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어음의 배서와 통정허위표시
문서 내 토픽
  • 1. 약속어음의 배서
    약속어음은 유가증권이므로 원칙적으로 자유롭게 양도할 수 있다. 약속어음을 양도할 때는 배서를 해야 하며, 배서를 하면 약속어음으로부터 생기는 모든 권리가 양수인에게 이전한다. 배서인은 자기가 배서한 이후에는 새로운 배서를 할 수 없으며, 양수인에 대한 지급 담보 책임을 진다. 따라서 이 사례에서 을, 병, 정의 배서는 유효하며, 정이 무에게 배서 없이 약속어음을 준 것은 문제가 된다.
  • 2. 통정허위표시
    A와 B가 장난으로 약속어음의 지급액을 실제 채무액인 10만 원이 아닌 100만 원으로 기재한 것은 통정허위표시에 해당한다. 통정허위표시는 민법상 무효이지만, 선의의 제3자에게는 대항할 수 없다. 따라서 B가 C에게 준 약속어음은 C에 대해서는 유효하며, A는 C에게 100만 원을 지급해야 한다. A가 C의 악의를 입증하지 못하는 한 10만 원만 지급할 수 없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약속어음의 배서
    약속어음의 배서는 어음법상 중요한 제도입니다. 어음은 유가증권으로서 배서를 통해 소지인이 변경되며, 이를 통해 어음의 유통성이 확보됩니다. 배서는 어음의 양도와 담보제공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배서인은 어음상 채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따라서 배서 절차와 효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배서인은 어음상 채무를 부담하게 되므로 배서 시 신중을 기해야 하며, 배서 받는 자도 배서인의 신용도와 지급능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배서 절차의 적정성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음 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2. 통정허위표시
    통정허위표시는 계약 당사자들이 합의하여 실제와 다른 내용을 계약서에 기재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는 법률행위의 외관과 실질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 당사자들의 진정한 의사를 왜곡하는 것입니다. 통정허위표시는 계약의 효력을 무효화시킬 수 있으며, 당사자들에게 민사상 책임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형사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서 작성 시 진실한 내용을 기재해야 하며, 허위 기재를 해서는 안 됩니다. 이를 통해 계약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갑은 100억원의 약속어음을 발행하여 이 어음을 을에게 주었다. 을은 배서를 하여 병에게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6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