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위 방정식
본 내용은
"
온위 방정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9
문서 내 토픽
-
1. 온위의 개념온위란 어떤 공기 덩어리를 단열적으로 1,000hPa까지 옮겼을 때의 온도를 말한다. 공기 온도는 보통 상층으로 향할수록 감소한다. 하지만, 상층의 공기는 온도가 낮음에도 아래로 하강하지 않는다. 이는 상층의 공기를 강제로 1,00hPa 면에 놓았을 때 하층의 공기보다 더욱 높은 온도와 낮은 밀도를 갖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른 높이 혹은 층에 있는 공기 덩어리의 성질을 비교하기 위해 온위의 개념을 이용한다.
-
2. 온위 방정식 증명온위 방정식을 증명하는 데 있어 열역학 제1법칙, 정역학 평형식,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이 필요하다. 식에서 단열과정을 가정하면 의 식을 만족한다. 식은 의 식을 만족할 때 열역학 제1법칙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는 비부피로 밀도의 역수를 표현한 값이다. 식과 식을 연립하면 온도와 압력에 관한 식을 구할 수 있다. 식을 적분하자. 식의 로그를 제거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의 역수를 취하자.우리는 유도과정을 통해 얻은 식을 푸아송 방정식이라고 하며 이 식을 통해 특정 고도의 공기 덩어리를 지표에 내려놓을 때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다.
-
3. 건조단열감률건조단열감률은 앞서 구한 포아송 방정식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 식을 미분하자. 이때 식에서 는 1,000hPa로 상수이므로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식을 변형하자.이때 정역학 평형식과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이 이용된다.
-
4. 대기 안정도우리는 고도에 따른 온위 감률을 건조단열감률이라고 한다. 보통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온위가 감소하면 기층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뜻하며 반대로 온위가 증가하면 기층이 안정하다는 것을 뜻한다. 온위가 고도에 상관없이 일정하면 중립 상태(neutral stable)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대기 상태의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하 환경기온감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환경기온감률이 건조단열감률보다 클 경우, 절대 불안정(absolutely unstable) 상태라고 하며 환경기온감률이 건조단열감률보다 작을 경우, 조건부불안정(conditional unstability) 혹은 절대 안정(absolutely stable) 상태이다. 더 나아가 환경기온감률이 건조단열감률보다 작을 경우, 이때 환경기온감률이 습윤단열보다 작으면 절대안정, 경기온감률이 습윤단열보다 클 경우 조건부 불안정 상태로 규정한다.
-
1. 온위의 개념온위(potential temperature)는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가 단열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변화하지 않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의 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온위는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며, 대기 중 연직 운동과 대기 순환 등 다양한 기상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온위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대기 물리학 및 기상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2. 온위 방정식 증명온위 방정식은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의 단열 상승 또는 하강 과정에서 온위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입니다. 이 방정식은 공기 덩어리의 열역학적 상태 변화를 설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온위 방정식의 증명은 열역학 법칙과 기체 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의 단열 변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위 방정식의 증명을 이해하는 것은 대기 물리학 및 기상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3. 건조단열감률건조단열감률(dry adiabatic lapse rate)은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가 단열적으로 상승할 때 온도가 감소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이 값은 대기 중 공기 덩어리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조단열감률은 중력가속도, 공기의 비열 등 대기 물리량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약 -9.8°C/km의 값을 가집니다. 건조단열감률을 이해하면 대기 중 공기 덩어리의 연직 운동과 대기 안정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기상 예보 및 대기 오염 확산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
4. 대기 안정도대기 안정도는 대기 중에서 공기 덩어리의 연직 운동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대기가 안정할 경우 공기 덩어리의 연직 운동이 억제되어 대기 중 물질의 확산이 어려워지며, 불안정할 경우 공기 덩어리의 연직 운동이 활발해져 대기 중 물질의 확산이 용이해집니다. 대기 안정도는 온위 분포, 건조단열감률 등 다양한 대기 물리량을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기상 예보, 대기 오염 확산 예측, 항공기 운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대기 안정도에 대한 이해는 대기 물리학 및 기상학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
대기 안정도 판별 3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FILE:Contents/section0.xml대기 안정도 판별1. 온위2. 포아송 방정식 증명3. 건조단열감률과 습윤단열감률4. 안정도 판별1. 온위ㆍ온위:어떤 공기 덩어리를 단열적으로 1,000hPa까지 옮겼을 때의 온도ㆍ온위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 서로 다른 고도의 공기 덩어리 성질을 비교하기 위함- 대체로 상층으로 갈수록 온위 증가→ 상층 공...2024.01.16· 3페이지 -
대기과학 실험보고서(정적안정도) 3페이지
-대기과학 실험보고서정적 안정도1. 위 실험의 각 상태와 대기의 상태를 연관 지어 고찰하라.-중립실험은 고도에 따라 대기의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특별한외부 변화가 가해지지 않는 한)대기에는 아무런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는 떨어지는 힘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가라앉으면서 느리게 퍼진다. 안정실험의 경우 온도는 아래쪽에서 차갑고 위로 갈수록 올라나는데 이는 고도에 따라 온도가 증가하는 안정적인 대기의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안정실험에서 잉크는 약간 퍼지는 듯 하다가 더 이상 퍼지지 않...2011.01.14· 3페이지 -
포아송방정식에 대한 자료 3페이지
포아송방정식에 대한 자료1. 정역학 평형식2. 포아송 방정식3. 열역학 제2법칙1. 정역학 평형식정역학 평형식은 유체의 경우 중력과 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룰 경우에 적용되는 방정식이다. 대기 또한 유체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안정된 대기에서는 정역학 평형식을 만족한다. 정역학 평형식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Partial p} over {Partial z} `=`- rho g이 식은 지구의 대기뿐만 아니라 천문에서 항성 대기에 대한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먼저, 정역학 평형식을 통해서 높이척도(H)를 구할 수 있다.{...2015.10.03· 3페이지 -
<환경자료> 대기확산모델 8페이지
오염물질의 확산 특징을 고려하여 오염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기 확산 모델이란 배출된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확산, 이동되어 나타나는 농도를 물리화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계산될 수 있도록 전산프로그램화 한 것-배출원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대기 환경 영향평가나, 대기질 관리대책 수립-복잡한 대기 분산현상을 단순화거나, 또는 가상의 조건하에서 배출원과 수용체사이의 인과관계-물리모델(physical model) : 물리모델은 관찰 대상을 축소 제작하여 수조(water tank)나 풍동(wind tunnel)에서 실험하는 축소모형실험이 ...2010.02.24· 8페이지 -
대기과학 정리자료 5페이지
대기과학 정리자료1. 공기의 연직상승2. 제2종 저기압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3. 뇌우의 형성4. 층후(Thickness)5. 지구 대기의 열수지 평형6. 오존층과 오존홀의 생성7. 혼합응결고도1. 공기의 연직상승아르키메데스는 왕관을 제작하는데 쓰인 금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부력이라는 과학적 개념을 발견하였다. 대기현상에서도 마찬가지로 가벼운 공기는 부력에 의해 상승한다. 보통 공기는 크게 건조공기(dry air)와 습윤공기(moisture air)로 나뉘는데 건조공기는 수증기가 포함되지 않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공기...2016.08.0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