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응급실) case study-간호진단4개, 간호과정2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실습 뇌경색(응급실) case study-간호진단4개, 간호과정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7
문서 내 토픽
  • 1. 뇌경색의 병태생리
    뇌혈류가 원활하지 않으면 신경학적 대사가 30초 이내에 변화하고, 2분 이내에 중단되며, 세포는 5분 이내에 파괴되기 시작한다. 혈관의 폐색으로 인한 뇌 혈류의 감소로 산소공급이 감소되면, 신경세포는 호기성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고 혐기성 호흡을 함에 따라 충분한 ATP를 생성하지 못하고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게 되어 pH가 낮아지고 기능을 멈추게 된다.
  • 2. 뇌경색의 원인
    허혈성 뇌졸중은 발생하는 기전에 따라 대혈관 질환에 의한 뇌경색, 심장성 색전에 의한 뇌경색, 소혈관 질환 또는 열공 뇌경색, 그리고 기타 드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으로 분류된다. 허혈성 뇌졸중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으로 인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죽상경화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뇌 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이다.
  • 3. 뇌경색의 증상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편측마비, 안면 마비, 감각 이상, 구음장애 등이 흔히 발생한다. 그러나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은 폐색된 혈관이 뇌 조직의 어느 부위에 혈류를 공급하고 있었는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던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의 부전 이외에도 실인증, 실어증이 첫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갑작스러운 시야장애 및 의식 소실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허혈성 뇌졸중도 발생할 수 있다.
  • 4. 뇌경색의 진단
    뇌 컴퓨터단층촬영(뇌 CT)이나 뇌 자기공명영상촬영(뇌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출혈성 뇌졸중과 감별하고, 뇌졸중의 위치, 크기 및 폐색된 혈관의 위치를 파악하여 확진한다. 이후 심장의 병적인 증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경색의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 심전도, 심초음파 등을 시행하고, 환자에 따라 24시간 심전도 및 24시간 혈압측정을 하기도 한다.
  • 5. 뇌경색의 치료
    허혈성 뇌졸중의 치료는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뇌졸중의 증상이 처음 나타난 후 4~5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폐색된 혈관의 재개통을 목표로 한 주사제제를 통한 혈전용해술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초 급성기가 경과한 이후 병원에 도착한 환자의 경우 급성기 합병증 발생을 막기 위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혈소판 억제제 또는 항응고제를 투여하여 뇌졸중의 재발을 막는 치료를 시행한다.
  • 6. 뇌경색의 간호
    호흡기계 관리, 신경계 관리, 심혈관계 관리, 피부 관리, 소화기계 관리, 요로계 관리, 의사소통 관리, 감각 인지 관리, 물리치료 등 다양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초기에는 급성기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보존적 치료와 조심스러운 재활치료가 중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뇌경색의 병태생리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조직의 허혈성 손상이다. 주요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혈관이 협착되거나 폐쇄되면 해당 뇌영역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한다. 둘째, 혈액 공급 감소로 인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분 부족 상태에 빠지게 된다. 셋째, 뇌세포가 괴사하고 뇌부종이 발생하면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넷째, 뇌경색 발생 후 시간이 지날수록 뇌손상이 확대되고 신경학적 결손이 악화된다. 따라서 뇌경색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신속한 치료를 통해 뇌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 2. 뇌경색의 원인
    뇌경색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뇌혈관 협착이다. 죽상경화증은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 침착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둘째, 심장질환으로 인한 혈전 또는 색전이다. 심방세동, 심근경색 등의 심장질환에서 생성된 혈전이나 색전이 뇌혈관을 막는 경우가 있다. 셋째, 혈액 응고 장애로 인한 혈전 형성이다. 유전적 요인이나 약물 부작용 등으로 혈액 응고가 과다하게 일어나면 뇌혈관 폐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뇌경색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뇌경색의 증상
    뇌경색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갑작스러운 편마비 또는 반신마비가 발생한다. 뇌경색이 발생한 반대편 신체 부위의 근력이 저하되거나 마비된다. 둘째, 감각 저하 또는 감각 소실이 나타난다. 뇌경색 부위에 따라 얼굴, 팔, 다리 등의 감각이 저하되거나 소실될 수 있다. 셋째, 언어 장애가 발생한다. 뇌경색이 언어 중추 부위에 발생하면 실어증, 구음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넷째, 시각 장애가 발생한다. 뇌경색이 시각 중추 부위에 발생하면 반맹증, 시야 결손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다섯째, 의식 저하,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이처럼 뇌경색의 증상은 다양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4. 뇌경색의 진단
    뇌경색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가 필요하다. 첫째, 신경학적 진찰을 통해 증상을 확인한다. 둘째, 뇌 영상 검사를 시행한다. CT 또는 MRI 검사를 통해 뇌경색 부위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혈액 검사를 실시한다. 혈액 응고 검사, 지질 검사, 당뇨 검사 등을 통해 뇌경색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넷째, 심장 검사를 시행한다. 심전도, 심초음파 등을 통해 심장질환 유무를 확인한다. 다섯째,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다. 경동맥 협착 정도를 확인하여 뇌경색의 원인을 진단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검사를 통해 뇌경색의 원인과 범위를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 5. 뇌경색의 치료
    뇌경색의 치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기 치료로 혈전용해제 투여 또는 혈관 재개통술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뇌혈관 폐쇄를 해결하고 뇌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급성기 이후에는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 투여, 혈압 및 혈당 조절 등의 이차 예방 치료를 한다. 이를 통해 재발을 방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재활 치료를 병행한다.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을 통해 신경학적 결손을 최소화하고 일상생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뇌경색의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다. 죽상경화증, 심장질환 등의 기저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처럼 뇌경색의 치료는 급성기 치료, 이차 예방, 재활 치료, 원인 질환 치료 등 다각도로 접근해야 한다.
  • 6. 뇌경색의 간호
    뇌경색 환자의 간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성기에는 신경학적 증상 관찰과 활력징후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둘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욕창, 폐렴, 요로감염 등의 예방 간호를 실시한다. 셋째, 영양 관리와 수분 균형 유지를 위해 경관 영양 공급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넷째, 재활 치료 참여를 위해 환자와 보호자 교육을 실시한다. 다섯째, 퇴원 후 관리를 위해 가정 간호, 지역사회 연계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이처럼 뇌경색 환자의 급성기 관리부터 재활, 퇴원 후 관리까지 포괄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요구를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