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면역혈액학 11과 정리 레포트 12주차
본 내용은
"
면역혈액학_11과_정리레포트12주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9
문서 내 토픽
-
1. 전혈 수혈전혈 수혈과 관련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로는 순환 과부하, 혈소판 손실, 응고 인자 감소, ABO 혈액형 일치 등이 있다. 전혈은 출혈이 많거나 전체 혈액량의 25% 이상 손실된 경우, 전체 혈액을 교체해야 할 때 사용된다. 재구성된 전혈은 유아 혈액 수혈에 필요한 성분끼리 재조합하여 사용한다.
-
2. 적혈구 수혈적혈구는 조직의 산소포화도가 손상된 경우 수혈한다. 수혈용 1 unit 혈액당 적혈구 농도는 헤모글로빈 1g/dL, 헤마토크릿 3% 이상이어야 한다.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는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해 사용되며, 성분 채집된 적혈구와 냉동 적혈구, 탈-글리세롤-화 적혈구, 세척된 적혈구, 방사선 조사된 적혈구 등이 있다.
-
3. 혈소판 수혈혈소판 수혈은 지혈을 위해 사용되며, 수혈된 혈소판은 3-4일의 수명을 가진다. 불응증(Refractoriness)이 발생할 수 있으며, Corrected Count Increment(CCI)로 혈소판 수의 증가를 확인한다. 혈소판 농축액, 풀링된 혈소판, 성분 채집 혈소판, 백혈구 감소 혈소판 등이 있다.
-
4. 신선 동결 혈장(FFP)FFP는 응고 인자, 인지질, 칼슘을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FFP에는 불안정한 응고 인자 5번과 8번을 포함한 모든 응고 인자가 포함되어 있다. FFP는 30-37도에서 30-45분 동안 해동 후 1-6도에서 보관하며, 해동 후 24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
5. 동결침전된 항응고 인자(Cryoprecipitated Antihemophilic)동결침전된 항응고 인자는 vWF, Fibrinogen, 응고 인자 VIII, XIII 등이 농축된 형태로, 섬유소원 결핍이나 혈우병 A, 폰 빌레브란트 병 치료에 사용된다. 재사용 시 1시간 이내에 다시 냉동해야 하며, -18도에서 1년간 보관 가능하다.
-
6. 과립구 수혈과립구 수혈은 감염 치료에 사용되며, GVHD 예방을 위해 방사선 조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수집 후 24시간 이내에 투여해야 하며, 교반 없이 20~24도로 유지해야 한다.
-
7. 혈액 성분 보관 및 운송혈액 성분은 제품 효능 유지와 박테리아 성장 방지를 위해 적절한 온도로 보관 및 운송해야 한다. 전혈과 RBC는 1-10도, 혈소판은 20-24도에서 운반하며, 라벨링과 저장기한 확인이 중요하다.
-
8. 혈액 성분 투여혈액 성분 투여 시 환자 신원 확인, 적절한 필터 사용, 투여 시간 준수(4시간 이내) 등의 체크리스트를 따라야 한다. 생리식염수만 혈액 성분과 함께 투여 가능하며, 약물 추가나 시간 기한 초과는 주의해야 한다.
-
1. 전혈 수혈전혈 수혈은 환자에게 필요한 모든 혈액 성분을 한 번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특정 혈액 성분 결핍을 해결하기 어려우며, 불필요한 성분이 투여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적혈구, 혈소판, 혈장 등 필요한 혈액 성분을 선별적으로 투여하는 성분 수혈이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 전혈 수혈은 응급 상황이나 자원이 부족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분 수혈이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적혈구 수혈적혈구 수혈은 빈혈, 출혈, 외상 등의 상황에서 산소 운반 능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적혈구는 혈액의 주요 성분으로, 수혈 시 환자의 혈액 산소 운반 능력을 즉각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적합한 혈액형의 적혈구를 투여하면 용혈성 수혈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혈액형 검사와 교차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적혈구 수혈은 감염 위험, 순환 과부하, 면역 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적혈구 수혈은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신중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
3. 혈소판 수혈혈소판 수혈은 출혈성 질환이나 암 치료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혈소판은 지혈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혈소판 수혈은 출혈 위험을 낮추고 생명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혈소판 수혈에는 감염 위험, 면역 반응, 순환 과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혈소판은 보관 기간이 짧아 수혈 전 신선도 확인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혈소판 수혈은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이지만,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신선 동결 혈장(FFP)신선 동결 혈장(FFP)은 혈액 응고 인자 결핍 환자에게 투여되는 중요한 혈액 성분입니다. FFP에는 혈액 응고 인자, 단백질, 전해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출혈 위험을 낮추고 응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간 질환, 대량 출혈, 응고 장애 등의 환자에게 FFP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FP 수혈에는 감염 위험, 순환 과부하, 알레르기 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FFP는 혈액형 적합성 확인이 필수적이며, 보관 기간이 짧아 신선도 유지가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FFP 수혈은 응고 장애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이지만,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동결침전된 항응고 인자(Cryoprecipitated Antihemophilic)동결침전된 항응고 인자(Cryoprecipitated Antihemophilic)는 혈우병 환자와 같이 혈액 응고 인자가 부족한 환자에게 투여되는 혈액 성분입니다. 이 성분에는 주로 제8인자(혈우병 A 치료에 사용)와 제13인자(섬유소 안정화에 도움)가 농축되어 있어, 출혈 위험을 낮추고 지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결침전물 수혈은 혈우병 환자의 주요 치료법 중 하나이며, 응고 장애가 있는 다른 환자에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염 위험, 알레르기 반응, 순환 과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보관 기간이 짧아 신선도 유지가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동결침전물 수혈은 응고 장애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이지만,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과립구 수혈과립구 수혈은 중증 감염 환자나 과립구 감소증 환자에게 투여되는 혈액 성분입니다. 과립구는 감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과립구 수혈은 이러한 환자의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고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립구 수혈에는 감염 위험, 폐 손상, 면역 반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과립구는 보관 기간이 매우 짧아 신선도 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과립구 수혈은 중증 감염 환자나 과립구 감소증 환자에게 유용할 수 있지만,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혈액 성분 보관 및 운송혈액 성분의 안전한 보관과 운송은 수혈 치료의 핵심입니다. 혈액 성분은 온도, 습도, 빛 등의 환경 요인에 매우 민감하므로, 적절한 보관 조건을 유지하고 운송 과정에서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 은행에서는 각 성분별 최적의 보관 온도와 기간을 엄격히 관리하며, 운송 시에도 온도 유지 장치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혈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혈액 성분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혈액 성분의 보관과 운송 관리는 수혈 치료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관리 체계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혈액 성분 투여혈액 성분 투여는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성분을 선별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출혈 환자에게는 적혈구 수혈을, 혈소판 감소증 환자에게는 혈소판 수혈을 하는 등 환자의 특정 결핍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수혈 전 혈액형 검사와 교차 시험을 통해 부적합한 혈액 성분 투여를 방지하고, 수혈 중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부작용을 신속히 발견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혈액 성분 투여는 환자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맞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의료진의 전문성과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면역혈액학_11과_정리레포트(12주차) 5페이지
면역혈액학 정리레포트 11과 (11월 19일 수업)Chapter 11. Blood component preparation and therapy4. Whole blood 전혈> Additional Solution 은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전혈에 넣지 않음.> 전혈 수혈과 관련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Circulatory overload 순환 과부하 (혈액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 Viable platelets are lost 혈소판 손실 (전혈 보관 온도는 4, 혈소판 보관온도는 20-24)- 채혈 후 24시간 이내에 응고 ...2022.06.25· 5페이지 -
A+ 병리학 내용 정리 보고서 11페이지
병리학 개별Report- 1~14주차 내용정리 -과목명교수명학 과학 번이 름제출일[ 목차 ]chapter. 01 병리학의 개요chapter. 02 세포·조직과 손상chapter. 03 재생과 회복chapter. 04 순환장애chapter. 05 염증chapter. 06 면역chapter. 07 감염병chapter. 09 선천적 장애chapter. 10 순환계통 질환chapter. 11 호흡계통 질환chapter. 12 소화계통 질환chapter. 13 내분비계통 질환chapter. 14 조혈계통 질환chapter. 01 병리학의 개...2025.02.25· 11페이지 -
[모성간호학 책 요약 레포트] 임신성 고혈압 환자의 간호 관리 정리 3페이지
모성간호학 책 요약 레포트임신성 고혈압 환자의 간호 관리 정리날 짜:교과목명:담당교수:학 과:학 번:이 름:?중요성과 빈도임신성 고혈압은 산모의 임신 중 보고된 의학적 합병증 중에 가장 흔하다. 고혈압장애는 세계적으로 주산기 이환율 및 사망률의 주된 원인이다. 중증 자간전증 임부는 사산율이 매우 높은데, 1000명당 21명꼴로 사망한다. 임신성 고혈압은 태반조기박리, 자간증, 간파열 등 합병증도 존재하기 때문에 더욱이 조심해야 한다.?자간전증의 원인1. 비정상 영양모세포 침윤2. 태반과 태아조직에 대한 부분적인 면역반응3. 임신의 ...2023.07.06· 3페이지 -
인체 구조와 기능 개인과제 - 코로나19 백신 9페이지
코로나19 백신 무용론자가 봐야 할 리포트과목명인체 구조와 기능< 목차 >1. 서론2. 백신 무용론자들의 주장과 그 배경3. 백신은 집단 면역에 도움이 된다!4. 백신은 개인의 감염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5. 코로나19 백신 개발 속도의 비결6. 과제를 수행하면서 느낀 점7. 자료 출처 및 참고문헌서론코로나19 백신으로써 미국의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Pfizer/BioNTech COVID-19 vaccine) 승인은 개발 착수 불과 11개월 만에 마무리됐다. 이 백신은 4만4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3상 임상시험에서 95%의 ...2023.01.28· 9페이지 -
[간호관리학] 간호사 국가고시 시간계획표, A+ 받은 자료, 날짜별 일정계획 11페이지
A+ 레포트간호사 국가고시를 위한효과적인 시간계획표과 목 명교수명학과학번학년이름제출일Ⅰ. 서론1. 국가고시를 위한 계획이 필요한 이유간호사가 되기 위해 국가고시를 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학교에서 전공과목에 대한 학습과 1000시간의 실습을 채우기 위해 당장 눈앞에 있는 것들만 중요하게 여기고 그것만 준비하고자 한다면 가장 중요한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데에 소홀할 수 있다.따라서 4학년이 된 지금부터 곧 있을 국가고시를 위해 미리 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곧 있을 취업 준비를 위해 본인이 자신 있는 과목이나 관심 있는...2023.02.14·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