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교환기 총괄 열전달 계수 실험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A+] 열교환기 총괄 열전달 계수 결과보고서-화학공학실험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3
문서 내 토픽
-
1. 열교환기 종류 및 작동 원리평행 파이프 열교환기(알루미늄)와 쉘 앤 튜브 열교환기(구리)를 이용하여 병류 및 대향류 흐름에서의 열전달을 실험했다. 보일러를 80°C로 가열한 후 밸브를 조절하여 4L/min의 유량으로 냉수와 온수를 흘려보내고, 3분 간격으로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여 정상상태 도달 여부를 확인했다. 각 열교환기 유형별로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열전달 특성을 분석했다.
-
2. 열수지식 및 총괄 열전달 계수열수지식 q=ṁcp,h(Th,in-Th,out)=ṁcp,c(Tc,out-Tc,in)을 이용하여 총열전달량을 계산했다. 대수평균온도차(LMTD)를 구하고, 열전달 계수 h와 총괄 열전달 계수 U를 산출했다. 평행 파이프의 경우 L=1.21m, Do=15.875×10⁻³m이고, 쉘 앤 튜브의 경우 A=0.111m²의 조건에서 계산을 수행했다.
-
3. 병류와 대향류 흐름 비교같은 조건에서 대향류 흐름이 병류 흐름보다 더 큰 총열전달량 q값을 나타냈다. 대향류의 열전달 계수가 병류보다 크므로 대향류가 더 효율적인 열전달을 수행한다. 병류형에서는 저온부 출구 온도가 고온부 출구 온도보다 높을 수 없으므로 열역학적 가역성이 떨어진다. 대향류는 유입 고온·저온 유체 간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효율을 높인다.
-
4. 열전달과 유속 및 재질의 상관관계유속 증가에 따라 열전달량이 증가한다. Newton 법칙 Q=hA(Tf-T)에서 열전달 계수 h는 유속이 빨라질수록 커진다. 또한 푸리에 법칙에 의해 열전달량은 열전달 면적에 비례하며, 유속 증가 시 열교환 표면에 더 많은 유체가 흐르므로 열전달 면적과 효율이 증가한다. 구리의 열전도율(401W/m·K)이 알루미늄(205W/m·K)보다 높아 구리 재질의 쉘 앤 튜브 열교환기가 더 높은 열전달 효율을 보였다.
-
1. 열교환기 종류 및 작동 원리열교환기는 산업 전반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핵심 장비입니다. 판형, 관형, 나선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구조는 특정 응용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작동 원리는 두 유체 간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는 열역학 제1법칙을 따릅니다. 열교환기의 효율성은 설계, 재질 선택, 유지보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각 산업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특히 환경 문제가 대두되는 현재, 열교환기의 효율 개선은 에너지 절감과 탄소 감축에 직결되어 있어 지속적인 기술 발전이 필요합니다.
-
2. 열수지식 및 총괄 열전달 계수열수지식은 열전달 계산의 기초로서, 에너지 보존 법칙을 적용하여 시스템 내 열의 흐름을 정량화합니다. 총괄 열전달 계수(U값)는 대류, 전도, 복사 등 모든 열전달 메커니즘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값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경계층 이론, 유체 특성, 표면 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실무에서는 경험식이나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U값을 결정하는데, 이는 설계의 정확성과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열수지식과 U값의 정확한 이해는 효율적인 열교환기 설계의 필수 요소입니다.
-
3. 병류와 대향류 흐름 비교병류와 대향류는 열교환기에서 두 유체의 흐름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향류는 두 유체가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전체 열교환 구간에서 온도 차이를 유지하여 더 높은 열전달 효율을 제공합니다. 반면 병류는 두 유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면서 출구 쪽에서 온도 차이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보입니다. 이론적으로 대향류의 효율이 우수하지만, 실제 설계에서는 공간 제약, 비용, 압력 강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합니다. 대부분의 산업용 열교환기는 대향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 절감의 관점에서 매우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
4. 열전달과 유속 및 재질의 상관관계열전달 효율은 유속과 재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유속이 증가하면 경계층이 얇아져 대류 열전달 계수가 증가하므로 전체 열전달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과도한 유속은 압력 강하 증가, 펌프 동력 증가, 소음 및 진동 문제를 야기합니다. 재질 선택은 열전도도, 부식 저항성, 기계적 강도,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일수록 전도 저항이 감소하여 열전달이 개선되지만, 비용과 환경 영향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최적의 열교환기 설계는 유속과 재질의 균형 있는 선택을 통해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입니다.
-
이중관식 열교환기 실험보고서 11페이지
5주차 결과보고서작성 날짜: 2021.10.22실험제목이중관식 열교환기■초록이번 실험은 이중관식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실험으로, 향류 흐름과 병류 흐름에서의 온도데이터를 얻어대수 평균 온도차이의 개념을 이해하고 총괄 열전달 계수를 계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실험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실험실에 있는 이중관식 열교환기는 안에 두 개의 관(내관, 외관)이 있는데내관을 통해서는 히터를 통해 가열된 온수가, 외관을 통해서는 수도에서 나오는 냉각수가 흐른다. 우리는장치에 있는 벨브를 조작하여 냉각수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었고, 냉각수의 흐...2022.09.14· 11페이지 -
[부산대 결과보고서] 이중관 열교환기 실험 22페이지
화공생명공학실험 결과보고서 실험 8. 이중관 열교환기 화공생명공학실험 000분반 0조 실험일자: 제출일자: 화공생명공학전공 학번 이름 1. 실험 목적 - 이중관 열교환기를 통한 전열속도와 총괄계수 등 열전달 특성을 살펴보고, 열교환 방법, 재질 등에 따른 전열을 비교하여 Mollier 선도를 활용 습득한다. - 물을 사용한 이중관의 열 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난류상태에서 향류와 병류에서의 열전달 특성 을 이해한다. 2. 실험 이론 1) 열전달(Heat exchange) 열전달은 두 물체 사이에서 열에너지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열은...2024.09.24· 22페이지 -
[화학공학실험] 이중관 열교환기 실험 결과보고서(A+실험레포트) 10페이지
실험 결과보고서전공학번학년이름조1. 주제(Title)이중관 열교환기2. 실험날짜(Experiment date)날짜3. 실험결과(Results)< 실험 Data >- 이중관 열교환기구분내관(mm)외관(mm)길이(cm)(L)내경(D _{i})외경(D _{o})내경Size1515.8840150→ 이중관 열교환기 규격사항 참고내관의 내표면적A _{i} = pi D _{i} L= pi TIMES 0.015m TIMES 1.5m=0.070686m ^{2} 내관의 외표면적A _{0} =` pi D _{0} L= pi TIMES 0.01588m ...2021.03.18· 10페이지 -
이중관열교환기실험 14페이지
화학공학실험 Ⅰ결과보고서분반302분반실험일자2020년 06월 15일제출일자2020년 06월 19일학번성명실험 목적 : 이중관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열수지를 이해하고 유체의 유량과 총괄 전열계수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총괄 전열계수의 개념을 이해한다.실험 이론열교환기 (Heat exchanger)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열교환을 촉진하는 장치이다. 열교환기는 두 유체가 섞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혼합실과는 다르다. 열교환기에서의 열전달은 두 가지 열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데, 각 유체에서의 대류 열전달과 두 유체를 분리하는...2022.02.11· 14페이지 -
[화학공학실험] 이중관 열교환기실험 결과보고서(실험레포트) 6페이지
실험 결과보고서전공학번학년이름1. 실험 제목이중관 열교환기2. 실험 일자, 조, 조원실험 일자, 보고자 : , 조원 :3. 실험결과1) 유량과 온도- 병류흐름일 때 (V1,V3 개방, V2,V4 폐쇄)고온유체저온유체유량 [L/min]질량유량[kg/hr]입구온도(℃)출구온도(℃)유량 [L/min]질량유량[kg/hr]입구온도(℃)출구온도(℃)2120*************48055502120123210600545021201235- 향류흐름일 때 (V2,V4 개방, V1,V3 폐쇄)고온유체저온유체유량 [L/min]질량유량[kg/hr]입구...2021.03.10· 6페이지
