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시낙텐테스트(Cynacten test)와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본 내용은
"
시낙텐테스트(Cynacten tes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3
문서 내 토픽
  • 1. 부신피질 기능저하증(Adrenal Insufficiency)
    부신에서 호르몬 분비가 감소되는 질환으로, 당질코르티코이드 결핍으로 인한 저혈당, 색소침착, 염류코르티코이드 결핍으로 인한 저혈압, 고칼륨혈증, 안드로겐 결핍으로 인한 체모 감소와 성욕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원발성은 양측 부신의 90% 이상 파괴가 원인이며, 이차성은 ACTH 결핍이나 장기간 스테로이드 투여 후 중단이 원인이다. 1885년 Thomas Addison에 의해 처음 설명되어 Addison disease라고도 불린다.
  • 2. 시낙텐테스트(Cynacten Test) 검사방법
    합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인 Cynacten 250mcg을 정맥주사 또는 근육주사로 투여하여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을 진단하는 검사이다. 기저 ACTH, Cortisol 검사 후 Cynacten 투여 후 30분, 60분 간격으로 Cortisol을 측정한다. 정상적으로 혈장 내 코르티솔은 이른 아침(8시 이전)에 증가하므로 원칙적으로 아침 공복 시 안정된 상태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실시한다.
  • 3.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치료
    호르몬 보충 치료가 주요 방법이다. 당질코르티코이드는 Hydrocortisone 15~25mg을 하루에 투여하며, 오전에 복용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용량을 증량한다. 염류코르티코이드는 Fludrocortisone 0.1~0.15mg을 추가하며, 당질코르티코이드 복용량이 50mg 이상인 경우 추가할 필요가 없다. 안드로겐 결핍 증상이 있으면 DHEA 25~50mg을 경구 투여한다.
  • 4. 스테로이드 제제와 부작용
    Hydrocortisone, Prednisone, Dexamethasone 등이 사용되며, 당질코르티코이드 작용 강도가 다르다. Prednisone은 Hydrocortisone의 4~5배, Dexamethasone은 20~25배 강하다. 2주 이상 사용 시 체중증가, 여드름, 두통, 피로감, 배변횟수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직립성 저혈압,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난다. 정상 호르몬 분비와 유사한 혈중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오전에 투여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부신피질 기능저하증(Adrenal Insufficiency)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은 부신에서 충분한 양의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을 생성하지 못하는 심각한 내분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원발성, 이차성, 삼차성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원인과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특히 급성 부신 위기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만성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의 경우 피로, 저혈압, 저혈당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높은 임상적 의심과 체계적인 진단 과정이 필수적이며, 진단 후 적절한 호르몬 대체 요법으로 환자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2. 시낙텐테스트(Cynacten Test) 검사방법
    시낙텐테스트는 부신피질 기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자극 검사로, 합성 ACTH인 코신트로핀을 투여하여 부신의 코르티솔 분비 반응을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원발성 부신피질 기능저하증과 이차성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을 구별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검사 방법은 기저 코르티솔 수치를 측정한 후 코신트로핀을 정맥주사하고, 30분 또는 60분 후 코르티솔 수치를 재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정상인의 경우 코르티솔이 충분히 상승하지만,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환자는 반응이 둔화되거나 없습니다. 이 검사의 장점은 빠른 결과 도출과 높은 특이성이며, 부신 기능 평가의 필수 검사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 3.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치료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의 치료는 부족한 호르몬을 대체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기본입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를 적절한 용량으로 투여하여 정상적인 호르몬 수치를 유지해야 합니다. 치료의 성공은 개별 환자의 반응에 따라 용량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과다 투여는 스테로이드 부작용을 초래하고 과소 투여는 증상 악화를 야기합니다. 급성 부신 위기 상황에서는 고용량의 정맥주사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신속하게 투여해야 하며, 이는 생명을 구하는 응급 치료입니다. 장기적 관리에서는 정기적인 임상 평가와 호르몬 수치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환자 교육과 응급 상황 대비도 중요한 치료 요소입니다.
  • 4. 스테로이드 제제와 부작용
    스테로이드 제제는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치료에 필수적이지만, 장기 사용 시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골다공증, 감염 위험 증가, 대사 이상, 정신 증상, 피부 변화 등이 있습니다. 특히 고용량 장기 투여 시 쿠싱 증후군 유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치료 용량 조정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환자에게 적절한 용량의 스테로이드는 생리적 필요량을 보충하는 것이므로, 부작용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중요한 것은 개별 환자에게 최소 유효 용량을 사용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부작용을 조기에 발견하며, 필요시 용량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스테로이드의 이점과 위험을 균형있게 고려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