 임신 37주 이상, 42주 이내에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분만을 말합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고, 분만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에게 가장 안전하고 바람직한 분만 방식이며,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진행됩니다. 정상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분만 5요소(5P)분만 5요소(5P)는 분만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요소를 말합니다. 이 5가지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산도(Passage): 산도는 태아가 통과해야 하는 골반 통로를 의미합니다. 2) 힘(Power): 분만을 위한 자궁 수축력과 복부 근육의 힘을 말합니다. 3) 태아(Passenger): 태아의 크기, 위치, 자세 등이 포함됩니다. 4) 산모(Passenger): 산모의 건강 상태, 연령, 체형 등이 포함됩니다. 5) 심리적 요인(Psyche): 산모의 심리적 상태와 분만에 대한 태도가 포함됩니다. 이 5가지 요소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정상적인 분만이 가능합니다.
-
4. 분만의 전구증상분만의 전구증상은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징후들입니다. 대표적인 전구증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질 분비물 증가 및 변화: 점액이 많아지고 점도가 낮아짐. 2) 배꼽 주변 통증 및 요통: 자궁 수축으로 인한 통증이 나타남. 3) 배변 및 배뇨 증가: 자궁 수축으로 인한 압박감으로 배변과 배뇨 욕구가 늘어남. 4) 불규칙한 자궁 수축: 분만 진통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함. 5) 하강감: 태아가 골반 내로 내려오면서 나타나는 증상. 이러한 전구증상들은 분만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신호들입니다.
-
5. 분만의 단계분만은 크게 4단계로 구분됩니다: 1) 개대기: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단계. 2) 만출기: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단계. 3) 태반 분리기: 태반이 분리되어 나오는 단계. 4) 회복기: 분만 후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단계. 각 단계마다 특징적인 증상과 변화가 나타나며, 산모와 의료진의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분만의 각 단계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단계별 관리와 대응이 분만 과정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6. 분만의 기전분만의 기전은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분만의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자궁 수축: 자궁 근육의 규칙적인 수축으로 인해 태아가 아래로 내려옴. 2) 자궁 경부 확장: 자궁 수축으로 인해 자궁 경부가 점진적으로 확장됨. 3) 태아의 하강: 자궁 수축과 자궁 경부 확장으로 인해 태아가 골반 내로 내려옴. 4) 태아의 회전: 태아가 골반 내에서 회전하며 통과함. 5) 태아의 배출: 태아가 완전히 자궁 밖으로 나오게 됨. 이러한 분만의 기전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의료진의 적절한 관리와 개입이 필요합니다.
-
7. 분만의 종류분만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자연분만: 산모의 자궁 수축과 자궁 경부 확장으로 인해 태아가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분만 방식. 2) 제왕절개: 의학적 필요에 따라 외과적으로 태아를 꺼내는 분만 방식. 3) 진공 분만: 진공 흡착기를 이용하여 태아를 배출하는 분만 방식. 4) 겸자 분만: 겸자를 이용하여 태아를 배출하는 분만 방식. 각각의 분만 방식은 산모와 태아의 상황에 따라 선택되며, 의료진의 판단과 산모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분만 방식의 선택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
[모성간호학 실습]분만실, 산과 관련 의학용어 정리자료입니다. 4페이지
분만실, 산과 용어abortion유산abruptio placenta태반 조기 박리after pain산후통amniocentesis양수천자amniotomy인공양막파열, 양막절제술antenatal care산전관리Apgar score아프가점수 (appearance, pulse, grimace, activity, respiration)attachment애착augmentation of labor분만촉진BBT (basal body temperature)기초체온BOW(bag of water)태포, 양수낭BPD(biparietal diameter)...2021.03.29· 4페이지 -
모성간호학 분만간호 요약정리 과제(정상 분만, 고위험 분만 간호) 26페이지
모성간호학 분만간호 요약정리 과제.hwp119장. 정상 분만 간호3절. 산부간호- 산부관리는 산부와 가족 모두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분만과정 동안 지속적 사정, 분만여성과 가족의 지원에 초점을 맞추어져야 함.→ 의사결정에서 산부 존중, 적극적 참여 유도, 지지관리 제공1. 분만 1기 간호1) 간호사정- 많은 여성들은 먼저 전화로 입원 여부를 문의하는 경우가 많음.(밤낮)- 진진통이 아니어서 입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에 낙담함.→ 임신 3기에는 분만단계, 전구증상, 3cm 미만의 경관 개대에서는 입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2021.05.13· 26페이지 -
여성분만과 관련된 문헌관찰 보고서 5페이지
여성분만과 관련된 문헌관찰 보고서-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 분만에 대한 문헌 고찰2. 논문에 대한 요약정리Ⅲ. 결론 - 분만에 대한 문헌고찰과 논문에 대한 느낀 점참고문헌Ⅰ. 서론여성의 생애주기 전체에서 가장 큰 사건 중 하나는 바로 ‘분만’이다. 이는 인본주의 차원에서는 자아실현의 요소로 인식되기도 하고, 진화심리학이나 생물학, 보건의료 차원에서는 자연스러운 생물학적 과정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처럼 분만을 인식하는 관점은 굉장히 다양하지만, 명확한 것은 분만이 개인과 사회에 매우 중요한 행위와 결과의 전반으로 인식된다는...2022.03.15· 5페이지 -
A++보장_여성간호학2실습_분만실_정상분만 case study_간호진단3, 간호과정 2개 24페이지
정상분만 간호사례연구 보고서“ 여성간호학2 실습 분만실 ”정상분만 간호사례연구 보고서입원일시: 20.03.02 면담일시:가. 간호정보 자료A. 간호력(1) 일반적 특성산부이름: 김OO 입원일시: 20.03.02 자료수집일:나 이: 28세 교육정도: 고졸 직업: 전업주부 종교:남편나이: 교육정도: 직업: 종교:결혼상태: 기혼 결혼기간: 9개월차 가족형태: 부부끼리 살고 있음 생활정도:부부관계:가족계획: 희망 자녀수: 2명 현재 자녀수: 없음 피임경험: 없음 종류:(2) 입원이유(환자의 표현대로, 주호소 포함)-진통이 5분 간격으로 3...2021.01.04· 24페이지 -
[모성간호학] 산욕기 생리적 반응 7페이지
1. 요약정리 ---------------------------- 11) 생리적 변화(1) 생식기계(2) 심혈관계(3) 근골격계(4) 신경계2) 산욕기 가족 간호(1) 산후사정(2) 분만 직후 간호(3) 제왕절개 후의 간호2. 학습 내용과 관련된 추가 자료 ---- 4: 산욕기 산모의 유방간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3. 소감 --------------------------------- 64. 참고문헌 ---------------------------- 61. 요약정리1) 생리적 변화(1) 생식기계자궁의 퇴축(involution)정의...2021.05.23·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